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 문학과 불교
상태바
남미 문학과 불교
  • 관리자
  • 승인 2008.01.14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광 논단

  서구의 불교철학 현황

 본론을 다루기 전에 작년 여름휴가를 이용한 구라파 여행에서 서구에서의 동양사상 특히 불교철학의 현황에 관하여 견문한 바를 이 기회에 간략히 전달하고자 함을 양해하기 바란다.

 필자는 전에(1963~1971) 구라파에 머무는 동안에 서구문명 속에서의 동양사상 특히 불교가 어떻게 전달 수용되는가를 관찰할 기회가 있었던 바 이번 여행에서도 이 점을 특히 유의하여 둘러 보았다. 종교 특히 철학 서적을 전문으로 하는 큰 서점에 가보면 위의 현상은 쉽게 파악될 수 있다. 1971년대만 해도 마드리드의 큰 서점에서 동양철학 부문을 보면 극히 초라하였다.

 그러나 이번 여행에서 놀라운 현상을 발견하였다.

 마드리드 대학가의 「비솔」서점의 예를 보면 동양 종교철학 책의 수량은 서양 종교철학 부문의 그것과 거의 동일한 것이다. 이것은 실로 놀라운 변화다. 필자는 이 서점에 연 일주일을 매일 오전마다 출근하며 그 서적들을 일일히 검토하여 보았다. 여기에서 말하는 동양철학의 구체적인 내용은 요가를 중심한 힌두사상 특히 선(禪)을 중심한 불교철학, 티베트 불교, 주역, 노자, 공자, 근대 인도의 라마크리시나, 비베카난다, 오늘날 구미에 널리 알려진 크리시나무르티, 그리고 임어당 등의 저서를 말한다. 동시에 이상 열거한 여러 갈래의 동양사상을 개별적으로 혹은 이를 모두 종합하여 서구인들 나름대로 정리한 책들이 많았고 이에서 파생되어 비롯된 소설 수필 등도 적지 않았다.

 그리고 대학가에서도 이 동양사상 관계서적들이 베스트셀러가 되고 있다는 소식도 놀라웠다. 이와 똑같은 현상을 벨기에에서도 필자는 목격하였다. 그러니까 오늘날 서양속의 동양사상은 동양이 서양 문명에 진 빚을 갚아 돌려주고 있다는 이야기도 될 수가 있는 것이다.

  라틴아메리카편, 멕시코

 아마도 네르보(1870~1919)

 스페인어를 모국어로 갖는 스페인과 라틴 아메리카 제국에 동양사상이 침투된 역사적 과정을 보면 카 제국에 동양사상이 침투된 역사적 과정을 보면 라틴아메리카가 스페인보다는 더 개방적이었다고 말할 수가 있다.  그 중에서도 멕시코를 제일 먼저 들 수가 있다. 네르보는 근대 라틴아메리카 모던니즘 운동의 대표적인 시인의 한 사람이다.  그는 젊어서 신학 공부를 하였고 신부의 수련과정을 밟은 지극히 종교적인 시인이었고 신비주의적인 경향을 초기작품 《흙진주와 신비주의》에서 부터 보이고 있다.

그는 일찍부터 동양사상 특히 인도사상과 불교철학에 깊이 탐닉하였고 그의 후기 작품에는 짙게 나타난다. 그는 구라파 여행 중 파리에서 「안나 세실리아」란 여인을 만나 깊은 사랑에 빠졌고 1912년 그녀의 죽음은 그의 세계를 급속히 변화시키게 하였다. 그는 생사의 문제에 집념을 하게되고 고뇌로 부터의 해탈을 추구하기에 이른다. 이때 그는 석가여래의 가르침인 인생의 고뇌는 욕망으로 부터 온다는 말에서 깊은 시적 영감을 얻는다.《체념》이란 시에서 네르보는 이렇게 외친다.

「오! 싯다르타 고오타마여, 당신의 말씀이 옳았읍니다.

 우리 인간의 고뇌는 욕망에서 기인되고 에덴동산은 바라지 않는 데 있고 모든 소유욕을 근절하는데 있다고 말씀하셨지요.

 탐욕이 없는자는 어디를 가도 행복한 법,

 욕망이란 쓰디쓴 잔이고

 만족을 모르는 문어 다리같이

 자르면 자를 수록


인기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최신 불교 뉴스, 월간불광, 신간, 유튜브, 붓다빅퀘스천 강연 소식이 주 1회 메일카카오톡으로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많이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