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정도경영] 돈 안 되는 일로 먹고 살려면
상태바
[팔정도경영] 돈 안 되는 일로 먹고 살려면
  • 이언오
  • 승인 2017.06.15 14:01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언오

| 돈 되는 일에만 몰려서 스트레스를 자초

사찰 범종은 소리로 중생을 번뇌에서 벗어나게 한다. 예불의 서른셋 타종은 같은 숫자의 하늘에 울려 퍼지라는 뜻이다. 한국 종은 소리의 묵직함과 아름다움이 세계 으뜸이다. 종신을 매달아놓고 당목을 흔들다가 때리기 때문이다. 만든 모양, 치는 방식, 나는 소리가 모두 불교적이다. 서양 종은 몸통을 흔든 상태에서 내부 추를 충돌시킨다. 움직임이 요란하며 소리는 높고 빠르고 가볍다. 종에는 종교별 정신세계가 담겨 있다.

범종 제작의 1인자는 진천 성종사의 원광식 씨이다. 20세 때 생계를 위해 종 만들기에 뛰어들었다. 몇 년 후 쇳물을 붓다가 형틀이 폭발, 오른쪽 눈을 잃었다. 그 사건이 종 만드는 일을 천직으로 삼는 계기가 되었다. 수덕사 종을 만든 후 입소문이 났고 주문이 이어졌다. 원 종장은 맥이 끊겼던 밀랍주조기법을 되살려냈다. 섬세한 문양과 미세한 두께 조절이 강점이다. 공대 교수들이 이론과 정밀기기를 동원해 부분적으로 도움을 준다. 그의 경험과 감각을 투입해야 원하는 소리가 만들어진다.

종 만드는 일로는 먹고살기가 힘들다. 돈에 신경 써서 입문을 꺼리며 중도하차가 많다. 봉은사 종을 만들 때 당시 주지가 근처 땅을 사라고 권했었다. 평당 만 원 정도였는데 사지를 않았다. 나중에 주지는 “그 때 땅을 사지 않았기 때문에 계속 종을 만들고 있구나.”라고 했다. 스님들의 경제 형편에 따라 종 값을 받는다. 돈이 많아 보이면 비싸게 매기고, 가난하면 공짜로 해준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이상열 2017-07-04 18:49:15
재가불자로서 정말 어려운 화두입니다.
일부 스님들마져 돈을 밝히는(?) 세태를 보며 나는 어떻게 살아야하는가를 고심하곤 합니다.부처님 법대로 참삶을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