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은 우리에게 잊혀진 질병이 아니다
상태바
결핵은 우리에게 잊혀진 질병이 아니다
  • 불광출판사
  • 승인 2014.02.09 05: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결핵에 대한 오해와 치료

결핵은 한때 우리 사회에서 거의 사라진 병, 혹은 못 사는 나라에나 있는 병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최근 우리나라에 결핵이 다시 유행하는 것처럼 많은 기사가 나오고 있다. “어린이집・학교에서 결핵 집단감염 급증…年 600건 발생”(조선일보, 2013. 2. 1.) “용인 어린이집 원생 등 20여 명 결핵 집단 발병”(노컷뉴스, 1. 8.) “서울 학교 3곳서 집단 결핵 발병 잇따라…비상”(BBS, 2012, 11. 27.) 등이 그런 예다. 결론을 말하자면 결핵은 언제나 우리 사회에 존재해왔는데 우리가 그런 사실에 무심했을 뿐이다.

 
| 결핵 퇴치가 어려운 이유

지금도 한국은 OECD 34개 회원국 중 최악의 결핵 국가다. 지난해 세계보건기구(WHO) 보고서에 따르면 그렇다. 2011년 기준으로 신규 환자, 전체 환자 수, 결핵 사망자 수, 여러 약제에 내성을 지닌 다제 내성 환자 수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인구 10만 명당 신규 환자(발생) 100명, 총 환자(유병률) 149명, 사망자 4.9명이었다. OECD 평균은 10만 명당 신규환자 12.7명, 총 환자 16.5명, 사망자 0.9명에 불과하다.

우리나라의 다제 내성 환자는 10만 명당 1,800명으로 2위 터키(560명)의 3배에 가깝다. 하지만 WHO의 1990년 통계와 비교하면 21년 동안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 유병률, 사망률은 각각 40.1%, 33.2%, 40.2%로 낮아졌다. 특히 1950~2000년 국가결핵관리사업 덕분에 환자 수가 1965년 124만 명에서 2000년 25만 명으로 크게 줄었다. 환자 수가 전체 인구의 1%대로 떨어지자 2000년부터 결핵 예산을 대폭 줄였다. 그 후 환자가 조금씩 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추세다. 정부는 ‘결핵퇴치 뉴 2020 플랜’을 통해 결핵 발생률을 2015년까지 10만 명당 40명, 2020년까지 20명 수준으로 낮출 계획이다.

결핵은 기원 전 7000년 석기 시대의 화석에서 흔적이 발견됐을 정도로 역사가 깊다. 인류 역사상 가장 많은 생명을 앗아간 감염 질환이기도 하다. 1882년 독일의 세균학자 로버트 코흐가 결핵의 병원체인 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을 발견했다. 그가 이를 학회에 발표한 3월 24일이 바로 ‘세계 결핵의 날’이다.

결핵의 퇴치가 어려운 대표적 이유는 우선 세계 인구 3분의 1이 보균자일 정도로 균이 널리 퍼져있기 때문이다. 한국인도 3분의 1이 이 같은 잠복결핵으로 추정된다. 잠복결핵이란 균을 보유하고 있지만 발병하지 않았으며 남에게 옮기지도 않는 상태란 뜻이다. 이중 10%는 평생 어느 땐가 발병하며 나머지 90%는 평생 건강하게 지낸다. 발병하는 사람 중 50%는 감염된 지 1~2년 안에, 나머지 50%는 그 후 언젠가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발병하게 된다.

결핵균의 증식속도는 일반 세균보다 훨씬 느리지만 인체 면역계의 대식세포에 잡아먹힌 다음에도 그 속에서 번식하는 능력을 갖췄다. 게다가 전염력도 강하다. 결핵은 결핵균(박테리아)이 일으키는 병으로 공기를 통해 전염된다. 폐결핵 환자가 기침, 재채기를 하거나 침을 뱉으면 균이 퍼져 나간다. 이 균은 전염력이 강해서 10마리만 흡입해도 보균자가 될 정도다. 약한 소독약에 견딜 수 있으며 건조 상태로 몇 주씩 생존할 수 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