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자연과 하나된 농심(農心)은 곧 불심(佛心)
상태바
대자연과 하나된 농심(農心)은 곧 불심(佛心)
  • 관리자
  • 승인 2007.09.1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자가정 만들기

땅은 말이 없었다. 침묵하는 대지, 겨울 들판의 여기저기 오두마니 앉아 있는 볏가리며 땅 위에 바짝 얼어붙은 배추밭을 지나치자니 만감이 교차된다. 아예 파종도 하지 않아 누런 잡풀만 무성한 밭뙈기가 오늘따라 더욱 서럽게 느껴진다. 지금도 버려진 땅이 저렇게 많은데, 우루과이라운드 그 공포의 거센 물결이 홍수처럼 휩쓸고 간 뒤의 이 나라 농촌은 어찌될 것인가.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땅, 그리고 불심(佛心)

여주군 홍천면 상백 이리 유우수 이장 댁을 찾아가는 길은 실제 거리에 비해 훨씬 멀게 느껴졌다. 차창 너머로 보이는 농촌 풍광이 아름다운 만큼 더욱더 무거워지는 마음의 무게 . 연일 보도되는 '위기에 선 한국농업', '농가 경제 황폐화를 우려하는 목소리에 공감하며 찾아 나선 길이었기에 그만큼 더 착찹했다.

유우수 이장이 사는 집은 곱게 단장한 새집이었다. 작년 그가 서른 여섯의 나이로 늦장가 들기 바로 전에 지었다는 살림집과 그 옆에 붙어있는 널따란 가공공장을 대하는 순간 꿈, 희망 사랑 같은 말들이 연상되었다.

"추운데 오시느라고 얼마나 수고했어요. 시장하실텐데 점심부터 드셔야지요." 유우수 씨의 어머니 권혁순(63세)씨는 이렇게 우리를 맞이했다. 땅과 함께 한평생을 보낸 그녀는 거친 농삿일에 다소 얼굴빛은 그을고 주름살은 늘었어도 환한 보름달 같았다. 땅처럼 포근하고 넉넉한 심성이 생전 처음 본 기자를 매료시켰다.

"취재는 무슨 취재요? 불자라고 하는 일도 하나도 없는데 . 그저 남한테 죄 안 짓고, 남 섭섭한 말 안하고, 될 수 있으면 내가 참고 오로지 원심(圓心)으로 살아야지요."

노보살의 원심이라는 한마디에 귀가 확 뜨여 기자는 "보살님은 평생 원심으로 사신 것 같아요. 자제분들도 다 잘 사시죠?라고 여쭙자, "제 스스로 원심으로 살았다 하면 부끄러운 일이지. 조상 대대로 절에 가서 부처님 전에 공들인 덕분인지 우리 자식들 속 안 썩이고 다들 자리잡고 잘 살아요. 이제 더 여한도 없어요," 그녀는 시어머니를 따라 처음 절에 갔다. 그녀의 시어머니도 마찬가지였고 이제 작년에 이집 사람이 된 그녀의 둘째 며느리(김매선 씨)도 그녀와 함꼐 절에 갈 것이다. 조상 대대로 물려 받은 땅이 삶의 터전이라면 대물림 받은 불교는 그녀의 마음을 원심(圓心)으로 바로잡아준 궁극의 의지처다. 그러기에 지금도 목욕재계하고 농사 지은 쌀을 정성스레 이고 가 마지를 올린다.

정월, 초파일, 칠월칠석, 시월 등 일년에 네 번은 꼭 절에 다녀온다는 권혁순 씨. 부처님 뵙고 오면 그렇게 마음이 홀가분하고 즐거울 수 없다는 그녀는 절에 자주 못 가는 것이 늘 안타깝기만 하다. 이 땅의 전형적인 어머니인 그녀는 자식들에게 종교를 강요한 적이 없다. '부처님께서 돌봐 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생각을 늘 마음속에 품고만 있지 겉으로는 내색조차 하지 않는다.

"요새 애들이 어디 말한다고 들어요. 스스로 느껴야지요,"라는 게 그녀늬 절대적인 교육관이다.

유우수 씨가 활짝 웃으며 한마디 거든다. "우리 어머니 아들이기 때문에 저도 모르는 사이에 불교신자가 됐어요. 하지만 장가 못 가서 전전긍긍하고 있을 때 교회 나오면 장가 보내준다는 소리에는 솔직히 솔깃해지더군요."

삼십 하고도 중간을 넘긴 자못 심각하고 착잡할 지경인 노총각일 때 달콤한 이교도들의 유혹을 쉽게 뿌리칠 수 있었던 것도 다 소리 없는 어머니의 교화 덕분이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