‘공주 갑사 대웅전’, ‘의성 대곡사 범종루’ 보물 지정 예고
상태바
‘공주 갑사 대웅전’, ‘의성 대곡사 범종루’ 보물 지정 예고
  • 송희원
  • 승인 2021.01.26 09: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된 공주 갑사 대웅전. 사진 문화재청 제공.

17세기 건축 특징을 잘 보여주는 갑사 대웅전, 대곡사 범종루가 보물로 지정 예고된다.

문화재청은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공주 갑사 대웅전(公州 甲寺 大雄殿)’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의성 대곡사 범종루(義城 大谷寺 梵鍾樓)’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한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공주 갑사 대웅전은 정유재란 이후 갑사에서 가장 먼저 재건된 건축물 중 하나로 이후 여러 차례 중수를 거쳤고 현재까지 이어져 오면서 대체로 원형을 유지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대웅전 내부의 ‘갑사소조삼세불(보물 제2076호)’이 1617년에 만들어졌고, 1659년에 ‘갑사사적비’가 세워지는 과정을 고려하면, 갑사 대웅전의 건립연대는 17세기 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내부 배면 공포(좌측), 외부 배면 공포. 사진 문화재청 제공.

17세기 건축으로서 갑사 대웅전은 전환기 건축의 특징을 지닌다. 정면 5칸, 옆면 3칸의 맞배집의 구성인데, 정면이 5칸이면서 맞배지붕을 한 사례는 많이 남아 있지 않다. 또한 정면과 배면 공포의 형식이 동일하고, 기둥 간격이 정면 중앙 3칸이 12척, 측면과 나머지 주칸은 8척으로 나타나 기둥을 일정한 간격으로 간결하게 배치하고 있다. 목구조에서 휘어진 재료를 최소한으로 가공하여 사용한 것은 경제적 상황과도 연관되어 이 시대에 새로 등장한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갑사 대웅전은 17세기에 지어진 다포계(공포를 기둥 위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꾸며 놓은 건축양식) 맞배집의 전형적인 형식을 공유하면서 조선 후기의 건축적 경향을 제안하고 있다는 점에서 건축사적 가치가 높다.

대웅전 불상과 불단. 사진 문화재청 제공.
갑사 대웅전 내부 닫집. 사진 문화재청 제공.

또한, 연혁과 유래를 알 수 있는 각종 기록과 유물이 잘 남아 있고, 평면구성과 공포의 구성수법, 상부 가구와 닫집(건물 내부의 불단 위에 또 하나의 지붕모양을 짜 올린 것) 등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등 17세기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건축사적 가치가 크다.

의성 대곡사 범종루. 사진 문화재청 제공.

의성 대곡사 범종루는‘대곡사 창건 전후 사적기’의 기록을 통해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의 병화로 전소되어 17세기 중·후반인 1644년에서 1683년 사이에 중창됐다고 전해진다.

범종루는 정면 3칸, 옆면 3칸의 2층 누각 건물이다. 현존하는 누각 건축 중 17세기 전반의 것은 대부분 3칸 평면을 가지고 있고, 이후 누각 평면이 3칸에서 5칸, 7칸으로 점차 확장되어 가는 경향을 살펴볼 때 범종루는 기존에 남아 있는 누각 건축 중에서도 이른 시기인 17세기 전반의 특징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범종루 천장. 사진 문화재청 제공.

누각의 하부 기둥은 자연곡선이 살아있는 기둥으로 임란 이후 목재수급의 어려움, 조선후기 자연주의 사상과 맞물려 살림집과 사찰 등에서 많이 사용됐다. 대들보는 대개 단일부재로 쓰이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지만 범종루는 같은 크기의 부재가 2단으로 걸려 있다. 문화재청은 “이처럼 2단의 보가 쓰이는 형식은 보기 드문 사례며 상부 보 부재가 대들보 역할을 하고, 하부 보부재는 보받침 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른 누건축을 비롯한 사찰불전에서 찾기 어려운 사례”라고 말했다.

좌측 화반. 사진 문화재청 제공.

기둥 사이에도 포를 둔 다포계 양식이나 중앙 칸에 화반을 사용한 점은 주로 주심포와 익공양식에서 많이 쓰이는 형식으로 다포, 주심포, 익공의 공포양식이 고루 나타나는 절충적인 건물이라 할 수 있다. 화반은 중앙칸에 올려져 상부가구를 받고 있는데 이는 상부구조를 견디기 위한 의도적 구성이며, 정‧배면이 좌‧우측면보다 크고 화려하게 조각했다.

좌우대 첨차. 사진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은 “공포의 첨차와 살미의 형태, 창방을 비롯한 다수 부재의 의장적 요소 등에서 조선 중·후기의 건축적 특징이 잘 남아 있고 특히, 중앙칸에 주간포를 생략하고 화반을 대체한 절충식 양식이 주목된다”며 “범종루는 의성지역의 불교사찰이 부흥하기 시작한 17세기의 양식적 변화를 잘 간직하고 있는 문화유산으로서 누각 건축의 변천과정을 살필 수 있는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고 밝혔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공주 갑사 대웅전’과 ‘의성 대곡사 범종루’에 30일간의 예고 기간 중 수렴된 의견을 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 심의 절차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