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과의 일상다담] 현진 스님, 등에 짊어진 돌멩이의 무게
상태바
[스님과의 일상다담] 현진 스님, 등에 짊어진 돌멩이의 무게
  • 최호승
  • 승인 2020.09.03 1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주 마야사 현진 스님
이두 스님을 은사로 출가해 1980년 사미계를 1988년 비구계를 수지했다. 해인사 포교국장, 법주사 수련원장, 청주 관음사 주지, 월간 「해인」 편집위원, 「불교신문」 논설위원 등을 지냈다. 『산 아래 작은 암자에는 작은 스님이 산다』, 『삭발하는 날』, 『행복은 지금 여기에』, 『좋은 봄날에 울지 마라』, 『꽃을 사랑한다』 등 여러 책을 냈다.

점점 더 멀어져갔다. 비는 흙을 외면했다. 계절이 가물었다. 장마에도 비는 짧고 굵게 내리고 떠났다. 흙의 기다림은 마른 먼지만 일으켰다.

청주 마야사로 향하는 날은 촉촉했다. 새벽까지 흙은 충분히 갈증을 풀었다. 감로수랄까? 단비였다. 5개월 전 인연의 목마름을 해결했다. 삼척 천은사 포행길을 비와 동행했던 동은 스님의 도반이 마야사에 있어서다. 청주에 있는 동은 스님의 도반을 찾아온 길에 비가 동행했다. 동은 스님의 도반이 가꿔 놓은 마야사 정원에 세 들어 사는 초목도 밤새 목을 축였다. 

시인 정호승은 ‘외로우니까 사람’이라고 했다. ‘풍경 소리 들리면 보고 싶은 내 마음이 찾아간 줄 알라’고 했다. 비가 물러가고 금세 따가운 햇볕이 내려왔다. 대웅전 처마 끝 풍경이 전하는 바람 소식을 초인종 삼고, 동은 스님의 그리움과 함께 마야사 정원에 들었다. 

사진. 유동영

 

| 눈 어두워서 별이 보인다

현진 스님은 흙이 좋다. 채마밭(채소 심는 밭)이던 이곳에 터를 잡고, 2012년 5월 산문을 열었다. 도량 구석구석 스님의 손길이 닿았다. 대웅전 옆 샛길로 올라가는 작은 언덕의 룸비니 동산, 탑, 갖가지 나무와 꽃, 앞마당 잔디, 주차장에서 정원에 오르는 길에 쌓은 탑이 다 스님의 정성이다. 

스님은 절 이름을 마야사로 정했다. 중생이 아프고 힘들면 토닥이는 포근하고 넉넉한 어머니의 품 같은 절을 상상했다. 그래서 부처님 낳은 마야부인의 이름을 빌려왔다. 한국에 마야사라는 절 이름이 드물어 홍보 효과(?)도 톡톡히 보고 있다며 스님이 웃는다. 

“나이 50이 넘어가니 흙이 좋아졌어요. 신경림 시인이 ‘나이 들어 눈 어두우니 별이 보인다. 눈 밝아 보이지 않던 별이 보인다’고 했는데, 그런 나이 즈음에 이곳에 왔습니다. 눈 밝고 기운이 넘쳐 바빠서 여유가 없어 하늘도 못 보고 별을 지나쳤던 시기를 지나서 나이 들어 눈 침침해지고 귀가 어두워지는 그럴 때요. 흙 만지고 꽃 가꾸는 일이 참 즐겁습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