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불교] 서양 불교의 발전
상태바
[해외 불교] 서양 불교의 발전
  • E-밴즈, 이지수 역
  • 승인 2009.03.31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외 불교

  5 독일에서의 불교와 조직적 포교

  아시아 제국에서의 불교의 재흥이 또한 유럽, 특히, 독일에서 조직적인 테라와다 전교의 발달로 이끌었다. 1952년 스리랑까 불교도들은 랑까 담마두따 협회(Labja Cgannadyta Socuett) 즉, 불교 전교 협회를 결성하고, 1954년 「국제 불교 서비스」를, 그리고 그로부터 「독일 불교 전도단」이 유래했다. 제 6회 불교도 대회(1954년 5월~1956년 5월)에서, 당시 버마의 수상이었던 우 누(U_Nu)는 유럽, 특히 독일에서 불교 포교사를 위한 교육 기관을 짓기 위해 199만 루피 이상의 모금 운동을 조직했다. 그에 따라 1957년에 함부르크에 학교가 지어졌다. 그러나 이런 포교 활동을 기독교 전도의 역동적 조직과 기술에 비교하는 것은 잘못일 것이다. 대체로, 현대화된 불교조차도 조직에 있어서 약하다. 그런데 조직적 전도활동의 성공 여부는 주로 포교 단체에 달려 있는 것이다.

  한편, 우리는 두드러진 사실에 직면케 되는데 그것은 불교가 자발적 호소, 전혀 비조직적이고 우연적인 수용에 의해 전 유럽에 퍼졌다는 것이다. 불교의 성공적인 전도란 전혀 강요되지 않은, 그리고 그 접근에 있어서 무척 다양한 것이었다. 학적인 저술, 불교 원전의 번역, 붓다의 생활과 가르침에 대한 문고본 입문서, 여러가지 불교 원전에서 뽑은 텍스트북, 라디오와 텔레비젼 방송,불교국 여행, 그리고 무엇보다도 불교 명상의 갖가지 방법의 발표 등, 이 모든 것이 불교가 서양인의 학문적 그리고 종교적 의식에 침투하도록 도와 주었다. 종교사의 관점에서 볼때 이것은 극히 역설적인 현상인데, 왜나하면 불교 문헌과 사상은, 동아시아 불교국들이 기독교 전도사들에 대해 느낀 본능적인 저항도에 반비례하여 서양에서 받아 들여졌기 때문이다. 물론, 이 저항이란 공공적 제도로서의 기독교 교회에로 향한 것이었다. 오늘도 불교의 많은 정신적 지도자들은 예수의 모습을 신약을 통해 알려진 것과 마찬가지로, 기독교와의 진정한 조우를 위한 출발점으로서 마이스터 엘허르트, 혹은 타울러의 기독교 신비주의를 통해서도 바라본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