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통대광명장에 드시사

경전강의/소천(韶天) 원각경 강의

2007-11-04     관리자

入於神通大光明藏하사

해설
이 대목에서는 (1)신통대광명장이란 무엇인지 (2)‘드시사[入]’란 무슨 뜻인지 (3)바가바께서 신통대광명장에 드신 의의는 무엇인지 등에 의문을 갖고 소천선사의 강의를 살펴보자.

강의
깨끗한 마음터인 법신(法身)은 둘이 아닌 하나이므로 언제나 또 어디에서나 통해지는 것이다. 하나인 것같이 신기(神奇)한 일은 없다. 이 몸이 하나이므로 못할 것이 없이 갖은 신통을 다 내는 것이다. 한 몸에서는 눈, 귀, 코, 팔, 다리 등 모든 부분들이 별의별 신통을 다 내고 있는 것을 우리는 보는 바이다. 기기도, 뛰기도, 엎치기도, 뒤치기도, 웃기도, 울기도, 사업도, 발명도, 공부도, 모략도 하는 것이다.
이 신통만은 부분부분이 서로서로가 각각 한 몸으로 여겨 움직임에서 그리 되는 것이다. 만일 눈과 귀가 또는 팔과 다리가 혹 정신과 마음이 서로서로 남이 되어서 움직이면 신통은 고사하고 모든 못난 짓만 나와질 것은 뻔한 일이다.
각 부분이 한 몸이 되어 동작함에서만 못 부릴 신통이 없이 다 부려질 것이니 부처가 되는 신통까지도 부릴 것이다. 한 가정도 한 국가도 한 세계도 한 진리도 다 그런 것이다. 오직 한 몸처럼 움직임에서는 바라고 원하는 바는 기적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견성성불(見性成佛)도 세계평화도 구국안민(救國安民)도 한 몸같이 움직이는 신통에서는 다 되는 것이다. 만일 나라가 잘못됨이 있으면 그 국민이 하나가 아니된 탓이요, 또 한 가정이 잘못됨이 있으면 그 가족이 하나가 안 된 증좌(證左)인 것이다.
부처님께서는 법신을 한 몸으로 하시어서 일체의 유무정(有無情)1) 과 일체의 형이상하(形而上下)를 하나로 수용하시는 것이다. 이러한 법신을 수용하시는 그 몸에서는 대계(大界)의 변화와 중생(衆生)의 생멸(生滅)이 모두 다 하나인 몸의 신통작용으로서의 존재요, 세출세(世出世)의 무량묘의(無量妙義)는 그 하나인 몸의 신통 진리로서의 존재인 것이다. 진리계(眞理界)를 한 몸으로 삼는 법신불의 신통지사(神通之事)는 대개 이러 했던 것이다.
다음 대광명장은 어떠한 것인가? 모든 광명을 갈무리하고 있는 보고(寶庫)임을 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진리를 한 몸으로 한 법신불(法身佛) 속에 소장(所藏)된 전광명체(全光明體)인 것이다. 어떠한 사업에서나 물질에 있어 능히 진리로써 한 몸을 실현할 수만 있으면 진리만은 발작(發作)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 사업과 그 물질에는 영광의 꽃이 피기도 하고 명랑(明朗)의 바람이 불기도 하는 법이다.
명랑은 광명에서 오고 광명은 신통에서 오는 것이다. 또 신통은 깨끗 하나로서 온다. 깨끗은 깨끗임으로 올 곳이 없다. 깨끗 하나로 된 몸은 여래의 법신인 까닭이다. 이 같은 법신을 사바계(裟婆界) 중생에게 일러주실 때는 온 것이다. 그래서 ‘한 때’ 하는 말도 쓰여진 것이었다. 석가모니께서는 이 같은 법신의 바가바로서 하나로 한 신통작용을 일으키시었으니 이 신통에서 나온 대광명장은 실로 법계에 두루한 것이다.
그러하시고 다시 친히 이 광명장 안에 드시었으니 이는 이 광명으로써 미(迷)한 중생을 적시사 하여금 하나인 몸 즉 법신의 내막을 밝게 일깨우실 심산이심이다. 그렇게 해서 차차 이 내용을 설명도 하시어 마침내는 이 법신을 내어 맡겨 주실 차비인 것을 알아야 한다.

해설
소천선사께서는 “법신불(法身佛)은 진리계(眞理界)를 한 몸으로 삼는지라 신통(神通)이 자재(自在)하고 또 그 속에 전광명체(全光明體)를 소장하고 있다.” 고 설명한 바로 미루어 ‘신통대광명장’은 곧 법신불의 경지 내지 법신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료된다.2) 통윤(通潤)선사는 ‘원각경 근석(近釋)’에서 “신통대광명장이란 곧 여래장(如來藏)의 다른 이름”3) 이라고 한다. 그런데 불성론(佛性論)에 의하면 ‘여래(如來)의 법신은 인위(因位)4) · 과위(果位)5)를 통하여 변하지 않는데 중생(衆生)에 있어서는 번뇌에 덮여 감추어져 있어 이 감추어져 있는 여래의 법신을 여래장’이라고 하므로 통윤선사께서 신통대광명장을 여래장이라 한 즉 곧 감추어져 있는 여래 ‘법신’을 가리키므로 소천선사의 강의와 통윤선사의 해석이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6)
그리고 통윤선사는 ‘신통대광명장 즉 여래장은 성인(聖人)과 범부(凡夫)가 동일하게 두루지닌 체(體)’7)라고 한 바, 이는 여래장 즉 “법신은 깨끗한 마음터로 자아(自我)를 삼으신 몸이고, 깨끗한 마음터는 둘이 아니니 제불(諸佛)과 중생(衆生)이 법신에서는 동일한 몸”이라고 한 소천선사의 지난번 강의를 참조하면 쉬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신통대광명장을 함허선사는 ‘각체(覺體)’8)라 하고, 용성선사는 ‘본연 각성(覺性)의 당체(當體)’9)라고 하는 바, 각성은 곧 불성(佛性)을 뜻하고 불성은 여래장의 다른 명칭이므로 이 또한 표현만 달리할 뿐 동일한 해석이라고 할 것이다.
또 신통대광명장을 “분별업식(業識)의 장벽이 없으므로 신통(神通)이라 하고, 항상 밝아서 어둡지 않으므로 광명(光明)이라 하고, 그 광명은 한계가 없으므로 대(大)라 하고, 염정제법(染淨諸法)을 포용하므로 장(藏)”이라고 한 월운 스님의 해설10)과 “업식의 담[牆坦]을 깨뜨림을 이름하여 신통이라 하고 無明의 숲을 제거함을 이름하여 대광명장”이라고 한 통윤선사의 해설11)을 체용(體容) 측면에서 대비하면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리고 “업식의 장벽을 깨뜨려 장벽이 없음을 일러 신통”이라 한 위 두 해설은 “부처님께서는 법신을 한 몸으로 하시어 일체의 유무정과 일체의 형이상하를 하나로 수용하시니 그 몸에서는 대계의 변화와 중생의 생멸(生滅)이 모두 다 하나인 몸의 신통 작용으로서의 존재요 세출세의 무량묘의는 그 하나인 몸의 신통진리로서의 존재”라고 한 소천선사의 위 강의와 대비하여 다시 살펴보면 뜻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으로 ‘드시사[入]’란 신통대광명장이 공간적 장소가 아니므로 든다[入]는 의미도 사뭇 달라질 수밖에 없다. 통윤선사는 “성(性)과 상(相)을 여의매 체(體)가 법계(法界)와 같아서 들되[入] 든 상(相)이 없음을 일러 든다[入]”라고 해설12)하고, 용성선사는 “본연 청정한 대지혜광명장에 명합(冥合)13)한 연고로 들어갔다14)” 고 해설한다. 그리고 월운스님은 “성(性)과 상(相)의 분별을 여의고 본체(本體)와 법계(法界)가 일여(一如)해지는 것이 그대로가 신통대광명장에 드는 것이다.”15)라고 해설하고 함허선사께서 “소위 듦[入]이란 비고 밝아 스스로 비치는 각체(覺體)로 더불어 수순(隨順安住)함을 말한다.”16)고 해설한다.
본체(本體)와 법계(法界)가 같아진 즉 법신 곧 신통대광명장일 것이고 함허선사의 ‘비고 밝아 스스로 비치는 각체’나 용성선사의 ‘본연 청정한 대지혜광명장’ 또한 신통대광명장을 뜻하고 또 ‘명합’이나 ‘더불어 수순안주함’이라거나 ‘든[入] 상(相)이 없다.’거나 ‘일여(一如)해진다.’함이 모두 같은 뜻으로 사료되므로 함허 · 통윤 · 용성 · 월운 등의 해설이 서로 다르지 않다할 것이다.
살피건대 바가바께서는 진리계를 한 몸으로 삼으므로 체(體)가 법계(法界)와 같아서 법신불의 경지인 신통대광명장을 나투시나 성(性)과 상(相)을 여읜지라 법신불인 바가바와 그 경지인 신통대광명장은 둘이 아니어서 바가바께서는 신통대광명장을 나툼없이 나투심이며 듦이 없이 드심인 것이다. 즉 신통대광명장은 본래 들[入] 것이 못 되는 것이며 또 들 곳도 없는 곳이니 본래 그대로를 수순(隨順)하는 것을 일러 든[入]다고 할 것이다.
이를 미(迷)한 중생의 안목으로 보면 중생은 자신에게도 구족(具足)되어 있는 법신을 알지 못하므로 즉 진리계를 한 몸으로 삼지 못하므로 또 성과 상을 여의지 못하여 바가바와 같이 신통대광명장에 듦이 없이 함께 들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이하에서 이 법회에 함께한 대중의 근기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소천선사의 강의에 의하면 바가바께서 신통대광명장에 드신 뜻은 “미(迷)한 중생에게 법신의 내막을 밝게 일깨워 이 법신을 맡겨주실 준비를 하시는 것”이라 하니 다음 강의를 잘 살펴 법신의 내막을 알아보자.
주)
1) 유무정은 유정(有情)과 무정(無情)을 뜻하는 바, 유정이라 함은 마음[情識]을 가진 살아있는 동물계(動物界)를 말하고, 무정이란 초목(草木), 산천(山川), 대지(大地) 등 비동물계를 말함.
2) 혜월거사 역시 “법신은 신통한 대광명의 지혜를 간직한 장(藏)이라 법신이 곧 신통대광명장”이라고 해석한다. [강만성, 󰡔원각경강론󰡕(부산, 형설, 1982) p.8]
3) 탄허스님께서 함허선사의 원각경해설과 통윤선사의 원각경근석을 번역 · 해석한 󰡔원각경󰡕(서울, 敎林, 1994) p. 51, 그리고 김월운 스님도 신통대광명장은 여래장이라고 함 [김월운, 󰡔원각경주해󰡕(서울, 동국역경원, 1993) p.3]
4) 인위(因位)란 부처가 되기 위한 수행[因]을 하는 동안의 지위를 말함.
5) 과위(果位)란 인위(因位)의 수행을 달성하여 얻은 불(佛)의 지위를 말함.
6) 법신은 범어 dharma-kaya의 음역으로 법불(法佛) · 법신불(法身佛) · 자성불(自性佛) · 법성신(法性身) 등이라고 하며 진리 그 자체, 불(佛) 그 자체, 또 여래장 등을 뜻하므로 위 해석과 같다.
7) 김탄허, 전게서 p.51
8) 함허당득통,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권상 p.23
9) 백용성, 󰡔대방광원각경󰡕 (서울, 대각회, 1974) p.17
10) 김월운, 전게서 p.2
11) 김탄허, 전게서 p.51
12) 김탄허, 전게서 p.51
13) 명합 : 온갖 모양을 여의어 은연중 일여(一如)가 됨.
14) 백용성, 전게서 p.18
15) 김월운, 전게서 pp. 2-3
16) 함허당득통, 전게서 p. 23 [所謂入者與比虛明自照之體隨順安住之謂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