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쓰는 불교개론] 불교의 업설業說
상태바
[다시 쓰는 불교개론] 불교의 업설業說
  • 장휘옥 김사업
  • 승인 2019.02.08 09:59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삶은 항상 모든 방향으로 열려 있다

| 다양성과 유연성 — 불교의 저력

불교가 탄생하기 전, 이미 인도에는 70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바라문교가 세력을 떨치고 있었다. 석가모니는 정통 바라문교와는 전혀 다른 사상을 가 진 수많은 출가 사문들 중의 한 명에 불과했다. 이러한 불교가 오늘날 세계 3 대 종교 중의 하나로 성장한 저력은 어디에 있을까? 그 저력 중의 대표적인 하나로 꼽을 수 있는 것이 불교의 다양성과 유연성이다. 시대와 지역에 따라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며 적응해 가는 이 생명력은 앞의 연재에서 밝힌 대 로 석가모니가 설한 불교 교리 자체에 이미 내재해 있었다.

기독교의 『신약성서』는 397년에 정경(正經, 공인된 경전)으로 확정되었다. 이후 오늘날까지 그대로 이어져 오고 있다. 기독교에도 당연히 정경 이외의 경이 있었지만, 정경이 확정되면서 이 경들은 이단으로 배척되었다. 기독교 역사에서 정통과 이단 사이의 투쟁은 끊이지 않았다.

이슬람교의 『꾸란(=코란)』이 현재의 내용으로 확정된 것은 651년 제3대 칼리프인 우스만(‘Uthmān, 644~656년 재위)에 의해서이다. 그는 『꾸란』의 서로 다 른 이본異本이 지역마다 나타나자 이를 소각하고 정본을 확정 지었다. 이 정 본만이 천사 가브리엘이 전달한 신의 말씀으로 인정되어 현재에 이르기까 지 한 자의 첨삭도 없이 보존되어 온다. 이슬람교에서는 정본의 훼손을 막기 위해, 『꾸란』을 다른 언어로 번역한 것조차 『꾸란』이 아닌 ‘『꾸란』의 해설’로 본다.

불교에는 ‘팔만사천 법문’이라 일컬어지는 다양한 내용의 수많은 성전이 있지만, 『신약성서』나 『꾸란』과 같은 정경 내지 정본은 없다. 불교의 역사에서 특정 부파나 종파가 자신들의 견해에 가장 적합한 경전 등을 불설(佛說, buddha vacana, 붓다의 말씀・교설) 또는 소의경전으로 삼은 일은 많다. 그러나 불교계 전체 회의 등을 통하여 특정 경전을 정통으로 규정하고 나머지는 이단으로 배제한 적은 없다.

불설佛說에 대해 서로 다른 기준을 가지고 있었기에 상대 그룹이 전승하 고 있는 경전이나 사상을 불설이 아니라고 비판하는 일은 있었다. 그렇다고 해서 그 경전이나 사상이 배척이나 박해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아니며, 상대 도 동일한 불교도로서 인정되었다. 때문에 불교에는 다양한 내용을 가진 수 많은 성전이 전승되어 왔으며, 거기에는 개별 상황과 분야, 심도에 맞는 무수 한 지혜가 농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불교는 서로 다른 교리의 병존을 허용하며, 그런 만큼 교리와 이에 근거한 실천・수행법은 매우 다양할 수밖에 없다. 이것은 불교가 갖는 특성이며, 유일신에 대한 신앙을 기본으로 하는 종교가 성장한 요인과는 정 반대되는 성장 요인이기도 하다.

이상과 같은 불교의 특성을 감안했을 때 불교 교리를 소승과 대승, 정통 과 비정통 등으로 구분하여 어느 쪽에 우위를 두고 한쪽을 내치는 태도로 접 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경향에 빠질 수 있으 며, 그러한 틀에 사로잡혀 번뇌를 소멸하는 다양한 지혜를 외면하는 우를 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불교 정신에 맞지 않으며, 도그마에 기반한 타 종교적 태도로 변모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지금부터는 다양성 속에서도 시대를 관통하여 그 기본에 자리 잡고 있다고 생각되는 불교 사상의 주요 주제를 중심으로 불교의 교리와 실천・수행, 그리고 신앙과 생활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불교의 업과 윤회설, 그리고 바라문교・자이나교와의 차이점

새로운 사상을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에게 그 사상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려 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 사람이 이미 알고 있는 종교나 사상의 용어를 사용 하되, 그 용어의 의미를 새로운 사상에 맞게 바꾸는 것도 한 방법일 것이다. 석가모니도 이런 방법을 사용하여 자신의 가르침을 설하기도 했는데, 그 대 표적인 경우가 ‘업(業, karman)’에 대한 가르침이다.

업은 불교가 출현하기 전부터 바라문교에서 사용한 용어다. 업에는 기 본적으로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행위’고, 또 하나는 그 행위의 결과로 남게 되는 ‘그에 합당한 과보를 초래할 수 있는 힘’이다. 이 두 의미 중 어느 것을 뜻하는가는 문맥에 따라 결정해야 하지만, 두 의미가 함께 결합된 상태 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이 업이란 용어에는 행위는 그에 합당한 과보를 가져온다는 인 식이 들어 있다. ‘선인락과善因樂果 악인고과惡因苦果’라는 말 그대로, 선업(선한 행위)은 즐거움을 초래하고 악업(악한 행위)은 괴로움을 초래한다. 이 업에 의해 윤회도 있게 된다. 윤회 또한 불교 출현 이전 바라문교에서 창출한 용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소엽 2019-05-14 18:19:26
불교의 인연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