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날이 새날(日日是新日)
상태바
나날이 새날(日日是新日)
  • 관리자
  • 승인 2009.08.1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남덕 갈럼

또 한해가 저물고 새해를 맞게 된다. 젊은 나이에 새해를 맞는 것과 노년에 또 나이 한 살을 더 먹는다는 것과 어떤 의미의 차이가 있을까.

 새해가 우리에게 일반적으로 주는 의미는 일 년의 새 출발이라는 신선한 감각에 있다. 젊은이들에게 새해는 신선함이 두 가지로 겹쳐져서 희망에 부푼 발랄한 기운이 선명하게 부각된다. 그런데 반하여 노년과 새해는 잘 조화되지 않는 두 항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년에게도 새해는 틀림없이 찾아온다. 어떤 마음으로 새해를 맞는 것일까?

 나는 마치 나 자신은 젊은 사람인 것처럼, 다른 노년들이 어떻게 나이를 먹는지 몹시 궁금할 때가 있다. 일본의 어느 여류작가가 쓴 <戒老錄>이란 책이 우리말로 번역되어 <아름답게 늙는 지혜>라는 제목으로 내 흥미를 끌었으나, 내가 과문한 탓인지, 우리나라 노인들은 늙는 이야기를 해주지 않는다. 과연 할 말이 없어서 말이 없는 것일까?

 다른 어느 나라 노년들보다도 격변의 일생을 살아온 우리들이다. 오늘의 칠십대가 태어났을 때는 이미 일제가 한반도를 지배했을 때다. 식민지 치하의 굴욕은 삶속에서도 천진한 어린 시절은 나비 쫓고 달래 캐고, 햇님 달님 이야기와 콩쥐팥쥐 이야기로 낮과 밤을 이었으니 태고적 생활 그대로였다. 일년 중 세시풍속(歲時風俗)만 해도 그대로 지켜졌으니 산제당의 산신제, 풍년을 기원하는 기양제(祈壤祭). 지신제가 있었고, 단오날에는 씨름판과 그네터에 군중의 웃음꽃이 터졌었다.

 그러나 내 유년시절의 꿈이 깨어진 것은 만주사변․ 지나사변으로 일본이 전쟁을 시작하면서부터다. 군부독재의 표본으로 일본의 이른바 ‘대동아전쟁’은 세계사에 그 오점을 영원히 남기겠지만, 그 치하에서 신음했던 우리들의 아픔은 말로는 다 형언할 수 없을 것이다. 제 2차 대전의 종식으로 해방이 오고, 남북으로 분단된 조국에서 동족끼리 싸워야 했고, 그 아픈 상처가 채 아물지도 못했는데 4.19, 5.16, 5.17, 6.29등 숫자로 표시되는 역사의 갈등은 언제 조국통일로 매듭지어질지 모르는 단계에 우리들은 이미 노년을 맞은 것이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