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중국의 고승
상태바
근대 중국의 고승
  • 김영진
  • 승인 2011.01.05 15: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1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근대 중국의 고승
저작·역자 김영진, 정가 18,000원
출간일 2010-12-31 분야 입문
책정보 반양장본 | 360쪽 | 223*152mm (A5신) | 504g | ISBN(13) : 9788974795900
구매사이트
교보문고
Yes24
인터파크
알라딘
책소개 위로
전근대중국에서 활동한 고승 19명의 생애와 사상을 다섯 분야로 나누어 객관적으로 조명한 책이다. 저자는 인물 각각의 이야기가 고립되지 않고 전체 중국 근대 불교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곳으로 몰아간다. 특징적인 것은 각각의 인물을 소개하면서 현재의 잣대로 인물을 평가하는 방법을 지양하고 당시 절박했던 시공간을 최대한 이해하려 힘쓰며 고승들의 생애와 사상을 추적한다는 것이다. 이밖에 이 책에서는 근대시기 중국의 재가 정토 수행자인 샤렌쥐, 황넨주, 리빙난에 대해서도 부록으로 다루고 있다.
저자소개 위로
김영진
1970년 경남 삼천포에서 태어났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했고, 같은 대학원에서 중국 근대사상가 장타이옌(章太炎)의 불교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중국 근대사상과 불교』(2007)와 『공(空)이란 무엇인가』(2009)를 썼고, 『대당내전록(大唐內傳錄)』(공역, 2000)과 『근대 중국사상사 약론』(2008)을 번역했다. 현재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목차 위로
Ⅰ선승과 수행의 부활
01 _ 대기대용(大機大用)의 선승, 쉬윈 … 010
02 _ 팔지두타(八指頭陀)의 시승, 징안 … 026
03 _ 천녕사의 사자후, 에카이 … 042
04 _ 생사결택(生死抉擇)의 순간, 라이궈 … 058

Ⅱ 승려 교육과 불교 근대화
05 _ 청량학원과 화엄대학, 위에샤 … 074
06 _ 혁명화상과 빈가대장경, 쭝양 … 088
07 _ 불교 혁신의 선봉, 타이쉬 … 104
08 _ 불교 현대화의 기수, 쥐잔 … 120

Ⅲ 종파 불교의 계승과 학승
09_ 남산 율종의 소생, 훙이 … 138
10_ 화엄종의 명맥, 잉츠 … 156
11_ 법화경 연구와 관종(觀宗)강사, 디센 … 170
12_ 천태산의 불제자, 싱츠 … 184
13_ 불교 연구의 모범, 인순 … 200

Ⅳ 밀교열과 티베트 불교
14_ 일본 밀교의 수입과 밀단, 츠쏭 … 220
15_ 티베트 불교의 유혹, 능하이 … 236
16_ 20세기의 역경승, 파쭌 … 250

Ⅴ 정토 신앙과 염불 법문
17_ 정토종의 일대 종장, 인꽝 … 266
18_ 선정쌍수의 실행자, 위안잉 … 284
19_ 빈자의 수행, 광친 … 300

부록 거사염불
_ 염불결사의 깃발, 샤렌쥐 … 314
_ 홍위병에 휩싸인 정토행자, 황넨주 … 326
_ 정토 타이완의 꿈, 리빙난 … 336
상세소개 위로
전쟁터였고 혁명의 장이었던 격변의 근대 중국
19세기 말 20세기 초 중국 고승 19명의 생애와 사상

아편전쟁, 청일전쟁, 신해혁명, 군벌의 난립, 5·4운동, 북벌전쟁, 중일전쟁, 국공내전, 중국공산화, 대약진운동… 불과 100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중국에서 일어난 일들이다. 대륙은 전쟁터였고 혁명의 선전장이었다. 민초들의 삶은 강퍅하고 고단했다. 말세라 부르는 이들도 있었다. 천년을 이어온 중국 불교 교단 그리고 수행자의 삶 역시 다르지 않았다.
근대시기 중국의 승려 수는 약 70만 명(현재는 약 30만 명으로 추정)에 달했다. 하지만 중국 불교 교단은 밖에서부터 무너지고 있었다.
양무운동(1861~1894) 당시에는 사원을 학교로 개조하자는 주장이 나왔으며 실제 추진되기도 했다(팔지두타의 시승, 징안 / 본문 38쪽). 승려는 티베트 침공을 앞둔 중국 정부에 의해 침략의 앞잡이가 될 것을 종용받기도 했다(티베트 불교의 유혹, 능하이 / 247쪽). 또 대약진 운동이 일어나자 “무사(誣師)의 죄상” 운운하며 승려를 인민재판장으로 곧잘 불러냈다(대기대용의 선승, 쉬윈 / 25쪽).
이런 시기 조직이 명맥을 유지하는 방법은 몇 안 된다. 세월에 부침하거나 세상을 등지고 사는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 등장하는 고승들의 길은 남달랐다. 주린 배를 채우지 못했지만 선승들을 모아 선방을 열고 또 일부는 폐관(무문관) 수행을 하기도 했다(디센). 그들은 일체의 제사나 염불을 통한 호구를 거부했다. 일부는 교육에 매진했다. 무창불학원(武昌佛學院)과 민남불학원(?南佛學院), 한장교리원(漢藏敎理院) 등 교육기관을 세워 근대적 승려 교육과 불교연구에 매진하기도 했다(타이쉬).
다른 길도 있었다. 선 수행이나 어려운 교리로 대중과의 접촉면을 늘리는 것이 더 이상 불가능하자 염불을 하면 정토에 도달할 수 있다고 사람들을 달랬다. 덕분에 청나라 말기 정토신앙이 대유행을 한다. 정토수행을 하는 고승들과 재가자도 속출했다. 비슷한 맥락에서 밀교 역시 흥했다.
공통점은 모두 스러져가는 교단을 지키기 위한 방법이었다는 것이다. 선을 수행하던 사람이건 밀교를 수행하는 사람이건 정토를 수행하는 사람이건 모두 불교를 사랑했다.

근대 중국 고승의 생애와 사상을 다섯 분야로 갈래쳐 객관적으로 조명

이 글은 근대중국에서 활동한 고승 19명의 이야기다. 저자는 인물 각각의 이야기가 고립되지 않고 전체 중국 근대 불교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곳으로 몰아간다.
특징적인 것은 각각의 인물을 소개하면서 현재의 잣대로 인물을 평가하는 방법을 지양하고 당시 절박했던 시공간을 최대한 이해하려 힘쓰며 고승들의 생애와 사상을 추적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먼저 근대 불교의 주제를 다섯 가지로 뽑았다.

1부. 선승과 수행의 부활
중국불교의 가장 큰 전통과 특색은 아마도 선(禪)일 것이다. 때론 그것을 중국의 전통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하지만 청말 선종은 쇠락했고, 수행의 풍토는 말이 아니었다. 제도의 개혁이 아니라 수행풍토의 개혁과 진작을 위해 고군분투한 선승이 여럿 출현했다. 쉬윈(虛雲)이나 에카이(冶開)나 라이궈(來果) 등은 각고의 노력으로 무너진 선풍을 일으켰다. 그들의 삶과 수행에서 수행자가 과연 어떤 의미이고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 볼 수 있다. 혼란스러운 근대였지만 인간의 내면세계에 대한 여행과 침잠은 계속 됐음을 보여주었다.

2부. 승려교육과 불교개혁
근대시기 계몽가들이 근대적 교육에 매달렸듯 불교계도 새로운 승려를 배양하기 위해서 승려교육에 주목했다. 아울러 타이쉬(太虛) 같은 개혁적 승려가 출현하여 봉건적 습속에 젖어있던 불교계를 바꾸고자 노력했다. 쫑양(宗仰) 같은 승려는 불교계 내부가 아니라 사회변혁에까지 역할을 했고, 쑨원 등과 연대하기도 했다. 전(前)근대인이 근대인이 되는 과정에서 겪은 곤혹을 불교인도 마찬가지로 느꼈고, 힘들게 그 운명을 감수했다.

3부. 종파불교의 계승과 학승
중국의 경우 수당대에 불교토착화가 거의 완성된다. 이때 불교 내의 다양한 이론과 수행방법론이 각각 하나의 전통으로 독립하여 종파를 형성한다. 이런 종파들은 독특한 자신의 사유를 전개하여 화엄학 같은 철학적 발전을 꾀한다. 송대 이후 종파불교는 많이 쇠락했다. 근대시기 비록 희미했지만 종파불교가 갖는 독특한 교리 이해와 집중도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있었다. 이와 함께 종파불교 연구를 통한 전통적인 학승과 근대적 사유를 장착한 근대적 학승이 출현한다. 인순(印順) 같은 근대적 학승도 전통적인 불교연구방법을 계승했다. 새로운 방법론의 출현은 단절이 아니라 계승과 창신을 통해서 가능했다.

4부. 밀교열과 티베트불교
중국 밀교는 당대(唐代) 이후 미약해졌고 청대에 이르러 거의 명맥이 단절된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불교의 소개와 밀교승의 도래를 통해서 중국 불교인들은 밀교에 대한 관심이 고조된다. 몇몇 승려는 일본에 유학하여 밀교의 계를 받아왔고, 중국에 밀교를 부흥시킨다. 수백 년 동안 경험하지 못한 밀교의 교리와 수행, 의식 등은 사람들에게 크게 각광받았고, 새로운 전통으로 부활한다. 밀교 부흥의 연장선에서 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이 발생했고, 티베트 유학승이 출현하게 된다. 파쭌(法尊) 같은 이는 티베트 불교를 소개하고 티베트 불전을 소개하는 등 정력적으로 활동한다. 전통적인 중국불교에 대한 반성과 함께 새로운 불교 이해가 등장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5부. 정토 신앙과 염불법문
근대가 이성이나 합리성의 시대라고 하지만 종교적 신앙에 그것을 쉽게 대입할 수는 없었다. 중국불교의 가장 오래된 신앙인 정토 신앙은 근대 시기에도 여전히 굳건했다. 포성이 난무하던 시대였지만 사람들은 여전히 정토세계에 대한 꿈을 버리지 않았다. 그것이 서방극락정토이든지 아니면 내 마음의 정토이든지 삶이 버거운 만큼 희망도 강렬했다. 고승 인꽝(印光)은 수십 년 염불수행을 통해서 사회에 깊은 울림을 주었고, 위안잉(圓瑛)은 참선과 염불수행의 결합을 강조하여 사람들의 수행을 이끌었다. 전통의 것이지만 근대에도 여전히 의미 있고 유용한 것임을 몸소 보여주었다.

이밖에 이 책에서는 근대시기 중국의 재가 정토 수행자인 샤렌쥐, 황넨주, 리빙난에 대해서도 부록으로 다루고 있다.
책속으로 위로
P.56 : 커다란 불사가 단지 교세의 과시욕만은 아니다. 사찰의 단단한 유지와 장엄은 불교가 대중과 만나는 가장 일차적인 통로다.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입각점이기도 하다. 에카이는 바로 이런 역할을 적절히 조화시켰다. 에카이가 온갖 노력 끝에 중창한 천녕사는 문화혁명 기간 동안 다시 불행을 겪었다. 사찰의 불상은 파괴되고 승려들은 죄인처럼 이리저리 쫓겨 다녔다. 그 무엇도 한 자리에 영원히 있을 수는 없다. 수행자도 마찬가지고 절간도 마찬가지다. 변화하는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자리를 찾으려는 진지한 노력이 새로운 자신을 만들어 낼 뿐이다. 천녕사 선승 에카이는 그런 노력 속에서 풍상을 견디고 수행했다.

P.77 : 당시 불교계 지도자들은 변화한 현실에 적응하기 위한 급선무가 승려 교육이라고 생각했다. 불교개혁에 앞장 선 타이쉬(太虛)는 ‘새로운 승려’[新僧]의 출현이야말로 ‘새로운 불교’[新佛敎]를 건설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교육기관을 설립했고, 승려 교육 시스템을 정비했다. 19세기 말부터 시작된 이런 흐름은 전통 불교가 근대 불교로 전환하는 갈림길이자 두 가지가 겹친 것이기도 했다. ‘각경처’와 ‘불학원’ 설립은 문서화한 불교 지식의 유통과 교육된 불교 지식인의 양성이라는 불교 발전의 토대를 마련했다.
위에샤(月霞)나 디센(諦閑)은 각각 화엄대학(華嚴大學)과 관종학사(觀宗學舍)를 세워 젊은 승려를 교육했다. 그들이 화엄학과 천태학이라는 전통적 종파 구별에 근거했다면 타이쉬는 무창불학원(武昌佛學院)과 민남불학원(?南佛學院), 한장교리원(漢藏敎理院)을 세워 전통적 종파불교를 거부했다. 타이쉬도 젊은 날 금릉각경처의 기원정사에서 위에샤와 디센의 지도를 받았다. 그는 ‘불학원’이라는 형식으로 근대적 승려 교육과 불교 연구에 열중했다.
여러 교육기관은 근대 불교를 이끈 기라성 같은 고승을 배출했다. 타이쉬 아래서 근대의 대표적 학승 인순(印順)과 파쭌(法尊)이 성장했다.

P.285 : 근대 중국에서 정토법문의 대성자는 앞서 보았듯 고승 인꽝이다. 그는 순정한 정토 신앙을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정토가 마음에 있다는 유심정토론을 거부했다. 정토세계가 서방에 실제로 존재한다는 믿음과 그곳에 왕생하겠다는 바람이야말로 정토 신앙의 전제임을 천명했다.
이에 비해 명대 고승 운서주굉처럼 선정쌍수(禪淨雙修)를 견고하게 지지한 인물도 있다. 그가 천동사의 위안잉(圓瑛. 1878-1953)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