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교의 새얼굴
상태바
한국 불교의 새얼굴
  • 관리자
  • 승인 2007.06.1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의 인생을 결정한 불교서

                                                                           노부호

‘나의 인생을 결정한 불교서’라는 주제로 원고 청탁을 받았을 때 나는 즉시 한 권의 책이 생각 났고 이 책을 소개해야겠다는 사명감 같은 것이 내 마음에서 일어나 능력이 미치지 못함에도 불구하고 감히 이 글을 쓰게 되었다.

내가 소개하고자 하는 책은 휴암 스님이 쓴 ‘한국 불교의 새얼굴’(대원정사, 1987)이다.

이 책은 나의 불교관을 정립하는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그래서 나의 인생을 결정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나는 이 책이 불교를 보는 시각을 바로 잡아 줄뿐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순수해질 수 있는가를 이야기하는 사상서라고 말하고 싶다.

‘한국 불교의 새얼굴’은 한국 불교의 문제점을 심도있게 분석 하여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책이다. 불교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느끼는 것 이겠지만 ‘불교는 왜 힘이 없는가?’ ‘불교는 왜 이 사회의 문제에 대해 아무 말이 없는가?’와 같은 의문을 제기하면서 불교가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않고 있는데 대해 내심 불만을 가지고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저자인 휴암 스님은 그 이유를 한국 불교에서는 지식만 있고 지성이 없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지성은 사상이고 가치관이다. 행동은 선택이고 선택은 가치관이 확립되어 있을 때 나올 수 있고 가치관이 뚜렷하면 할수록 행동은 그만큼 강해지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 불교에는 사상이 없고 자기 비판만 있다. 저자는 사상부재의 이유를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 불교가 이렇게 사상의 빈곤과 침체의 수렁에 빠지게 된 것은 바로 한마디 ‘모든 것이 자기 탓이다’라는 책임주의를 잘못 소화시킨 데 결정적인 원인이 있다.” 즉 자기 책임을 자기 반성을 위한 책임이 아니고 ‘너는 너 나는 나’와 같이 상호 무책임주의와 방관주의를 유발하고 여기에 덧붙여 ‘불교의 무분별지(無分別智), 무시비(無是非), 무념(無念), 무심(無心), 방하착(方下着)같은 개념들은 불교를 더욱 맹목적이고 무원칙의 풍토’로 흐르게 하여 불교는 불교인 전체를 위해 자기를 바치는 대아적 책임정신을 심어주지 못하고 제 살 길만 책임진다는 극단적인 이기적 개인주의와 은둔적 행위를 조장해 왔다는 것이다.

이것이 불교가 사회적 현실적 책임을 망각하고 있는 근본적 이유다. 이기적 개인주의는 또한 ‘과보적 인과사상’과 ‘호국불교’를 아무 비판없이 받아들임으로써 한국 불교를 물질적, 기본적, 체제종속적인 종교로 전락시키고 말았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