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님과 함께 한 식물 그리고 동물들] 쿠샤 풀과 사슴
상태바
[부처님과 함께 한 식물 그리고 동물들] 쿠샤 풀과 사슴
  • 심재관
  • 승인 2017.04.20 00: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쿠샤Kūśa 풀

스승께서 완전한 깨달음을 위해 명상에 들기 전, 농부로부터 한 다발의 풀을 받았다는 것을 대부분의 불자들은 기억할 것이다. 스승은 그 풀을 받아 보리수 밑에 깔고 동쪽을 향해 앉아 완전한 깨달음을 얻을 때까지 일어나지 않았다. 그 풀을 보시한 사람은 소티야Sottiya였다. 그는 아마도 풀을 잘라 팔던 농부였거나, 그 풀을 필요로 했던 바라문으로 보인다. 그의 이름은 그가 단순한 농사꾼이 아니라는 것을 말해준다. 그는 자신의 이름대로 ‘(베다) 경전을 공부한 사람’이었을 것이다. 스승은 그 한 단의 풀을 받아 보리수 밑에 깔고 몸을 꼿꼿이 세워 가부좌를 하고 마음을 가다듬었다. 그리고 깨달음을 이룰 때까지 자리에서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 결심했다. 스승이 깨달음 직전에 앉았던 그 결의에 찬 자리를 우리는 후에 ‘금강좌’라고 부른다. 

이 장면은 경전뿐만 아니라 조각을 통해서 여러 번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부처님이 풀을 받아 자리를 만드는 장면을 왜 고대 불교인들이 여러 번 반복해 말하고 있는가는 별로 의문을 갖지 않는다. 이것은 단순히 스승의 앉을 자리가 딱딱한 맨땅이라 부드러운 풀을 깔아 편안한 자리를 만들기 위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그렇게 단순한 일이었다면 굳이 그 풀을 보시 받을 필요도 없었을 것이며, 고대 불교인들도 이 장면을 경전에 남기거나 돌에 새겨 기념하지 않았을 것이다. 

이 장면이 반복되는 이유는 고대 힌두교나 불교의 전통 속에서 풀을 받아 자리를 만드는 일이 의미있고 상징적인 행위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이 때 등장하는 풀은 잘 알려진 바대로 길상초吉祥草라 불리는데 이는 쿠샤Kūśa 풀을 지칭하는 것이다. 쿠샤는 다르바Darbha라고도 부르는데 인도의 여러 종교에서 빠짐없이 등장하는, 가장 성스러운 풀 가운데 하나다. 한문으로는 음사하여 구시矩尸나 구서俱舒 등으로 옮겼고, 길상초나 묘초妙草로 번역하기도 한다. 이 풀을 신성시 여겼던 고대 인도의 전통은 베다문헌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초기 힌두교에서 사제들은 이 풀 위에 앉아 제사를 지내거나 신에게 바치는 공양물을 이 풀 위에 올려놓기도 했다. 수행자들은 이 풀로 엮은 돗자리 위에 앉아 명상에 들기도 하는데, 의식을 집중할 때 외부의 산란한 기운을 차단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명상을 위한 이상적인 자리로 생각했던 것이다. 이러한 전통은 현재 인도와 네팔 등지에서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데, 특히 요가수행자들은 이 풀로 만든 자리에 앉기를 원한다. 북인도와 네팔 테라이 지역에서 많이 자생하는데, 부처님의 열반지였던 쿠시나가르라는 지명이 여기서 유래했다는 견해도 있다. ‘쿠샤 풀(쿠시)이 많이 자라는 도시(나가르)’라는 의미로 말이다. 확실한 근거는 없지만 그럴듯한 설명이다. 이 풀로 만든 돗자리는 일반 볏짚으로 만든 것보다 비싼 가격에 팔리며, 이 풀의 종교적 가치를 아는 서양의 수행자들을 위해 현재 인도와 네팔에서는 이 풀로 짠 작은 돗자리를 수출하고 있을 정도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