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볼 일 없는 그대, 오늘부터 반짝이는 1일
상태바
별 볼 일 없는 그대, 오늘부터 반짝이는 1일
  • 허진
  • 승인 2020.03.31 15: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특집 | 열려라, Six-Sense[六根] | 별이 쏟아지는 밤에
사진  |  중미산 천문대 제공
사진 | 중미산 천문대 제공

집 앞 화단에 핀 꽃, 깊게 주름진 어머니의 눈가 등 모든 시각 정보가 마음을 울리는 버튼이 될 수 있다. 너무 일상적이어서 의식하지 않고 지나쳐버릴 뿐이다. 너무 흔해서 사람들 관심 밖으로 밀려난 것이 또 있다. 바로 언제나 하늘에 빛나고 있는 별이다. 그런데 바쁜 삶에 치여 ‘별 볼 일 없이’ 살던 사람들도 어쩌다 별 볼 기회가 있으면 약속이나 한 것처럼 소원을 빈다. 잠시 하던 걸 멈추고 고개를 들어 별을 보자. 별 볼 일 없는 그대, 오늘부터 반짝이는 1일이다.

 

 

|    동심으로 돌아가는 곳, 중미산 천문대

서울에서 1시간이라는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가장 많은 별을 볼 수 있다는 말에 기대를 품고 중미산 천문대로 향했다. 구불구불 길을 거쳐 산 중턱에 있는 중미산 천문대에 도착하자 기분 좋게 차가운 공기가 코에 훅 들어온다. 빛도, 소음도 없는 이곳에 고립된 듯한 느낌이 나쁘지 않다. 멋진 광경을 미리 봐버리는 것이 아까워 일부러 고개를 들지 않으려 노력하며 천문대 건물에 들어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영향으로 방문객이 거의 없을 거란 예상이 보기 좋게 빗나갔다. 토요일 저녁 8시. 함께 별자리 여행을 떠날 적잖은 방문객이 카페처럼 꾸며진 아늑한 대기실 안에서 함께 온 가족, 연인, 친구들과 두런두런 얘기를 나누고 있다. 별자리 여행을 앞둔 방문객들의 얼굴 속엔 설렘이 가득하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했던가. 별 관측에 앞서 강의실에서 별에 관한 짧은 선행학습을 시작했다. “별은 왜 모두 ‘점’ 모양일까요?” 웅성웅성 떠들던 사람들이 교육을 맡은 천문대원이 던진 질문에 조용해진다. 정답은 “너무 멀리 떨어져서”다. 별은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탓에 모두 ‘점’ 모양으로 보이지만, ‘점’ 모양이 별의 실제 모습은 아니라고 한다. 문득 세상 만물의 모습은 정지·고정된 모습이 아니라는 불교의 가르침이 뇌리를 스친다. 이어 천문대원은 우리가 지금 보는 별은 사실 먼 과거 모습일 수 있다는 재밌는 사실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440광년(빛의 속도로 1년이 걸리는 거리를 나타내는 단위, 1광년=약 10조km) 떨어진 별에서 출발한 빛은 440년만큼의 시간이 지난 후 우리의 눈에 들어온다. 지금 내 눈에 보이는 별이 상상도 못 할 정도로 먼 과거에서 보낸 메시지라고 생각하니 왠지 모르게 가슴이 벅차오른다. 마지막으로 오늘 관측할 별자리 이름과 모양을 익힌 후 천문대원 안내에 따라 천문대 옥상으로 이동했다.

 

 

|    하늘을 수놓은 아름다운 그림들

칠흑 같은 어둠 속 영롱하게 빛나는 건 하늘의 별뿐이다. 빛 공해를 만드는 스마트폰 사용도 조심스러워진다. 천문대원이 캄캄한 하늘에 지시용 레이저 포인터로 별과 별 사이를 연결하며 별자리들을 소개하자 여기저기서 “와” “저기 있다” 하는 탄성이 들린다. 개중에 별자리를 잘 못 찾는 사람들도 보인다. 기자 역시 그중 하나다. 국자 모양의 북두칠성은 국제 천문 연맹에서 정한 표준 별자리 기준에서 보면 큰곰자리의 엉덩이와 꼬리 부분에 해당한다는 천문대원의 설명을 듣고서야 더는 일곱 개의 별을 국자 모양으로도, 큰곰의 엉덩이 모양으로도 집착하지 않기로 한다. 실체 없는 말에 집착해 별자리를 찾느라 별 자체의 아름다움을 놓칠 수 없지 않은가. 잘 보이지 않는 별자리 수만큼 하트 모양, 강아지 모양, 나무 모양 등 직접 별자리를 만들며 하늘을 수놓은 아름다운 그림들을 눈에 담는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