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두, 마음을 사르는 칼] 화두는 타파되는가
상태바
[화두, 마음을 사르는 칼] 화두는 타파되는가
  • 박재현
  • 승인 2017.06.18 18: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그림 : 이은영
그림 : 이은영

‘타파’로 소리 나는 우리말 발음은 통쾌하다. ‘타’와 ‘파’로 연이어지는 강한 파열음은 더할 나위 없이 절묘하다. ‘타’라고 발음할 때, 젖은 혓바닥 끝은 치아 사이를 힘차게 치고 나간다. 또 ‘파’라고 말할 때, 붙어 있던 입술은 둑이 터지듯 갈라진다. 그렇게 강렬하게 치고 나가서 만들어내는 ‘타파’라는 음색은 너무 통쾌해서, 이보다 더 뒤끝을 남기지 않는 소리가 또 있을까 싶다. 화두와 관련해서 타파라는 말귀를 처음 가져다 쓴 사람이 누군지는 잘 모르겠지만, 천재적인 안목을 지닌 인물이었음이 틀림없다.

‘타파’에 상응할 만한 순우리말은 ‘깨다’가 아닐까 싶다. 접시를 깨는 것도 ‘깨다’고, 잠이나 술기운에서 벗어나는 것도 ‘깨다’고, 생각이나 지혜 따위가 발휘되는 것도 ‘깨다’로 표현된다. 깨우친다거나 깨닫는다는 말도 다 ‘깨다’에서 비롯된 말이다. 타파는 한자어고 깨다는 순우리말인데, 화두와 관련해서는 왠지 깨다보다는 타파라는 말이 더 끌린다. 깨다가 타파로 발음되는 소릿값을 감당해내지 못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타파는 한자로 ‘打破’라고 쓴다. 간화선을 말하면 자주 나오는 말귀 가운데 하나가 ‘화두타파’가 아닐까 싶다. 화두타파는 해탈이나 깨침 혹은 성불과 거의 같은 의미로 쓰인다. 선禪에 대한 모든 선이해先理解를 걷어내고 ‘화두타파’라는 네 글자의 한자어만 놓고 보면, 세 가지 독해가 가능하다. ‘화두가 타파’로 독해할 수도 있고, ‘화두로 타파’로 읽을 수도 있고, ‘화두를 타파’로 받아들일 수도 있다. 한문 문법상 이 세 가지가 모두 가능하다.

선 전통에서 화두타파는 ‘화두를 타파’로 주로 독해되어 왔다. 순우리말로는 ‘화두를 깨다’라는 말로 표현되었다. 이렇게 읽으면 화두가 타파의 목적어가 되므로, 타파의 대상이 화두가 된다. 화두를 타파의 대상으로 여겼다는 사실은 대한불교조계종에서 야심차게 기획 간행한 간화선 수행지침서의 머리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되어 있다. “간화선에서는 말길이 끊어진 화두를 통하여 몰록 불립문자의 세계로 들어선다. 화두를 단박에 타파하여 그 자리에서 견성한다. 간화선이야말로 교외별전, 불립문자의 세계에 가장 정확하고 빠르게 들어가는 문 없는 문이다.”

선문禪門에서 화두타파는 이렇게 ‘화두를 타파’의 의미로 굳어졌다. 그리고 수행 참여자나 불자들은 화두가 타파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당연시했다. 화두타파라는 용어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간혹 있기는 했지만, 별다른 주목을 끌지는 못했다. 화두가 타파해야 할 대상으로 이해되면, 화두 수행은 그것을 통과하고 나면 어떤 형태의 보상이 주어지는 일종의 관문關門 같은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무문관無門關이라는 용어에서도 이런 어감이 물씬 풍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