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치병(難治病) - 분노(忿怒)-
상태바
난치병(難治病) - 분노(忿怒)-
  • 관리자
  • 승인 2009.12.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운악산한화(雲岳山閒話)

     참아야 살 수 있는 세상

  분노 한 내 마음에 거슬리는 사물에 대하여 분개하는 마음씨입니다.

  이 마음씨는 자기가 욕구하는 일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생기는 심리이어서 욕심이 있는 곳엔 언제나 그것이 뒤따르게 마련입니다. 작게는 속이 상하는 것으로부터 크게는 팔을 걷어붙이고 눈을 부릅뜨고 싸우는 일까지에 이르러거나 나아가서는 나라 사이의 전쟁까지도 유발하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경전에서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세 가지 독(三毒)이라 부른다 하였다. 중생들의 뿌리 깊숙이 젖어 있는 병폐하고도 하였습니다.

 욕심을 내지 말아야 할 일인데 욕심을 내는 것이나 화를 내지 않아야 할 자리에 화를 내는 것은 모두가 어리석음에서 연유한다 하여 어리석음을 꼭 따라 붙게 마련입니다.

  이 어리석음과 탐욕의 합작으로 생긴 분노 때문에 결국 인간은 괴로움의 노예가 된다는 것이 불교입니다. 우리가 문제 삼고 있는 생·로·병·사의 고통이란 것도 우리의 마음에 거슬리는 사건들이므로 괴로운 것입니다.

  만일 내게 맞지 않는 상황에 대하여 달관하고 체념할 수 있다면 그때의 괴로움은 오히려 약이 될 것입니다.

「당신이 겪고 있는 모든 불행은 모두가 당신을 단련시키는 용광로로 생각하라. 고난을 겪지 않은 즐거움은 환상일 뿐이다. 마치 불매를 거친 쇠라야 단단해지는 격과 같다.」고 말한 아우구스티누스라는 철학자도 어쩌면 이런 경지를 갈파한 것이 아니었나 합니다.

  경전에서 인욕을 권장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입니다. 온갖 괴로운 일, 마음에 맞지 않는 일에 대하여 잘 참아 넘겨야만 수도가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백년을 참고 수도했더라도 한 번 화를 내면 모두가 무효가 되고 모든 일에 친절하다가도 한 번만 화를 내면 둘 사이가 계면쩍어 집니다.

  금강산 돈도암에 살던 돈도비구는 평생 동안 수행을 잘 하여 곧 아라한이 되려던 참이었는데 하루는 갑자기 광풍이 불어와서 눈에 먼지가 들어가니 화를 냈답니다.

  이 과보로 즉석에서 백미 되어 그 한을 풀지 못해 아궁이 속의 재에다 꼬리로 그 사실을 써서 후인을 경계했다는 일화는 좀 비약된 것 같지만 분노의 화됨을 가장 핍진하게 표현한 것이라 봅니다.

  그래서 부처님 자신도 인욕선인(忍辱仙人)이라 하셨고 우리의 세상을 사바(娑婆)라 하여 참아야 살 수 있느 세계라 하였습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