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문제로 어떻게 현실에 참여할 것인가
상태바
어떤 문제로 어떻게 현실에 참여할 것인가
  • 관리자
  • 승인 2008.09.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중특별기획 - 이 시대를 진단한다 / 종교의 현실 참여

지난 6월 30일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이 서울시청 앞 광장 일대에서 시국미사를 드리고 개신교, 불교가 시국기도회, 시국법회로 화답하면서 종교의 사회 참여 문제가 여론의 도마에 올랐다. 세속으로부터 초연해야 할 종교가 왜 현실문제에 참여하느냐, 이미 정권퇴진을 외치며 정치적 성격을 띠게 된 촛불시위에 종교인들이 참여하는 것은 정교분리 원칙에 어긋나는 것 아니냐, 평화집회의 취지는 좋지만 혼란을 부추긴다는 등의 비판을 촛불시위에 반대하는 보수 언론과 단체들이 제기했다. 반면 찬성하는 쪽에서는 종교의 현실 참여가 왜 문제가 되느냐, 두 달 이상 촛불시위가 계속되고 있다는 것은 현 정부의 대국민 기만과 소통 부재가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이고 종교인들도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목소리를 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종교의 사회 참여는 정당한가 아닌가. 결론부터 말하자면 종교의 사회 참여, 현실 참여는 정당하다. 인류 역사에서 성(聖)과 속(俗)의 분리는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닐 뿐더러 실제로 완전한 분리는 가능하지도 않다. 일평생 세상과 담을 쌓고 사는 천주교의 봉쇄수도원도 결국 세상과 일정 부분 소통하지 않으면 유지 자체가 불가능하고, 심심산중의 선방도 완전 자급자족하지 않는 한 속세와 완전한 단절이란 있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종교의 존재 이유가 무엇이겠는가. 스스로 자족하며 세상과 담을 쌓고 산다면 빛과 소금, 목탁의 역할은 어떻게 할 것인가. 근대 이후 수많은 학자들이 과학과 이성의 칼날로 종교를 재단하며 ‘신의 죽음’을 선포했지만, 정보산업화 시대에 더욱 종교가 활기를 띠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인가. 심우도(尋牛圖)의 마지막 장면이 저잣거리(속세)로 들어가 중생을 제도하는 입전수수(入廛垂手)라는 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성과 속은 손등과 손바닥,동전의 양면처럼 서로 등을 돌리고 있으나 의지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우리 근·현대사를 보더라도 종교는 결정적인 순간마다 현실에 참여해왔다. 19세기 중반에 등장한 동학(천도교)은 조선말의 봉건적 압제와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웠다. 일제강점기에는 천도교·대종교·보천교·청림교 등의 민족종교들이 항일투쟁 전선에 앞장섰고, 3·1운동을 주도한 민족대표 33인은 개신교·천도교·불교 등의 종교계 대표였다.

1970년대 이후 독재정권에 맞서 민주화를 이루는 주도적 역할도 종교계가 담당했다. 군사정권 시절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를 중심으로 한 개신교계 인사들은 세계기독교교회협의회(WCC)와 연대해 민주화와 인권운동에 앞장섰고, KNCC가 있던 ‘종로 5가’는 민주화 운동의 아지트였다.

1974년 지학순 주교가 김지하 시인에게 자금을 제공했다는 이유로 중앙정보부에 끌려간 것을 계기로 등장한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도 이후 노동자·농민·빈민 등 약자들의 인권을 대변하며 반독재 투쟁에 앞장섰다. 1980년 5·18 학살의 진상을 세상에 공개한 것도, 1987년 박종철 군 고문치사 사건의 조작 사실을 폭로해 6·10항쟁의 기폭제 역할을 했던 것도 사제단이었다.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