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력으로 전법의 길을 나선 암베드카르
상태바
대원력으로 전법의 길을 나선 암베드카르
  • 관리자
  • 승인 2010.05.2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연 따라 마음 따라

이러한 불법의 밝은 지혜의 광명은 역대 전등해 오신 수행자들에 의해 동남아시아는 물론 중국을 비롯한 동북아시아, 비단길을 통해 서구 유럽에까지 널리 세계 속으로 전해지게 되었다. 반면에 인도는 세력을 확장해온 힌두교와 회교 및 서양 열강들의 영향력 아래 불교의 입지는 서서히 좁아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역사의 아이러니 속에서도 불법의 빛은 결코 사그라지지 않았다. 1900년대 간디(1869~1948)가 인도 독립을 위해 무소유 비폭력 저항운동을 전개하였던 바탕에는 엄연히 부처님의 가르침이 녹아 있었다. 이와 더불어 사성계급의 차별에 억압받는 불가촉천민들을 위해 헌신했던 암베드카르(1893~1956)의 존재는 다시 한 번 인도에 불법의 꽃을 피워 올리는 촉매제가 되었다.

“힌두교인으로 태어났지만 힌두교도로 죽지는 않겠다”

암베드카르는 불가촉천민의 아들로 태어났지만 열심히 수학하여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인도의 초대 법무부 장관을 지냈다. 헌법을 초안하고, 삼색기(인도 국기) 중앙에 붓다의 법륜(法輪)을 그려 넣었다. 또한 불가촉천민의 평등성 회복이야말로 진정한 인도의 독립임을 강조하며 이를 이루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였다. 거대한 전통사상과 종교라는 벽 앞에서 그의 꿈이 좌절당할 위기에 처했을 때, “나는 원치 않게도 힌두교인으로 태어났지만 힌두교도로 죽지는 않겠다.”는 욜라 선언을 통해 약 50만 명이나 되는 불가촉천민들을 부처님의 자비로운 세계로 인도하였다. 그는 서재에서 임종할 때조차 불교 저술[『붓다와 그의 법(法)』]의 원고교정에 힘썼다고 전해지니, 얼마나 불법 중흥을 위해 노력했는지 알 수 있다.

암베드카르는 스스로 힌두교에서 불교로 개종하면서 1956년 10월 50만 개종자들과 함께 22개 조항을 맹세하였다. 그의 불교입문맹세 22개항은 다음과 같다.

01. 나는 브라흐마 비슈누 마헤슈와라를 신으로 인정하지 않고 또한 숭배하지도 않는다.

02. 나는 라마와 크리슈나를 신으로 인정하지 않고 또한 숭배하지도 않는다.

03. 나는 가우리(시바신의 처, 월경 전의 소녀)나 가나빠띠(집단의 수령)와 같은 힌두 신전의 남신, 여신 중 어느 쪽도 신으로 인정하지 않고 또한 숭배하지도 않는다.

04. 나는 화신(化身, 신들이 변해서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는 사상)을 믿지 않는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