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불교의 5가지 성공코드
상태바
대만불교의 5가지 성공코드
  • 불광연구원
  • 승인 2012.07.09 2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광연구원 | 23,000원 | 2012-07-10 | 반양장본 | 456쪽 | 223*152mm
대만불교의 5가지 성공코드
저작·역자 불광연구원 정가 23,000원
출간일 2012-07-10 분야 입문
책정보 반양장본 | 456쪽 | 223*152mm (A5신) | 665g | ISBN(13) : 9788974790325
구매사이트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알라딘
책소개 위로
17세기 중엽 공식적으로 전래된 대만 불교는 초기에 기복적인 신앙 형태가 많았다가, 1960년대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게 된다. 승풍이 진작되고 위의가 강화되었으며,승가에 대한 사회적 위상이 높아졌다. 그러나 불교의 사회적 실천은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이런 와중에 전통불교와는 다소 다른 새로운 불교 운동이 대만에서 발생하는데, 이른바 신흥 4대종문이다.
저자소개 위로
편찬 : 불광연구원

현대 한국불교의 전법보살로 칭송받는 금하광덕(金河光德) 큰스님의 유지를 계승하여 스님의 사상과 전법행을 연구하기 위해 2010년 불광사에서 설립한 불교전문 연구기관이다. 광덕 큰스님은 1974년 월광 《불광》을 창간하고 이를 바탕으로 1982년 불광사(佛光寺)를 창건하여 도심포교의 현대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불광연구원은 스님의 이 같은 전법행을 계승하여 전법과 교화에 대한 학문적 내용을 정립하기 위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그동안 ‘광덕 스님의 사상과 전법행’, ‘대만불교의 이념과 신행체계’, ‘한국불교의 생태담론과 생태운동’, ‘북한산성과 북한산 중흥사’ 등 크고 작은 학술연찬회를 개최하였으며, 학술지 《전법학 연구》를 발간하고 있다.

집필진(가나다 순)

김응철(중앙승가대학교 포교사회학과 교수)

: 현재 중앙승가대학교 포교사회학과 교수이며, 불교학연구회 이사, 불광연구원 편집위원, 불교신문 논설위원, 불교인재원 원장직을 맡고 있다. 저서로 『재가불자가 되는 길』, 『둥근 깨달음 천수경』, 『불교지도자론』(공저) 등이 있고, 다수의 논문이 있다.

김호성(동국대학교 교수)
: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인도철학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쳤고, 불교대학(일본 교토 소재)의 객원연구원 지냈으며, 일본불교사연구소 소장직을 맡고 있다. 『대승경전과 선』, 『천수경의 새로운 연구』, 『불교해석학 연구』, 『일본불교의 빛과 그림자』 등 다수의 저․역서가 있으며, 70여 편의 논문이 있다.

박인석(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 연세대학교 철학과 졸업한 후,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박사 과정 중 연강재단의 중국학연구원에 선발되어 중국 런민(人民)대학에서 고급진수생 과정을 수료하였다.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한국불교전서역주사업단의 전임연구원을 거쳐 현재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로 중국 불교 및 이와 관련된 한국 불교를 연구하고 있다. 박사학위 논문으로 「영명연수(永明延壽) 『종경록(宗鏡錄)』의 ‘일심(一心)’ 사상 연구」가 있다.

서대원(충북대학교 기초교육원 교수)
: 연세대학교에서 철학전공으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쳤고, 중국 북경대학에서 중국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된 연구영역은 중국고대철학이다. 유불도 등 중국철학 전반에 걸친 논문이 있으며 특히 현학과 삼교 교섭쪽에 관심이 많다. 불교관계 역서로 『해심밀경』이 있다.

양정연(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연구교수)
: 서울대 종교학과 졸업 후, 동국대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중앙민족대학, 서장대학, 서장사회과학원에서 티베트어와 티베트문화를 연구하였다.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중점연구소 연구교수 역임하였으며, 현재 한림대 생사학연구소 연구교수로서 중국과 티베트불교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 『세계불교사』(공저), 『현대사회비판과 불교생태학』(공저), 『아시아 불교, 전통의 계승과 전환』(공저), 『아시아불교, 서구의 수용과 대응』(공저)가 있고, 역서로 『인간불교의 경영과 실천』 등이 있다. 논문으로 「근대 과학적 세계관의 유입과 불교 세계관의 재조명」, 「중국불교의 근대적 자유개념의 수용과 전개」, 「근대시기 ‘종교’ 인식과 한국불교의 정체성 논의」, 「태허 불교개혁운동의 실천원리와 전개」 등이 있다.

이상미(국립대만대학교 겸임 조교수)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졸업한 뒤, 대만국립사범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대만대학교 중어중문과에서 석․박사 과정을 마쳤다. 2003년도 현대불교신문사 대만통신원으로 활동한 바 있고, 츠지기금회 정옌 스님의 어록 『정사어』를 공동 번역한 『아침 명상록』(2007)을 출간하였다. 국립 대만대학교 및 담강대학교 등에서 겸임 조교수로 강의 및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목차 위로

머리말 대만불교에 길을 묻다 ∙∙∙∙∙ 4

1. 대만불교의 역사와 신흥 4대종문

 
- 대만불교의 역사와 신흥 4대종문 - 김응철 ∙∙∙∙∙ 15
    대만의 역사와 문화적 특징 ∙∙∙∙∙ 17
    대만불교의 개괄적 특성 ∙∙∙∙∙ 24
    대만불교의 주요 지도자와 4대종문의 스승들 ∙∙∙∙∙ 30
  - 중국불교, 날개를 달다 - 마르쿠스 빈겐하이머 ∙∙∙∙∙ 39
    대만불교의 역사적 배경 ∙∙∙∙∙ 40
    90년대 대만의 불교단체 ∙∙∙∙∙ 48
    불교 교리와 불교학의 발전 현황 ∙∙∙∙∙ 58
    맺음말 ∙∙∙∙∙ 65

2. 대만불교의 발전과정과 특징
 - 대만불교의 현황 고찰과 중국불교에 대한 전망 - 서대원 ∙∙∙∙∙ 71
   근대 중국불교에 대한 회고 ∙∙∙∙∙ 73
   대만불교의 현황 ∙∙∙∙∙ 79
   중국불교로의 회귀 ∙∙∙∙∙ 93
-  대만불교의 성장과정과 특징 - 양정연 ∙∙∙∙∙ 97
   대만불교의 변천 ∙∙∙∙∙ 98
   포광산 교단의 창건과 이념 ∙∙∙∙∙ 110
   포광산 교단의 활동 및 현황 ∙∙∙∙∙ 119
   포광산 교단의 특징 ∙∙∙∙∙ 128

3. 대만불교의 실천이념과 제도
 - 대만불교의 실천이념에 대한 고찰 - 김호성 ∙∙∙∙∙ 133
   대만불교의 이념적 뿌리 ∙∙∙∙∙ 133
   타이쉬(太虛)의 인생불교(人生佛敎) ∙∙∙∙∙ 137
   대만 삼대산(三大山)의 인간불교 ∙∙∙∙∙ 143
   계기계리의 다양한 변주 ∙∙∙∙∙ 169
 - 대만 사찰의 교육체계와 인재육성 제도 - 양정연 ∙∙∙∙∙ 175
   대만불교 불학원 ∙∙∙∙∙ 176
   포광산사 교육 내용 ∙∙∙∙∙ 189
   대만 불교교육이 특징 ∙∙∙∙∙ 195
 - 대만불자의 계율정신과 윤리의식 - 서대원 ∙∙∙∙∙ 199
   지계(持戒)와 소식(素食) ∙∙∙∙∙ 200
   대만불교의 지계와 소식 ∙∙∙∙∙ 209
   지계와 소식의 사회적 필요성 ∙∙∙∙∙ 217

4. 대만불교의 사찰운영과 신도조직
 - 대만 사찰의 재정 운영체계 및 불사 추진양태 - 김응철 ∙∙∙∙∙ 225
   대만불교의 변천과정과 사찰분포 ∙∙∙∙∙ 227
   대만 사찰의 재정운영 원리와 체계 ∙∙∙∙∙ 231
   한국불교와의 유사점과 차이점 ∙∙∙∙∙ 254
 - 대만불교의 신도 조직 쳬계와 재가자의 위상과 역할 - 박인석 ∙∙∙∙∙ 257
   포광산사의 신도조직 체계와 운영방법 ∙∙∙∙∙ 258
   츠지공덕회(慈濟功德會)의 회원조직 체계와 운영방법 ∙∙∙∙∙ 264
   자원봉사자의 배출과 활용 ∙∙∙∙∙ 269
   신도조직화와 도심포교 ∙∙∙∙∙ 272

5. 대만불교의 사회활동과 포교
 
- 대만불교의 사회 활동 - 박인석 ∙∙∙∙∙ 277
   츠지공덕회의 사회활동 ∙∙∙∙∙ 279
   파구산의 사회교육활동 ∙∙∙∙∙ 287
   포광산사의 자선활동 ∙∙∙∙∙ 291
   보살도의 사회적 실천 ∙∙∙∙∙ 294
 - 대만불교의 전법과 포교 활동 - 이상미 ∙∙∙∙∙ 299
   대만불교 간략사 ∙∙∙∙∙ 300
   대만불교의 미래와 법맥의 전승 ∙∙∙∙∙ 306
   대만불교의 포교 활동 ∙∙∙∙∙ 312
   자선과 봉사의 포교 활동 ∙∙∙∙∙ 328

6. 대만불교의 여성 활동
 
- 대만 비구니 스님들의 무궁무진한 세계 - 엘리스 앤 드비도 ∙∙∙∙∙ 335
   대만 비구니 스님들의 ‘무궁무진한 세계’ ∙∙∙∙∙ 338
   질문의 연속 ∙∙∙∙∙ 340
   왜 비구니가 되는가? ∙∙∙∙∙ 343
   페미니즘의 문제 ∙∙∙∙∙ 346
 - 공덕과 어머니의 보살핌 - 첸위 줄리아 황, 로버트 P. 웰러 ∙∙∙∙∙ 353
   츠지공덕회에 대한 간략한 소개 ∙∙∙∙∙ 357
   여성의 종교적 선택 ∙∙∙∙∙ 370
   츠지공덕회, 중국의 자선 사업 전통, 그리고 국가 ∙∙∙∙∙ 378
   여성과 자선: 서양과의 비교 ∙∙∙∙∙ 382

7. 대만불교의 성공요인과 한국불교의 성찰
 - 대만불교 지도자의 리더쉽에 대한 고찰 - 김호성 ∙∙∙∙∙ 395
   '대만불교의 르네상스’, 그 원동력은? ∙∙∙∙∙ 395
   리더십 이론의 관점에서 본 평가 ∙∙∙∙∙ 399
   불교사상의 관점에서 본 평가 ∙∙∙∙∙ 405
   관음적 리더십의 전범 ∙∙∙∙∙ 414
 - 대만불교의 성공요인과 한국불교의 성찰 - 김응철 ∙∙∙∙∙ 421
   대만불교의 현재 위상 ∙∙∙∙∙ 425
   대만불교의 성공요인 ∙∙∙∙∙ 431
   한국불교의 성찰과 시사점 ∙∙∙∙∙ 442

* 대만불교사 연표
상세소개 위로
싱윈 스님의 포광산사, 정옌 스님의 츠지공덕회, 성옌 스님의 파고산사, 웨이줴 스님의 중타이찬사, 이 신흥 4대종문에 대해 불광연구원의 주도로 전문 학자들이 대만 현지 조사와 정밀한 자료에 근거하여 2차례의 세미나와 함께 1년여 동안 연구·분석하였다.

이들 신흥 4대 종문이 어떻게 비약적으로 발전을 이룰 수 있었는지, ① 지도자의 리더십과 ‘인간불교’의 실천이념, ② 투명한 사찰 운영 방식과 체계적인 신도 조직, ③ 현대적인 교육체계와 적극적인 인재육성, ④ 활발한 전법과 도심포교, ⑤ 여성의 적극적인 참여 등으로 나누어 모두 15편의 글을 통해 대만불교의 발전 요인, 이 다섯 가지 중요 코드를 중심으로 상세히 분석하였다. 이러한 대만불교의 발전과정 연구에서 다른 국가의 불교 발전 방향 수립에 필요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책속으로 위로
이들 사대종문의 성장 배경에는 몇 가지 특징적 요소들이 자리잡고 있다. 첫째, 전통불교의 포교 방법에서 벗어나 현대화된 포교 전략을 추구해왔다는 점이다. 대만불교 전통의 정토불교, 기복불교의 틀에서 벗어나 교육, 복지, 문화, 수행 등 대사회적 기여도를 높일 수 있는 포교방법을 채택하였다. 그 결과 이들 사찰과 스님들은 불교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 일으켰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기반 확보와 더불어 상당한 포교성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화교를 중심으로 하는 해외의 중국 동포들에 대하여 관심을 기울이고 이들의 정신적 의지처 역할을 하였다. …… (중략)
셋째, 창건주 스님들의 선각자적 혜안과 지도력이 자리 잡고 있다. … (중략) 신흥 사대종문의 종장( E 6)들은 전통의 틀에 안주하지 않고 과감하게 새로운 지도력을 형성에 도전하였다. 이 창건주 스님들은 많은 제자를 거느리고, 다수의 사찰을 창건하였으며, 수백만 명에 달하는 신도들을 확보하는 노력을 주저하지 않았다. 이러한 일이 가능했던 것은 사대종문 창건주 스님들의 지도력이 탁월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신흥 사대종문은 대만 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면서 그에 상응하는 포교 프로그램을 적극 개발하였다. 이들 사찰들은 대만 국민들의 종교사회적 욕구를 반영하고 그것을 포교 에너지로 결집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개발하였다. 법회, 교육, 봉사, 의료 등의 여러 분야에서 전통 사찰의 틀을 벗어나 과감한 변신을 도모하였다. 자체적으로 규범을 만들고 대중공의로 운영되는 특징적인 사찰 모형을 개발한 것도 하나의 특징이다. 이것이 대중의 신뢰를 얻으면서 비약적인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다. --- pp.231-232

이처럼 츠지공덕회의 자원봉사조직은 봉사자들의 거주지, 연령, 능력 등에 맞춰 사람들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게 함으로써 그들 또한 츠지공덕회가 지향하는 인간불교의 이상을 구현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자각을 심어주었고, 이런 자각으로 인해 다시 다방면에 걸친 광범위한 자원봉사활동이 가능해졌다고 보인다.
포광산사의 자원봉사자 활동 역시 매우 활발하게 이루지고 있다. 이들 역시 자원봉사자들을 불문을 수호하는 상징적 존재인 천룡팔부에 비유하면서 그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포광산사에서는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하는 일종의 교육과정이 있으며, 자원봉사자들에 대해 규모가 크지는 않지만 장려와 복리의 부분까지 고려하고 있다. 또한 사찰의 상주 활동, 예를 들어 수륙법회등이 개최될 경우 필요한 자원봉사자의 역할을 미리 공고하여 지원자를 모집하기도 한다.
파구산 역시 많은 자원봉사자들의 힘에 의해 여러 가지 활동을 유지하고 있었는데, 진산에 위치한 파구산의 총본산의 경우 평소 일반적인 상황일 때는 1주일에 1,000명 정도의 자원봉사자가 활동하기 때문에 한 달이면 대략 5,000명 정도의 자원봉사자가 다녀간다고 한다. 또한 수륙대법회와 같은 큰 행사가 열릴 경우 파구산의 모든 지부에서 자원봉사자들이 모여 법회가 원만히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다고 하였다. --- pp.270-271

이들은 불교가 적극적으로 포교에 나서야 할 주된 장소가 바로 현대의 ‘도시’라고 보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일치된 견해를 보인다. 밀집된 인구가 모인 도시에서 어떻게 해야 일반대중들을 불교의 가르침으로 끌어들일 것인가 하는 점은 도시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펼치고자 할 때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는 대목이다. 그러므로 도시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인간관계와 그곳에서 생기는 갈등상황을 풀어주기 위한 방법들이 심도 있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포광산사에서 국제포광회를 창립하여 남녀노소가 모두 참여할 수 있는 재가신도조직을 만들어 그들에게 다양한 역할을 부여한 것은 이에 대한 하나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게다가 그들은 재가자들을 홍법활동의 주체로 내세움으로써 불교적 이상을 실현하는 데 있어 출가자뿐 아니라 재가자의 가능성까지 극대화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츠지공덕회의 경우 자원봉사활동이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역시 복잡하고 무미건조한 도시문명 속에서 사소하게 보이지만 보람 있고 의미 있는 일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다양하게 열어주었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의 공감과 참여를 불러일으키게 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 pp.272-273

츠지공덕회는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의 망령을 상기시키지 않으면서 가정의 테두리를 넘어선 전세계로 여성성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확대 적용함으로써 돌파구를 찾아냈다. 츠지공덕회는 여성의 가정내 역할을 긍정하는 동시에 이러한 여성성을 가정 외부에까지 확장시켰다. 낯선 사람과의 부적절한 교류를 감수해야 하는 다른 직업이나 공적인 지위와 달리 츠지공덕회는 여성성에 대한 매우 전통적인 생각을 매우 근대적인 사회 활동의 영역과 접목시키는 데 성공하였다. 핵심 회원을 구성하는 부유한 여성들은 많은 경우 자신의 가정 내 삶에서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가정부가 아이들을 돌봐주고, 남편은 사업에 항상 바쁘다. 하지만 여성들은 자신의 가정 내 역할을 포기하면서까지 경제활동에 직접 참여하고 싶어 하지는 않는다. 아직도 많은 대만 여성들은 복잡한 사업의 세계에서는 결여되어 있는 ‘단순함’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한다. 츠지공덕회는 이와 같은 여러 문제들에 대한 일관된 해결책을 제공한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