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은 지키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상태바
전통은 지키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다
  • 불광출판사
  • 승인 2014.02.07 02: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 무형문화재 39호 금속조각장 곽홍찬 장인

우리의 국보와 보물 중 불교문화재가 차지하는 비율을 알고 있는가. 조계종 문화부에 따르면 2012년 2월 기준 국가지정문화재인 국보와 보물 가운데 불교문화재는 60%가 넘는다. 국보는 총 314점 중 179점, 보물은 1,721점 중 1,079점이 불교문화재다. 한국 문화의 정수가 불교문화에 집약돼 있음을 반증하는 통계다. 그러나 언젠가부터 불교 산업에서 그런 고도의 문화적 역량과 기술을 찾아보기 힘들어졌다. 과거 찬란했던 우리 문화의 역량과 기술의 맥을 잇고 있는 경기도 무형문화재 39호 곽홍찬(57) 장인을 찾아 불교 산업이 가야 할 길을 물었다.

 
| 4대째 내려오는 금속 조각장의 계보

부천에 한옥마을이 있는 것을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만화영상진흥원 뒤편, 골목이나 다름없는 좁은 입구를 지나 주차장에 차를 대니 비로소 한옥들이 눈에 들어왔다. 본래 이곳은 부천시가 야심차게 추진했던 무형문화재 마을이었단다. 지금은 시 내부에서 벌어진 갈등 속에 많은 장인들이 떠나버렸지만…. 곽홍찬 선생은 이곳을 지키고 있는 몇 남지 않은 장인 중 한 사람이다.

견학 나온 어린이들의 재잘거림이 정겹다. 한옥 마루에 앉아 차를 마시며 이야기를 시작했다. 곽홍찬 선생은 금속조각장이다. 일반적으로 조각장은 두 부류로 나뉜다. 양각과 음각. 고려시대 유행하던 돋을새김 기법이 양각이라면 ‘입사入絲’로 알려진 기술은 음각이다. 그는 두 기법을 모두 사용해서 공예품을 만든다.

입사의 경우에도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고대로부터 내려오던 끼움입사 방식이다. 이것은 정으로 홈을 만들어 그 사이에 실을 끼우는 식이다. 두 번째는 조선시대에 유행했던 쪼음입사 방식이다. 이것은 표면 전체에 자국을 내서 그 위에 금박이나 은박 혹은 금실이나 은실을 붙여 넣는 식으로 이뤄진다. 그중에서 그가 사용하는 방식은 끼움입사 방식, 그러니까 고대로부터 내려오던 방식을 사용하는 셈이다.

곽홍찬 선생은 할아버지인 고 곽순복 선생으로부터 4대에 걸쳐 금속조각장의 계보를 잇고 있다. 부친 고 곽상진 선생에게 금은 세공기술을 배우고 서울시 무형문화재 은공장銀工匠으로 지정된 김원택 및 기능전승자 고 박기원으로부터 전통 조각기법의 기술을 전수받았다.

“제가 이 일을 하게 된 건 아주 자연스럽게 이뤄졌어요. 집안의 가업이었으니까요. 본래 공예 분야의 장인들은 서울의 궁궐 인근에 거주했죠. 저 역시 어릴 때는 인사동에 살았고요. 자연스럽게 부친 곁에서 일을 도와드리고 가까이에서 하나둘씩 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업이 된 셈이에요.”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