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과 미술] 토속 신앙과 불교, 산신신앙과 산신도
상태바
[신앙과 미술] 토속 신앙과 불교, 산신신앙과 산신도
  • 유근자
  • 승인 2010.01.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앙과 미술
▲ 그림1>> 광덕사 산신도, 나무, 현대, 충남 천안 광덕사

 

호랑이와 곶감, 그리고 지리산 자락 늦가을, 지리산 자락에 자리잡고 있는 구례군 광의면 온당리 일대는 황금색의 감이 주렁주렁, 풍성하기 그지없다. 지난 주말 시댁으로 감을 따러 갔다. 추위가 닥치면 단감은 단맛을 잃어버려 상품 가치가 없어지는데 날씨가 추워진다는 소식에 시부모님은 노심초사하셨다.

일을 마치고 “감을 다 따고 나니 기분이 어떠세요?”라고 아버님께 여쭈었더니 아버님은 대뜸 “미친 개를 호랑이가 물고 가 버린 것 같다”고 하셨다. 멍하니 바라보는 나에게 “미친 개를 호랑이가 물고 가 버려 근심 걱정이 없어졌으니, 얼마나 기분이 좋으냐”는 것이다. 추위가 오기 전에 근심이었던 감 따는 작업을 마쳤으니 기분이 상쾌하기가 이루 말할 수 없다는 표현이었다.

옛날 호랑이가 온다고 해도 울음을 그치지 않던 아이가 곶감을 준다고 하니 울음을 뚝 그쳤다는 이야기, 그래서 호랑이가 가장 무서워하는 것이 곶감이라는 이야기는 어렸을 적부터 들었던 동화였다. 문득 맛있는 단감을 따는 일이 미친 개를 집안에 두는 것처럼 근심이었던 아버님의 걱정을 호랑이가 가져가 버렸다는 이야기를 들으며, 곶감을 무서워했다는 호랑이 이야기가 생각이 났다.

호랑이는 양면성이 강한 동물로 옛부터 인식되어 왔다. 사람을 해치는 포악한 면이 있는가하면 사람을 도와주는 선한 면도 함께 가지고 있어 우리 속담이나 옛 이야기에 가장 많이 등장한다. 자, 단맛이 물씬 도는 감을 한 입 베어 물고 호랑이가 등장하는 산신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보자.

산신이 된 단군 할아버지와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

산신은 우리 민족이 섬기는 자연신 가운데 으뜸으로 가장 오래된 신앙의 대상이었다. 단군은 죽어서 아사달의 산신이 되었다고 한다. 건국 시조가 죽어서 산신이 되었다는 것은 산신의 위상이 높았다는 것을 암시하며, 단군이 산신이 되었기 때문에 우리 민족에게는 산신이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었다.

산신제는 고대에는 국가의 제의(祭儀)였다. 왕이 주관하는 국가 제의의 대사(大祀)·중사(中祀)·소사(小祀)가 모두 삼산오악(三山五岳)을 섬기는 산신신앙의 하나였다. 산신신앙은 국가제의에서는 물론 각종 공동체 제의에서도 나타나는데, 산과 관련된 일을 할 때에는 모두 산신제를 올리는 전통에서도 그 사실을 알 수가 있다. 즉 전통사회에서는 산을 섬기는 풍속이 개인에서 가족, 마을, 나라에 이르기까지 거의 일상화되어 있었다.

산신신앙은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데 그 중 하나가 영웅 신화와의 결합이다.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와 관련된 전설은 여러 가지가 전승되고 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산신이 도와 준 이성계의 목숨’이다. 청운의 꿈을 품고 팔도유람을 하던 이성계가 주막에서 명나라를 건국한 주원장을 만나게 된다. 이때 주모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게 되는데, 그 주모가 바로 산신이었다는 이야기이다. 산신은 장차 천자가 될 주원장이 나타나서 조선의 왕이 될 인물을 찾아 죽이고자 하는 사실을 알고, 두 사람이 만날 자리에 주막을 차리고 주모 노릇을 하면서 주원장이 이성계를 알아보지 못하도록 이성계의 수염을 뽑아서 목숨을 구해준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