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구성원이면서 신의 영역에 있는 중간자적 존재
상태바
자연의 구성원이면서 신의 영역에 있는 중간자적 존재
  • 불광출판사
  • 승인 2014.06.02 20: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동서양의 인간창조 신화

그런데 이 영화의 제목은 왜 <프로메테우스>일까? 영화 속에서 ‘프로메테우스’는 생명의 근원을 좇아가는 우주선의 이름이다. 그 이유는 프로메테우스가 인류를 만든 신이기 때문일 것이다. 앞서 필자는 2회에 걸쳐 동서양 신화의 천지창조에 대해 살펴봤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따르면, 천지창조 이후 짐승들이 만들어진 뒤 프로메테우스가 흙을 물로 반죽하여 신의 형상대로 인간을 만든 것으로 돼 있다.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의 불꽃을 조금 떼어다가 인간에게 주기도 했다. 그 불로 말미암아 인류는 무기를 만들어 다른 동물을 정복하고 농기구를 만들어 토지를 경작할 수 있게 됐고, 추위를 피할 수 있게 됐다. 인류문명의 시작인 것이다. 이는 제우스의 의지에 반하는 일이었다. 결국 프로메테우스는 제우스의 분노를 사 카우카소스 산 위의 바위에서 벗어나지 못하도록 쇠사슬에 묶여 버렸다. 그리고는 프로메테우스의 간을 독수리가 쪼아 먹도록 하는 형벌이 내려졌다. 

프로메테우스 신화는 우리에게 두 가지 의미를 선사한다. 하나는 인류를 창조한 존재가 신이라는 사실, 다른 하나는 인류를 창조한 신은 형벌을 받는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다른 동서양 신화의 경우는 어떠할까? 

| 동서양 인간창조 신화의 공통점

중국신화에는 복희伏羲와 여와女媧의 이야기가 등장하는데 둘은 남매지간인 것으로 묘사된다. 이중 복희는 뇌신의 아들로서 인류에게 불씨를 가져다 준 것으로 기록돼 있다. 그런가 하면 여와는 천지창조 후 황토로 인간을 빚은 것으로 기록돼 있다. 프로메테우스와 마찬가지로 복희와 여와는 반신반인半神半人의 존재인 것이다. 흙으로 인간을 만들었다는 것은 『성경』 구약이나, 그리스로마 신화나, 중국 신화나 동일하다. 

조금씩 기록이 다르긴 하나 복희와 여와가 하늘까지 차오르는 홍수가 한바탕 휩쓸고 지나갈 때 조롱박 속에서 살아남는다든지, 복희의 아름다운 딸인 복비가 물을 건너다가 물에 빠져 죽어 낙수落水의 여신이 되었다든지, 여와가 인간을 만든 뒤 무너져 내린 하늘의 구멍과 가로 세로로 갈라진 땅의 틈을 메운다든지 하는 수난을 겪는 것으로 묘사돼 있다. 이 역시 프로메테우스와 유사한 점이다. 

다음으로 인도신화를 살펴보자. 창조의 신 브라흐마는 자신의 몸에서 사라스바티라는 여인을 만들었다. 따지자면 사라스바티는 브라흐마의 딸인 것이다. 반신반인의 존재인 아름다운 사라스바티를 보자 브라흐마는 주체할 수 없는 욕정을 느꼈다. 이 사실을 간파한 사라스바티는 고개를 돌려서 자신을 바라보는 브라흐마의 시선을 외면하였다. 브라흐마의 몸에서는 머리가 하나 더 생겼다. 계속해서 사라스바티가 시선을 피하자 브라흐마의 몸에서는 두 개의 머리들이 더 솟아났다. 사라스바티가 하늘로 피신해가자 브라흐마의 몸에서는 다섯 번째 머리가 솟아올랐다. 브라흐마는 사라스바티에게 말했다. “너에 대한 나의 사랑은 창조주로서의 사랑이다. 우리의 결합만이 창조를 완성할 수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