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방의 미술 세계] “옹 마니 파드메 훙”
상태바
[강우방의 미술 세계] “옹 마니 파드메 훙”
  • 강우방
  • 승인 2020.12.30 17: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 1-1  람세스 2세 말기 서기장의 묘 천장. | 사진 1-2  서기장의 묘 천장에 있는 무량보주 무늬의 연속.

필자에겐 평생 욕심 없는 것이 세 가지가 있다. 이 기회에 아호를 하나 더 만들려고 한다. 삼무(三無)다. 학위에 욕심이 없어서 석사학위도 없거니와, 학부 평점은 C 학점이니 어느 대학에도 신청할 자격이 없다. 그래도 미국 하버드대 로젠필드 교수와의 인연으로 하버드대학원 미술사학과 박사학위 과정을 밟기도 했다. 두 번째, 돈 욕심이 없다. 쥐꼬리 월급에도 평생 이상한 짓으로 돈을 벌어본 적이 없다. 세 번째, 감투 욕심이 없다. 매번 문화부나 문화재청이 저지른 일을 질타하여 반골이라 불렸다. 그래서 몸과 정신을 온전히 지켰고, 이화여대 초빙교수 7년이라는 삶의 가장 큰 축복이 내려졌다. 

 

| 지동설과 영기화생론

그동안 앞만 보고 달렸다. 뒤돌아볼 틈이 없었다, 지난 2년 동안 자전적 에세이를 쓰면서 필자의 학문과 예술 연구가 조형언어를 찾아내는 위업을 이뤘음을 알았다. 전 세계를 찾아다니며 기록하고 촬영하고 논문을 써왔던 일평생 노력의 결과였다. 

대학 강단을 떠난 후 필자는 더 바빠졌다. ‘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을 설립해 전 세계 미술 연구에 매진하면서, 16년간 수요일마다 강의를 해오고 있다. 학문의 새로운 변화도 일어났기에 모든 작품을 새롭게 봐야 했다. 학문과 연구 범위는 독학으로 깨친 건축을 비롯하여 조각, 회화, 도자기, 금속공예 등으로 확대됐다. 필자에게 보였던 이 모든 장르가 다른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것도 알게 됐다. 인류가 창조한 조형들 일체를 해석한다는 것은 인류 역사상 아무도 이루지 못한 일이다. 

보인다는 것은 그 의미를 알고 있다는 뜻이다. 조형언어 존재도 아는 사람이 없으므로 앞으로 이것을 가르치며 세계의 모든 조형예술품을 개척해 나가야 하는 사명감이 생겼다. 조형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모든 사람에게 해당하는 일이다. 사물을 보는 시각이 달라져 본질을 파악하는 사고력을 획득하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코페르니쿠스는 지구의 지동설을 발견하여 그 당시 사상적 큰 변화를 일으켰다.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는 말이 있다. 지금까지 주장해온 학설과 정반대가 되든가, 지금까지의 생각과는 정반대로 변화하는 경우 쓰는 말이다. 전환이란 말은 영어로 ‘레볼루션(revolution)’이며 ‘혁명’으로 번역할 수 있다. 이는 코페르니쿠스의 생각이 실로 혁명적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로마 가톨릭에서 그의 지동설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이 주장이 발표되고 나서 실로 440년이 지난 1992년의 일이었다. 

필자의 ‘영기화생론’은 왜 혁명적인가. 인간이 모르는 문양의 세계는 인간이 알고 있는 세계에 비하여 훨씬 방대하다. 단지 의미 없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생명생성의 근원적 문제를 제시하는 가장 중요한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 즉, 영원한 생명의 전개를 보여주는 중요한 세계이지만 인간은 그저 지나쳐 왔다. 인간은 300만 년 동안 건축, 조각, 회화, 도자기, 금속기, 복식 등 조형예술작품을 창조했지만, 정작 그 본질은 아무도 알아보지 못했다. 필자는 ‘영기화생론’을 정립해오면서 새로이 ‘영화된 세계’의 존재를 밝혔고, 조형예술작품의 본질을 이해하는 이론을 제공했다. 이 과정에서 조형언어의 문법도 정립했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