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단청의 뿌리와 맥을 잇는 만봉 스님
상태바
한국 단청의 뿌리와 맥을 잇는 만봉 스님
  • 관리자
  • 승인 2009.03.3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처님 그늘에 살며 생각하며

  가끔씩 하던 일을 멈추고 법당에 가 앉아 있다 보면 결코 외롭지 않은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모든 이들의 마음을 이미 다 헤아려 다 알고 계신 듯 항상 하는 미소를 짓고 계시는 부처님을 뵐 수 있고, 또 으례히 부처님의 뒷면에 모셔진 탱화에 도설되어 있는 보살상과 호법신장상, 칠성, 산신 명부의 시왕(十王)에 이르기까지 금방 말을 걸면 대답하실 듯한 여러 존상들을 한꺼번에 만나 뵐 수 있기 때문이다.

  어디 그 뿐인가. 법당 기둥과 벽면, 천정에 이르기까지 매우 세련되고 고운 선으로 그려진 불화(佛畵)들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금방 어디에선가 천음악(天音樂)이 울리고 단비가 내릴 것만 같은 환희에 젖어 들기도 한다.

  부처님 뒤에 모셔진 후불 탱화나 법당 벽면에 그려진 불화들, 그리고 천정의 서기에 어린 구름이나 천녀상 등이 어떤 대상을 묘사하거나 표출한 것이라기 보다는 우주 전체상을 그대로 드러내려고 하고 있는 것이기에 우주속에 함께 있는 자신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법당안에서 뿐만 아니라 사원 건축물 외형에서도 충분히 그렇게 느낄 수가 있다. 청 · 황 ·적 · 백 · 흑의 5색으로 조화를 이룬 단청 문양은 보는 이로 하여금 선명하면서도 생동감을 느끼게 하기에 환희심을 불러 일으키기에 충분한 신성미마저도 준다.

  주로 목조건물에 여러 가지 채색을 써서 아름답게 문양을 베풀어 장엄하는 단청은 원래 건축물의 부식이나 충해를 막아 영구보존을 위한 수단으로 쓰여 졌으며 건축물을 장엄하는데 쓰여졌다. 그러나 사찰의 단청은 단순한 장식과 부식과 충해를 막기 위해 그려진 것이 아니기에 우리는 그 속에서 하나의 우주를 보며 우리의 이상세계를 본다.

  이처럼 우리나라 건축의 특색을 이루고 있는 사찰의 단청. 그 뿌리와 맥을 이어온 금어(金魚) 만봉(萬奉스님은 1972년 8월 1일 중요무형문화재 단청장(丹靑匠)으로 첫지정되었다.(당시 통도사를 중심으로 활동해온 월주(月州)스님과 금산사를 중심으로 활동해온 일섭(日涉) 스님도 단청 분야에 인간 문화재가 되었으며, 일섭스님은 타계하셨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