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문화의 본질적 특성(9)
상태바
인도 문화의 본질적 특성(9)
  • 관리자
  • 승인 2009.04.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도문화 소개

   3[다]

 평상 생활 속에서 인도 문화는 세 가지 기본 덕을 강조해 왔다. 「브리하드 아란야까 우파니샤드」에 그것을 예시하는 우화가 있다. 사람의 선조인 쁘라쟈빠띠(Prajapati)에게 윤리적 행동에 대한 가르침을 요청하여 세 주요 피조물이 접근하였다고 한다. 각각에게 그는「다」(Da)음절로 대답해 주었는데 그것들은 각각 다마(Dama), 다나(Dana), 다야(Daya), 즉 절제, 보시(布施), 자비였다. 이것들이 인도에서 사람들이 존경하는 덕성이며 이들 덕성의 이해가 인도 문화의 평가에 기본이 된다. 다마란 무슨 뜻인가? 그것은 문자 그대로 절제를 뜻한다. 그것은 인간의 내적 자제이며, 까마(Kama), 끄로드하(Krodha), 로브하(Lobha), 모하(Moha), 즉 정욕, 분심, 탐욕, 어리석음에 대한 지배이다. 결국 다마를 이루는 것은 자신의 정욕을 통제하고 욕망을 규제하며 충동을 자제하는 수련이다. 그러면 다나는 무슨 뜻인가? 그것은 희사, 즉 자비심에서 주어진 것을 의미한다.

 다나가 무엇인가 하는 것은「마하브하라따」에서 금무늬를 가진 몽구스가 가장 값진 시물을 아낌 없이 브라흐만에게 바치는 유드히쉬트히라의 제사드리는 공회소에 들어가는 유명한 이야기로 가장 잘 예시되어 있다. 그곳에서 몽구스는 모든 왕이 시물이 가난한 사람이 시여하는 한 줌 보리만 같지 못하니 왜냐하면 하늘에서의 보상을 바라는 시여엔 아무 공덕도 없기 때문이라고 대담하게 선언했다. 그러므로 다나란 바른 의미에서 풍요로부터 주어지는 희사가 아니라 희생을 수반하는 무엇이며, 남과 나누는 귀하고 가치 있는 무엇이다. 쁘라쟈빠띠가 강조하는 세 번째 덕성을 다야 즉 비심이다. 그 서사시 속에서 왕 유드히쉬트히라가 그를 따르는 길 잃은 개를 버리고서 까지 하늘에 오르기를 거부하는 것보다 더 감동적이고 대중적인 이야기는 없다. 만일 그가 자비를 포기해야 한다면, 그에겐 천국조차도 무의미한 것이었다.

불교의 자타카 이야기(Jataka, 전생담)도 그 순수한 전통에 있어서 또한 이 위대한 덕성을 강조한다.

  아힘사(Ahimsa)

 아힘사 사상은 이 다야 사상으로부터 생긴다. 아힘사에 대한 해석이 많지만, 쟈이나교도는 모든 생명을 성스로운 것으로 생각하여 해충이나 독벌레조차 죽이기를 금지하는 논리적 결론으로 이끌어 간다. 인도 문화 속에서 둘 다 참다운 흐름인 불교와 쟈이나교는 이런 면을 강조한다. 지난 수십년간 마하트마 간디는 이 주의에 확대된 의미를 주었다. 그러므로 필요한 것은, 어떤 의물에서 아힘사가 힌두 문화의 본질적 측면인가를 의미해 보는 것이다. 힌두 문화가 어떤 시기엔 평화롭지 못했다는 것은 사실에 의해 쉽게 증명 될 수 있다. 힌두인의 많은 부분이 동물 공희를 믿었고 아직도 믿고 있다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우리 문화를 지배하고 있는 두 위대한 서사시인 「라마야나」와 「마하브하라따」는 대규모의 살인이 그 주 특성인 전쟁을 다루고 있다. 인도 문화에선 어느 때고 아힘사를 전쟁과 폭력의 사용, 형법의 일부로서 사형을 가하는 것, 사람과 가축을 해치는 야생동물의 사냥 따위를 금지하는 주의로 생각하지는 않았다. 또한 동물계에 대한 일반적인 동정의 태도 속에서의 아힘사의 역할은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럼 어떤 의미에서 아힘사가 힌두 생활의 특색인가? 아힘사가 흰두인에 의해 요긴한 주의로 간주되는 것은 분심으로 부터나 자신의 이익을 위해 방자한 상해를 일으키지 아니한다는 것에서이다. 물론 좀 도를 지나친 형태에서 아힘사가 종교적 교파에 의해 권장되긴 했지만, 그것은 다만 특수 집단의 믿음일 뿐이며 일반 인도 문화의 일부를 이룬 것은 아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