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견문록] 중관학당
상태바
[수행견문록] 중관학당
  • 김성동
  • 승인 2017.09.05 1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성과 적선의 지혜를 맛보다
사진 : 김성동

‘공성空性과 적선積善을 위한 지혜. 논리로 논리를 논파하다.’ 중관학당 하계캠프가 열린 해남 일지암 ‘숲속도서관’에 걸린 중관학당 알림 글이다. 중관학당은 인도 타고르 대학의 인도-티베트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티베트 스님들에게 중관사상을 가르쳤던 신상환(51) 박사가 이끄는 공부 공동체다. ‘중관中觀’은 2~3세기 인도의 대학자 용수(龍樹, Naga-rjuna)의 사상을 일컫는다. 오늘(8월 12일)부터 1박 2일 동안 배울 『중론中論』을 쓴 이가 바로 용수다. 『중론』은 모두 27품 445게송으로 이루어졌고, 그 중심사상은 공空과 연기緣機로 용수 이후의 대승불교는 대부분 이 『중론』의 영향 아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용수가 ‘대승불교의 아버지’라 불리는 까닭이기도 하다.

 

|    용수의 생각, 두 가지

이곳 일지암에 도반들이 찾아온다. 30대부터 60대까지 부산과 서울, 지리산 등의 지역에서 18명이 왔다. 학생부터 한의사까지 다양한 직업을 가진 이들이다. 적지 않은 도반들이 이미 중관학당 1기와 2기를 마쳤다. 『중론』을 공부하러 간다는 소식을 페이스북에 올리니, 인도철학을 전공한 중견 학자는 “오, 중론 그 어려운 것을~”이란 댓글을 달았다. 중관학당 대표인 신 박사는 “이번 캠프는 그동안 배웠던 『중론』을 복습하는 자리이기도 합니다. 공부는 반복하는 것입니다.”라며 학인들을 격려했다. 또 배울 것이 있다. 역시 용수 스님이 지은 『권계왕송勸誡王頌』(국내에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로 번역 출간됐다.)이다. ‘『중론』을 공부하는데 도덕을 권하는 게송이라.’ 이런 생각을 하는데, 곧 신 박사의 말이 뒤따른다. 

“용수는 무슨 생각을 갖고 있었는가, 옛날부터 ‘공병空病에 걸리면 약도 없다.’란 말은 왜 생겼는가, 이런 생각을 해봅니다. 우린 그동안 ‘있는 것이 아니다.’란 논파법을 배우며, 공병에 빠지지 않는 것을 공부했는데, 정말로 중요한 것은 용수는 왜 도덕적인 삶을 강조했던가, 입니다. 용수는 수많은 사상들을 논파하는데, 왜 논파하는가. 논파를 통해서 추구하는 것은 바로 도덕적인 삶입니다. 인도-티베트 전통의 중관사상은 신통방통하고 오묘한 공사상이 아니라, 그냥 착하게 살기 위한 삶의 지침이고, 지혜를 통해서 자신의 삶의 지표를 확장해 나가는 것입니다.”  

용수가 추구하는 것이 도덕적인 삶이다. 용수와 윤리. 낯설다. 『중론』은 공과 연기 사상인데, 도덕과 윤리라니. 신 박사에 따르면 용수의 사유는 두 가지로 되어 있다. 하나는 중관사상에 나타난 공을 위한 논파, 다른 하나는 불교적 세계관에 기반한 도덕적 삶의 강조다. 그런데 이 도덕적 삶의 강조 부분이 한역 전통에서는 사라졌다. 신 박사는 대중에게 질문을 던진다. “그럼 티베트는 왜 이것이 살아있고, 강조할까. 왜 그럴까.” 신 박사에 따르면 이는 중국과 티베트의 차이 때문이다. 중국은 도덕이 과잉되었고, 티베트는 아예 없었다. 티베트는 이것(『권계왕송』)을 통해 도덕률을 만들었던 것이다. 한쪽은 도덕이 너무 많아서 안 배웠고, 한쪽은 없어서 배운 것이다. 한역에서는 ‘용수, 중론’하면 어려운 중관사상만 생각하는데, 용수의 생각은 두 가지, 공과 도덕적 삶인 것이다. 

|    공空은 연기緣起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