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집] 세계 유무형문화유산의 미래
상태바
[특집] 세계 유무형문화유산의 미래
  • 효탄 스님
  • 승인 2020.07.26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대한 유산_세계 유무형유산의 미래

나라마다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에 관심이 뜨겁다. 따라서 경쟁도 치열하다. 문화유산 등재는 그 나라의 국격과 품위를 나타내는 바로미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유네스코는 유엔 교육 과학 문화 기구로서 193개 회원국이 있으며 한국은 1950년 가입했다. 현재 우리나라는 유네스코 유형문화유산 14개와 무형문화유산 19개, 자연유산 1개를 보유하고 있다. 

 

| 세계유산 중 불교 단독 유산 3개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하 산사)’ 등재에 본격적으로 시동이 걸린 것은 2011년 국가브랜드위원회에서 이배용 위원장이 전통사찰의 세계유산 등재 계획을 제시하면서부터다. 그러나 정권이 바뀌고 위원회가 해체됐다. 조계종은 문화재 관련 부처들과 협의하면서 각각 3회에 걸친 국내외 회의를 하는 등 최선을 다해 등재신청서를 올렸고 2013년 잠정등재 목록에 올랐다. 결실을 맺은 건 2011년으로부터 무려 7~8년이 지난 뒤였다. 모두 이혜은 동국대 석좌교수 등 관계자들의 노고 덕분이었다. 너무나 가깝기에 간과했던 우리의 소중한 불교자산이 세계인이 인정하는 문화유산이 된 것이다. 필자는 ‘산사’의 세계유산 등재 소식을 그리스 마테오라 공중수도원을 탐방하던 때에 듣게 돼 감회가 남달랐다. ‘산사’는 미얀마의 퓨 고대도시(2014)나 라오스의 비엔티안과 루앙프라방(1995)과는 사뭇 다르다. 한국의 사찰은 그 역사성 못지않게 그곳에서 여전히 의례와 교리학습이 이루어지고, 수행자들이 사는 수행 공간이며, 사상이 전승되는 살아 숨 쉬고 있는 종합승원인 것이다. 

한국은 1995년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 ‘종묘’ 3건을 유네스코에 유형문화유산으로 올린 이후 ‘창덕궁(1997)’, ‘화성(1997)’, ‘경주역사유적지구(2000)’, ‘고창’, ‘화순’, ‘강화의 고인돌 유적(2000)’,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2007)’, ‘조선왕릉(2009)’, ‘한국의 역사마을: 하회와 양동(2010)’, ‘남한산성(2014)’, ‘백제역사유적지구(2015)’, ‘산사(2018)’, ‘한국의 서원(2019)’ 총 14건을 올렸다. 한국은 올해 ‘탈춤’을 올렸다 한다. 유네스코 등재는 진행형이다. 한국불교 유·무형문화유산에 꾸준히 관심을 가져야 하는 시점이다.

유형문화는 전 세계에 걸쳐 문화유산으로 가치가 높은 것을 선정하는 것이다. 2018년 통계로 보면 전 세계 167개국에 분포, 총 1,092건 가운데 문화유산이 845건, 자연유산 209건, 복합유산 38건이 등재돼 있다. 한국의 무형유산은 2001년에 종묘제례악과 종묘제례를 시작으로, 2003년에는 판소리, 2005년에는 강릉 단오제가 등재됐다. 이후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 처용무(2009-5개), 가곡, 대목장, 매사냥(2010-동시),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2011-3개), 아리랑(남 2012/북 2014), 김장문화(남 2013/북 2015), 농악(2014), 줄다리기(2015 동시), 해녀(2016), 씨름(2018 남북한 동시) 등 총 19건이 등재됐다. 최근 무형문화 등재에 관한 관심과 국가 간 경쟁이 심해지자 2015년 이후부터 한 나라에서 2년에 1개 후보작만 내게 하고 있으며, 공동 등재가 추세다. 2019년 기준 122개국 508개의 유산이 등재, 대표목록 등재유산은 429개, 긴급목록은 50개, 모범사례는 20개다.

 


관련기사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