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지(直指)로 만나는 선지식 - 대상을 인식하는 주체는 무엇인가
상태바
직지(直指)로 만나는 선지식 - 대상을 인식하는 주체는 무엇인가
  • 범준 스님
  • 승인 2020.04.29 09: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승가난제 존자와 가야사다 존자

|    #1 기이한 아이

오랫동안 부처님께서 머무셨던 코살라(Kośalā, 憍薩羅)의 수도 슈라바스티(Śrāvastī, 舍衛城)의 보장엄왕(寶莊嚴王)에게는 갓 태어난 아들이 있었다. 아이는 세상에 나오며 부처님의 가르침을 찬탄하는 말을 할 정도로 특별한 아이였다. 항상 고요한 곳을 찾아 명상하기를 즐기던 아이는 7살이 되어 자신의 의지를 부모님께 말씀드렸다.

“저는 이제 세상의 인연을 벗어나 출가수행을 소원하니 제 뜻을 이루게 해 주십시오.”

보통 아이들과 달리 기이한 성장을 보이던 아들이니 예상은 하고 있었지만, 아버지 보장엄왕과 어머니 분타리(芬陁利) 부인은 너무 어린 나이에 부모 곁을 떠나고자 하는 아들의 출가를 허락할 수 없었다. 벌써 수일째 음식을 거부하며 출가에 대한 결연한 의지를 보이는 아들을 위해 부모는 두 가지 특별한 조건을 제안하며 출가를 허락했다.

|    #2 출가의 조건

첫 번째, 왕궁을 떠나지 않고 왕궁에서 출가 수행자로 살아야 한다. 두 번째, 높은 수행력과 덕망을 갖춘 장로 선리다(禪利多) 비구를 스승으로 모셔야 한다. 

출가의 해결책을 찾던 아이는 부모님의 조건을 받아들인 후 ‘승가난제(Saṃghanandi, 僧伽難提)’라는 법명을 받았다. 비록 출가 형식은 괴이했지만, 승가난제 존자는 스승의 가르침에 따라 19년 동안 정진하여 게으른 적이 없었다. 그날도 스승의 가르침을 되새기며 정진을 마친 승가난제는 이런 생각을 했다. 

‘참다운 수행자의 마음가짐은 처음 출가하던 때와 조금도 어긋남 없이 오롯하여 수행과 정진에 게으르지 않았다. 아직도 육체의 몸은 왕궁에서 아침저녁으로 부모님을 뵈면서 편안하게 살고 있으니 이것을 어찌 진정한 출가라 할 수 있겠는가? 수행의 향상과 소소한 번민이라도 일으키지 않기 위해 왕궁을 떠나는 것이 좋겠다.’

비록 출가는 했다 하나 자유롭지 못한 자신의 처지를 생각하던 어느 날 저녁이었다.

깊은 명상에 잠겨 있던 승가난제는 하늘에서 한 줄기 광명이 비추며 곧게 뻗은 평탄한 길이 눈 앞에 펼쳐지는 것을 보았다. 승가난제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새로운 수행처를 찾아 왕궁을 떠나야 할 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행히 모두 잠든 시간이었다. 왕궁을 빠져나온 승가난제는 오랜 시간 천천히 걸어서 도착한 커다란 바위 앞에 있는 석굴을 수행처 삼아 조용히 정진을 시작했다.

|    #3 선등(禪燈)을 부촉할 제자

왕궁을 떠나 수행한 10년 동안 승가난제는 스승인 라후라다(Rāhulata, 羅睺羅多) 존자에게 법을 부촉(불법 보호와 전파를 맡겨 부탁함) 받아 제17대 조사가 되었다. 이미 곳곳에서 수행과 교화를 펼치던 승가난제는 인도 북부의 강대국인 마가다(Magadha, 摩竭陀)에 이르렀다. 예나 지금이나 마가다국은 활기가 넘치고 문물이 번화한 나라였다. 함께 수행하던 대중들과 전법을 펼치던 승가난제는 어느 산의 봉우리 아랫마을에 이르렀다. 

거룩한 수행자를 찾기 위해 승가난제와 제자들은 오래도록 마을을 배회하며 이곳저곳을 살피고 있을 때였다. 어느 집에서 12살쯤 되어 보이는 아이가 구리로 만든 둥근 거울[銅鏡]을 가지고 곧바로 승가난제 앞으로 오는 것이었다. 혹여 자신이 찾던 수행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당당한 기개로 자신을 올려다보며 눈을 깜빡이는 아이에게 물었다. “너는 나이가 몇 살쯤 되었느냐?” 아이가 대답하기를 “백 살입니다”라고 했다. 승가난제는 “나이가 아직 어려 보이는데, 어찌 백 살이라고 하는가?”라고 물었다. 아이는 “저도 왜 그런지는 모르지만 제 나이는 분명히 백 살입니다”라고 했다.

다소 엉뚱한 아이의 대답을 신중하게 듣고 난 뒤 승가난제는 칭찬의 말을 건넸다. “너의 근기가 매우 뛰어나구나.” 아이는 덧붙여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제가 듣기에 부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만약 어떤 사람이 100년을 살아도 부처님의 법기(法機)를 알지 못하는 것은, 단 하루를 살면서 불법의 근본을 분명히 아는 사람보다 못하다’라고 했습니다.”

이 한마디에 아이의 비범함을 알아챈 승가난제는 둥근 거울의 의미를 물었다. 아이는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은 크고 둥근 거울과 같아서 안과 밖으로 티끌조차 숨기는 것이 없다는 것을 알리고자 하는 의미입니다”라고 대답했다.

부처님 가르침은 둥근 거울과 같아 누구나 무엇이나 밝게 비춰주는 것이라는 아이의 설명은 승가난제를 망설이게 하지 않았다. 아이는 자신의 법을 계승하기에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바른 법[正法]에 대한 견해를 갖춘 상태였다. 곧장 아이의 부모에게 출가를 허락받고 구족계와  ‘가야사다(伽耶舍多)’라는 법명을 내려주었다.

|    #4 무엇이 대상을 인식하는 주체인가?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