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氣)가 생동하는 불교음악의 큰 잔치
상태바
기(氣)가 생동하는 불교음악의 큰 잔치
  • 관리자
  • 승인 2009.04.23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작국악교성곡「보현행원송」발표 공연을 보고

 자연의 이치는 어김없이 우리에게 찾아와 화창한 봄날의 정취를 물씬 느끼게 만들어주고 있지만, 이 나라를 이끌어가는 정치세력의 한심스러운 작태가 나의 마음을 울적하게 만들어주는 요즈음이다. 목련꽃과 개나리 그리고 진달래 꽃의 고운 모습을 제대로 드러내기도 전에, 대권경쟁의 드라마가 우리들의 시선을 끌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4대 총선 때 있었던 군부재자투표의 부정시비 의혹과 안기부 개입의 흑색선전 문제를 깨끗이 마무리도 하지 않은 상황에서, 총선 결과를 하늘의 뜻으로 받아들이겠다고 말함으로써, 겸허한 자세를 보이는가 싶더니, 대권의 고지를 향해서 핏발선 눈으로 뛰고 있는 정치현실이 나를 더욱 우울증의 늪에 빠지도록 만든다.

  이런 정치적 부도덕성의 실망으로부터 울적한 심정을 잠시 해방시켜 준 반가운 음악행사가 4월 2일에 있었으니 그것이 바로 청암(靑岩) 박범훈 교수 작곡 및 지휘로 발표된 그의 세번째 불교음악 '보현행원송'의 연주회였다. 불광사와 불광법회의 협찬으로 중앙국악관현악단. 중앙디딤무용단. 극단미추. 불광합창단이 세종문화회관 대강당에서 펄친 현대판 불교음악의 큰 잔치마당은 나의 답답했던 가슴 속에 근래 흔하지 않은 진한 감동을 안겨주었다. 적어도 필자에게는 역사적 순간이었다. 역사적이라는 말은 음악 작곡의 '보현행원송'이라는 창작국악교성곡이 지닌 의미를 필자는 다음과 같이 두 각도에서 생각해 보았다. 첫째는 '보현행원송'에 대한 음악사적 측면에서의 조명이고, 둘째는 새 창작품의 예술성이라는 관점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4세기부터 불교가 한반도에 수용되어 민족종교로서 오랜 동안 뿌리를 뻗어내린 이후, 많은 유형 및 무형문화재를 우리에게 남겨주었다. 이 땅의 수많은 미술품들과 건축물들이 불교를 수용한 결과의 유형문화재라면, 범패(梵唄)나 화청(和請)같은 불교 음악은 불교문화의 대표적인 무형문화재 중 하나로 꼽힐 수 있다. 불교의 이런 전통 음악은 그러나 오늘날 겨우 명맥을 유지하기도 어려운 실정인데, 그 이유를 골똘히 생각해보면, 우리나라의 근대화과정에서 잘못 전개된 음악의 역사에서 그 뿌리를 찾아 볼 수 있다.'  우리의 앞 세대들은 그릇된 개화기의 결과로 인하여 망국의 서러움을 안고 일제식민지의 지배 밑에서 나라를 잃은 채 민족적 수난을 겪었고, 이 때문에 전통문화의 단절에서 오는 가치관의 혼란 및 주체성의 상실은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

  더욱이 일제시대의 왜곡된 문화정책 때문에 외래문화를 자주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자아의식을 잃어버림으로써, 가치관의 혼란은 심화되었고 주체성의 상실은 가속화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 아래서 남의 장단에 춤추지 않을 수 없는 실정이었고, 서양음악의 수용문제도 그런 시대적 대세속에서 예외적일 수 없었다. 따라서 한국 전통음악의 가치와 전통성을 제대로 평가할 수도 없었음은 물론이었고, 기독교문화의 그늘속에서 불교음악은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데 그칠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었다.

  한국근현대음악사의 불행한 현실 아래서 전통음악의 창조적 계승문제는 이 시대 한반도의 음악지성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민족음악사적 과제의 하나였다. 이런 역사의식에 투철한 젊은 작곡가들이 요즈음 새 불교음악의 창작활동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음은 반가운 현상이라고 하겠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