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의 금강 월출산을 품안은 영암
상태바
호남의 금강 월출산을 품안은 영암
  • 관리자
  • 승인 2009.04.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바라밀 국토를 찾아서/ 영암군

불교사의 인물 가운데 우리 민족의 사상사에 가장 넓고 깊은 자취를 남긴 스님은 누구일까? 원효 스님이나 의상 스님께서 누구보다 깊은 자취를 남겼다고 한다면 그 넓이에 있어서야 도선 국사를 따라갈 분이 없지 않을까? 하긴 이 세 분의 명성을 빌어 창건되었다는 절이 전국에 걸쳐 반은 뭣해도 족히 3/1은 되고도 남으니 선사들의 자취를 굳이 깊이나 넓이로 따져 무엇할까?

도선 국사 하면 누구나 풍수를 먼저 떠올린다. 풍수를 미신연하고 비과학이라 누명씌웠던 오랜 미명(?)에서 두 눈을 쓱쓱 비벼 전통의 지리학으로 새롭게 자리매기고 있는 요즘,. 도선 국사께서 우리 민족 생활상에 끼친 영향은 한층 빛을 발한다. 이런 점에서 도선 국사는 원효나 의상 스님보다도 이 땅의 민초들에게는 불교를 생활에서 부대끼게 한 누구보다 친근한 스님이요. 대대로 천 년을 우러름 받는 큰 스승이었는지 모른다.

영암, 월출산 꼭대기 신령스러운 바위에서 지명이 유래되었다는 이 고장에서 바로 민족의 큰 스승인 도선 국사가 태어났다. 입 속으로 영암을 불러보면 눈에는 월출산이 떠오르고 떠오른 월출산에선 자연스럽게 도갑사가 따라나온다. 이 도갑사가 통일신라 이전에 문수사로 불리 울때 어린 도선 국사가 그곳에서 자랐다고 한다.

이 지방에 전하는 ‘최씨원 전설’에 의하면, 옛날 최씨 성을 가진 처자가 이곳에서 빨래를 하다가 물에 떠내려 오는 사람 키만한 참외를 먹고 아이를 가졌다고 한다. 이 아이가 도선 국사로 최씨 부인은 이 아이를 낳자마자 내다 버렸으나 비둘기들이 날아들어 날개로 덮고 먹이를 물어 와 먹이므로 문수사 주지스님이 이상히 여겨 데려다 기르니 장성하여 스님이 되었다. 이후 도선 국사가 중국에 다녀와서 문수사터에 절을 지으니 그것이 오늘의 도갑사라고 했다. 이 얘기는 그대로 도갑사의 창건설화가 되었다

봉긋봉긋한 산으로 에워싸인 호남벌 복판에 훨훨 타는 듯 웅장하게 솟아오른 월출산은 그렇게 한 위대한 인물과 위대한 진리, 불교의 만남을 잉태했다. 월출산은 얘기만 듣고 실컷 자다 일어나 쳐다봐도 ‘ 아, 저것이 월출산이로구나.’ 할 정도로 인근에서는 닮은 산이 없다. 수려한 바위 군락이 겹겹으로 산머리에 올라 서 있어 큰 헛기침 한번에 우르르 쏟아질 것 같다. 광주에서 나주를 지나 덕진 낭자의 고운 뜻이 서린 영산포 덕진다리에 이르면 벌써 산의 먼 자태가 눈에 들어온다.

 강진행과 목포행으로 나뉘는 삼거리가 영암읍이고 이곳에서 목포쪽으로 방향을 잡아 평평한 시오릿길을 가다 왼편 산길로 다시 십리를 가면 도갑사가 나온다. 다시 말하자면 월출산 서쪽 능선이 가라앉는 지점이 바로 도갑사다. 입춘이 지난 지 수십여 일이 됐건만 여기는 때 아닌 폭설이 내겼다고 한다. “나가 쬐끄매서 그렇게 내리는 거 보구 시방이 츰이오,” 눈이 얼마나 내렸냐고 묻는 말에 40대 동네분이 큰 목소리로 대답하는 남도사투리가 과장만은 아닌 것 같다.

눈 쌓인 아침 도갑사는 한적했다. 해탈문(국보 제 50호) 안으로 보이는 피안의 세계는 나부끼는 눈꽃 하나도 보이지 않는 적멸 그 자체다. 호남의 절집들은 이런 고즈넉함이 남아 있어 좋다. 세 개의 어깨돌 나란한 층층다리를 밟고 올라 참으로 오랜 만의 여유로운 구경이라 생각하며 아껴아껴 해탈문을 살핀다. 대체로 단정한 느낌이 드는 이 건축물은 조선 세조에서 성종 연간에 만들어진 문이다.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주심포 양식이다. 안으로 들어가면 양편 초입에는 금강역사가 나누어 서있고 뒤편으로는 각각 사자와 코끼리 등에 올라앉은 문수동자와 보현동자가 다소곳이 미소 짓고 있다. 이들 모두는 뛰어난 목공예 솜씨를 보여주고 있다.

밖에서는 비바람을 막으려 쳐놓은 바람막이에 가려 볼 수 없지만 안에서는 목조 건축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맛볼 수 있다. 여말선초의 대표적인 건축물로 꼽히는 수덕사 대웅전이나 인근의 무위사 극락전에서 보이는 건물 측면의 면 분할이 여기에도 아주 잘 보여진다. 가만 살피면 단청빛이 푸릇하게 남아 있는 것이 보이지만 이미 그것은 단청으로서의 효용가치는 끝나 보이고 여닫이 널문이 걸려 있었던 듯 중앙에는 문을 해달았던 흔적도 보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