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우방 에세이] 천 년의 수도 경주에서 미술사학의 길을 개척하다
상태바
[강우방 에세이] 천 년의 수도 경주에서 미술사학의 길을 개척하다
  • 강우방
  • 승인 2019.04.25 14: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예전.1968년 결혼 직후

대학 시절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을 놓칠 뻔했다. 거의 매일 일기를 썼다는 것을 지나칠 수 없다. ‘동시에 문학이며 동시에 철학이며 동시에 음악이며 동시에 그림이며 동시에 글씨이며 동시에 종교인 그 무엇을 추구한다’고 매일 노래처럼 읊조렸다. 그 꿈이 먼 훗날 이루어진 것은 대학 시절 막연히 열망했던 소망이 있었기에 가능했을지도 모른다. 일기는 매일 쓰다가 잊어버렸다가 다시 쓰곤 했는데 최근 15년 동안은 매일 일기를 빠트리지 않고 쓰고 있다. 최근 일어난 새로운 학문의 변화 과정을 기록해 두고 있는 것은 대학 시절의 습관 때문이리라.

그리고 매일 음악을 들었다. 그 계기는 고등학교 1학년 때 박판길 음악 선생님이 만들어 주셨다. 어느 날 음악 시간에 박 선생님은 포터블 축음기를 들고 교실로 들어오시더니 턴테이블에 레코드 한 장을 올려놓고 드보르작의 제9교향곡, <신세계로부터>를 틀어주셨다. 당시에는 라디오뿐이어서 축음기는 보지도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아예 구경할 생각도 못 할 때였다. 클래식은 들어본 적도 없을 때라, 처음부터 끝까지 음악에 몰입하여 깊은 황홀경에 빠져들었다. 신세계 교향곡은 참으로 나에게 신세계를 열어주었다. 그날의 감동을 잊을 수 없다. 차라리 충격이었다. 눈을 떠 보니 현실이 그대로 신세계였다. 먼 훗날 내가 인류의 문화사에서 신세계를 열 수 있었던 원동력이었는지도 모른다. 당시에 미군 방송에서 밤 9시부터 12시까지 클래식을 들려주었고 아침 5시부터 8시까지 재방송이 있어서 매일 6시간씩 클래식을 들었다. 반복해서 들으니 모르는 음악이 없을 정도였다. 그 후 지금까지 동서양의 모든 장르에 걸쳐 음악과 함께 살고 있다.

그리고 나의 아내 이야기를 좀 더 해야겠다. 사람들이 가장 궁금하게 생각하는 것은 도대체 그런 마음씨 착한 미인을 어떻게 만나게 되었느냐는 것이다. 고등학교 동창 가운데 나를 따르던 친구가 있어서 가끔 집에 와 여러 가지 상의도 하고 책을 빌려 가곤 했는데, 지금 생각해보니 내가 그의 롤모델이었던 것이다. 한참 서양화를 그리고 있을 때 마땅한 작업실이 없어서 그림을 그릴 수 없다고 했더니, 자기 집에 빈 공간이 많으니 와서 그리라고 했다. 언덕 꼭대기에 교회가 있는, 지금의 한남동 옛집들이 있는 곳이다.

바깥채가 비어 있어서 그곳에 그림이나 붓글씨를 걸어놓기도 하고, 캔버스에 유화를 그리고 담요를 놓고 붓글씨도 썼다. 그 광경을 본 여성이 바로 친구 동생이었다. 추운 겨울에는 난로를 피워도 추웠다. 그런 악조건에서 작품을 열심히 하는 광경을 보고 감동을 받아 가끔 계란 후라이도 해서 갖다 주었는데, 그러는 사이 사랑이 싹튼 것이다. 아내는 내가 너무 가련해서 헌신하기로 결심한 모양이었다. 함께 서예반에서 붓글씨를 썼고, 사군자도 그렸다. 아내의 글씨는 한마디로 평하자면, 사무사(思無邪)라 말할 수 있다. 결혼 후에도 함께 붓글씨와 사군자 치는 법 배우기를 계속했다. 서예반 전시 때 아내는 해서를 썼고, 나는 주 나라 때 만든 산씨반(散氏盤)의 전서(篆書)를 써서 두 작품을 출품했다. 약혼 후일 것이다. 임서한 두 작품 앞에서 함께 찍은 사진이 남아 있어서 반가웠다. (사진 1)

이제 학교도 그만두고 결혼도 하고 꿈에 그리던 직장도 얻었으니 아무 걱정이 없었다. 그러나 당시 공무원 봉급이라고 해보아야 임시직이어서 보잘것없었고 게다가 이듬해 첫아들 인구가 태어났다. 그래서 우리 가족은 안양으로 이사해 조그만 약국을 차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