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나는 불교] 내면에서 울리는 소망의 소리 : 대불플러스大佛普拉斯, 2017 / 김천
상태바
[영화로 만나는 불교] 내면에서 울리는 소망의 소리 : 대불플러스大佛普拉斯, 2017 / 김천
  • 김천
  • 승인 2019.04.25 17: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세상의 불의와 거짓과 부조리를 향해 우리의 내면에서 울리는 소망의 소리

어떤 영화를 불교 영화라 할 수 있을까. 우선 부처님 혹은 스님, 불자의 삶을 다룬 영화가 있을 것이고 경전이나 불교 설화를 담은 영화도 불교 영화로 부를 수 있다. 영화 싯다르타, 동승, 티베트에서의 7년, 쿤둔, 컵, 리틀 붓다, 만다라, 서유기 월광보합-선리기연 등이 이에 속한다. 반면 의외의 영화에서 불교적 가르침을 찾을 때도 있다. 매트릭스, 파이트 클럽, 인투 더 와일드, 천년을 흐르는 사랑, 루시, 동사서독 등이 불교 영화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다. 겉보기에 부처님도 스님도 나오지 않지만 이 영화들은 대체로 불교의 세계관과 가르침을 뼈대로 삼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대만 후앙신야오 감독의 대불플러스(大佛普拉斯, 2017)는 후자에 가까운 영화이다.

영화 제목이 대불플러스인 것은 후앙 감독의 전작인 단편 영화 대불(2014)에 이야기를 덧붙여 장편으로 만들었기 때문이다. 감독은 크기가 커진 아이폰을 아이폰 플러스라 부르는 것을 보고 자신의 영화에도 대불플러스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밝혔다. 대불플러스는 2017년 대만 금마영화제에서 신인감독상과 촬영 등 다섯 개의 상을 휩쓸었고 제22회 부산국제영화제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공교롭게도 그해 대만 금마상 작품상과 여우주연상을 받은 작품은 양아저 감독의 혈관음(血觀音)이다. 이 영화도 불교적 가르침을 숨기고 있다. 두 영화 모두 현실 비판적인 블랙 코미디로 주목할 만한 작품으로 평가받은 작품이다.

대불플러스의 무대는 대만 타이난의 불상 제작 공장이다. 사장인 케빈은 누가 봐도 잘나가는 성공한 사람이다. 외국 유학파에 가족 모두는 이민 가 있고, 지역 사회의 유지로 기부도 아끼지 않으며 정치인은 물론 유력 인사와 두터운 인맥을 가지고 있다. 영화의 주인공인 차이푸와 두차이는 가난하고 고된 삶을 산다. 영화 속에서 차이푸와 두차이의 현실은 줄곧 흑백 화면으로 전개되고, 케빈의 세상은 컬러 영상으로 진행된다. 영화는 무색과 유색으로 현실과 비현실이 명확히 구분돼 있다.

차이푸는 케빈의 공장에서 야간 경비원으로 일하며 낮에는 장례식 악대에서 망자를 위해 북을 치는 일로 생계를 꾸려간다. 그의 모친은 병들고 그의 삶은 무료하다. 두차이는 재활용품을 주워 팔고 더러는 경찰로부터 이유 없이 구타당하며 인형 뽑기만이 유일한 낙인 사회의 낙오자이다. 그들은 두차이가 쓰레기 더미에서 찾은 성인잡지를 공장 경비실에서 함께 보는 일로 무료한 시간을 보내고 있었다. 텔레비전이 고장 나자 볼거리를 찾다가 케빈의 차량 블랙박스를 훔쳐본 일로부터 문제가 일어났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