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초와 돈연
상태바
혜초와 돈연
  • 관리자
  • 승인 2007.07.0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법 만남의 기쁨

불법 만나는 기쁨을 한두마디로 끝낼 수는 없다. 그 계기도 여러 가지다. 그중의 하나. 부처님께서 밟으셨던 기를 몸소 밟아간 두 승려 혜초와 돈연의 시와 기록을 대조하며 읽어 갈때의 감동 역시 또 하나의 반가운 불연이라 아니 할 수 없다. 틈틈이 일삼아온 서구불교순례의 체험을 통해서 나는 그들의 감회를 더욱 실감나게 이해하게 되었다.

 

 그대는 서번(西蕃)이 먼 것을 한탄 하나 나는 동방으로 가는 길이 먼 것을 한탄하노라.

 길은 거칠고 엄청난 눈이 산마루에 쌓였는데

 험한 골짜기에는 도적떼가 우글거린다.

 새들은 깎아지른 벼랑 위를 날고 사람은 좁은 다리 건너가기를 어려워 한다.

 평생에 눈물 흘리는 일이 없었는데 오늘만은 천줄이나 눈물을 흩뿌리는구나.

 

 이것은 신라사람 혜초가 토화라국(지금의티벳 변경) 어귀에서 그 쪽 방향으로 찾아가는 중국 사신을 만났을 때 읊은 시이다. 눈물을 흘렸다 하니 나그네 길의 쓸쓸함과 고달픔이 오랜 세월 끝까지 그대로 살아남아 메아리 쳐온다.

 혜초가 금강지를 만나 그의 권유로 인도를 향해 출범한 것은 서기 723년, 그의 나이 20세의 약관 이었다. 그리고 지금의 신강성고차로 긴 도보 여행을 마치고 돌아온 것이 727년이었으므로 이 시가 쓰여진 것은 그 지점으로 미루어 725년에서 6년으로 넘어가는 삼동의 어느날로 추산된다.

 혜초의 뒤를 그대로 밟아 보겠노라고 천년 하고도 이백년이 더 되는 세월 끝에 스님 한분이 인도에 갔다. 그러나 그 옛날 비행기나 기차가 없었던 시절에 도적떼를 피해가며 누벼갔던 길을 20세기의 승려는 끝까지 밟아 갈 수가 없었다 한다. 갖은 문물과 제도의 발달은 비자와 여건과 이데올로기의 높은 담을 창출해던 것이다. 그래서 돈연스님은 ‘갈 수 있는데 까지는 갔다’고 술회하고 있다. 그리고 그의 순례는 왕오 천축국전이 아닌 한권의 시집 ‘순례의 노래’로 우리 앞에 제시되었다.

 발바닥이 부르트도록 걷다가 다 다른 남천축국 어느 마을 용수 보살이 야차신을 시켜서 절을 짓게 했다는 데서 돈연이 지은 시귀에 잠시 귀를 세워보자.

 

 오랜 잠속

 용궁이 되어버린 나가르주나 콘다

 뜨거운 여름 햇빛이

 푸른 호수에 쏟아진다

 할아버지가 남기신 논리는

 시간의 지층되어

 나가르주나 호수처럼 역사에

 고여 있습니다

 가는 것도 아니고

 오는 것도 아니고

 하나도 아니고

 여럿도 아니고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고

 끊어진 것도 아니고

 이어진 것도 아니고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