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 에세이] 달 그림자
상태바
[테마 에세이] 달 그림자
  • 황건
  • 승인 2019.01.03 10:5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황건 인하대 의대 교수

불심을 가진 사람이건 아니건 간에 우리나라에서는 불교미술을 손쉽게 접할 수 있다. 어느 지역이고 명승지 목록에 사찰이 들어있을 뿐 아니라 학생 시절 수학여행지에서도 빠지지 않아 그럴 것이다. 즉 우리나라에서 불교는 종교라기보다 ‘생활’에 가깝다고 하겠다. 이렇게 익숙한 덕택에 늘 보면서 천편일률적으로 같다고 생각했던 불상이나 불화에 특별한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큰아이가 초등학교 4학년 때였다. 내가 교환교수로 갔던 미국에 함께 가서 일년 반 뒤에 돌아온 아이들은 삼국시대가 고구려, 백제, 신라라는 기본적인 우리나라 역사도 모르기에 큰일 났다고 생각하고는 독립기념관을 시작으로 거의 매 주말마다 박물관을 데리고 다녔다. 

여주 목아박물관의 잔디밭에서 대리석으로 조각된 관세음보살 좌상을 보고 그 아름다움에 이끌려 그곳에서 『알기 쉬운 불교미술』이라는 책을 얼른 구입하였다. 책을 읽고서야 그 동안 수많은 사찰을 돌아 보았어도 구별하지 못하였던 석가모니불, 아미타불, 관세음보살, 비로자나불을 비로소 구별하게 되었다. 이후 얼굴계측을 이용하여 미인도와 부처의 얼굴을 비교하는 논문까지 쓰게 되었으니 이만저만한 인연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 즈음 서점에서 책들을 뒤적이다가 우연히 이용범 작가의 『일만 년 동안의 화두』라는 책을 발견하고 구입하였다. 화두는 자주 쓰는 단어이지만 부처가 꽃 한 송이를 들어 청중에게 보였을 때 마하가섭만이 미소를 지었다는 염화미소에 그 기원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어느 대통령이 즐겨 쓰던 ‘대도무문’은 남송의 무문혜개가 쓴 『무문관』에서 나온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깨달음의 비밀 중 하나가 마음속의 분별을 없애는 것이다”는 이야기와 「안심문답」, 『달마어록』, 『임제어록』, 『벽암록』 등이 소개되어 있었다. 호기심에 빠져 이것저것 읽다 보니 결국 『벽암록』까지 사서 보게 되었다.

2004년 가을 어느 금요일이었다. 원주 연세대학교에서 연구팀이 회의를 마치고 다들 서울로 올라갔는데, 나는 혼자 강릉에 가서 바다가 보이는 여관에 묵었다. 난간에서 보름달을 보았고 그 달이 바다에 비치는 광경을 보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