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 철학자의 사색] 숲으로 철학하기
상태바
[숲 철학자의 사색] 숲으로 철학하기
  • 김용규
  • 승인 2020.07.28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의 많은 대학에서 철학과가 사라지기 시작한 지는 꽤 됐다. 철학을 포함한 인문이 밥이 되기에 너무 어려워진 세태 탓일 것이다. 당신의 직관으로 나름 세상을 미리 읽고 계시던 나의 선친께서도 유년의 내게 장차 글을 쓰거나 철학을 하며 살지는 말라 하셨다. 삶이 곤궁해지고 위험해질까 염려하셨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어디 자식이 부모 뜻대로만 되는 존재던가? 또 한 사람에게 운명이란 것이 어찌 그의 의지대로만 다가와 주던가? 그 지침을 주시던 아버지의 나이를 통과하고 있는 나는 지금 사람들에게 숲의 철학자로 불리는 삶을 살고 있다. 철학이라는 학문을 전문으로 연구한 사람도 아닌 나를 사람들은 왜 그렇게 부를까? 숲으로 철학을 하는 사람이라니! 십수 년을 숲에 머물며 숲을 읽고 느끼면서 살고 있으니 숲에 대해서는 할 말이 조금 있다 치더라도, 철학이라니! 철학이 무엇인지 나름대로 개념을 갖기 시작한 얼마 전에야 나는 그 맥락을 이해했고 쑥스럽게 여겨지던 그 호칭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우리에게 철학은 통상 거창하거나 골치 아픈 것, 혹은 낯설거나 복잡한 것, 심지어 실용이나 현실과는 동떨어진 것으로 자칫 삶을 가난하게 할 수도 있는 위험한 것으로 인식되어 온 경향이 있다. 그러나 그것은 철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영역의 일부에 해당하고 더러 타당할 수 있는 인식일 것이다. 깊게 생각해 보면 오히려 철학은 우리에게 공기와 같고 물과 같다. 알고 보면 우리는 날마다 철학적으로 살고 있다. 학제적 엄밀성을 벗어버리고 조금 편하게 생각해보면 철학은 크게 네 덩어리다. 논리와 관점, 윤리와 실천이 그것이다. 우선 논리를 바탕에 깔고 다음으로 관점으로 시동을 건다. 예컨대 ‘돈이란 무엇인가?’ 누군가 ‘돈으로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다. 고로 돈은 만능이다’라는 관점을 갖고 있다 치자(인식론). 이제 그는 돈에 관한 자신만의 규범과 윤리를 세우고 그것으로 무장하게 된다(윤리론). 그리고 그에 따라 행동하게 될 것이다(실천론). 이제 그는 돈이 된다면 무엇이든 하는 태세로 삶을 살 가능성이 크다. 통상, 이 일련의 흐름에는 자신만의 논리가 깔려 있기 마련이다.

이런 관점으로 철학을 정의하고 바라볼 때 내게 숲으로 철학하는 삶이 시작된 것은 마흔이 넘은 어느 날이었다. 생뚱맞게도 그것은 한 그루의 소나무와 함께 시작되었다. 나 어릴 적 소나무는 뒷동산과 앞동산에 지천이었다. 그 시절의 소나무는 내게 인간의 일상에 이로운 나무 정도로밖에 인식되지 않았다. 송편을 찔 때 시루에 깔기 위한 솔잎, 구들방 아궁이의 불쏘시개로 쓰기 위한 솔잎, 그리고 땔감으로 쓸 삭정이, 집 지을 때 쓰는 목재, 대보름날 쥐불놀이 때 밑불로 쓸 관솔을 제공하는 이로운 나무 정도로만 경험되고 인식된 것이 소나무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