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의 성좌] 8.임제(臨濟) 사상의 배경

2007-10-26     김지견

  수당(隋唐)시대에 성립한 불교의 각파가 한결같이 왕실과 귀족계급의 보호와 경제적 정치적 지지(支持)에 의지했었던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천태지의(538~­598)와 수의 양제, 현장(600~­664)의 법상유식(法相唯識)과 당의 고종, 현수(643­~712)의 화엄철학(華嚴哲學)과 측천무후, 불공(705­~774)의 밀교(密敎)와 대종등(代宗等)에서 볼 수 있는 밀접한 교섭은 아주 보기 쉬운 사례이다.

  물론 이와 같은 경향에 정면에서 반대하고, 철저한 「방외(方外)의 사(士)」로서 출가한 사문의 길을 무엇보다도 무겁게 여기던 분들도 없었던 것은 아니다. 노산의 혜원(334­~416)은 「사문은 왕자를 예배할 필요가 없다.」(沙門不拜父母王子論)라는 주장을 했었다. 불교도로서 만장(萬丈)의 기염을 토했었던 것이다. 남악혜사(515­~577)가 『법화경』의 4안락행의 설에 의해서 국왕 대신에 친근 하는 것을 경계했었던 것과 같은 유훈도 후세에 불교도들의 귀감이 되었으나, 그것은 어디까지라도 하계의 속권(俗權)이 멀리 미치지 못한 산상의 승원(僧院)에 있어서의 정신적 귀족으로서의 긍지이며 아주 특수한 사회 내에서 만의 일이었다. 실제로 남조(南朝)에 있어서 청담적 불교(淸談的佛敎)는 일견 속계를 뛰어넘은 듯 했었으나, 거의가 이와 같은 정신귀족 그것이었지, 국가권력과 맞서 대결하고 지도하려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호족이 지배하는 화북 땅에서 두타행(頭陀行)으로써 출발했었던 중국의 선은 오히려 위와 같은 중국불교의 숙명적인 과제였던 속권과의 대결이었으며, 그 돌파를 실행했었던 매우 희유한 좋은 예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왕조나 귀족 부상(富商)들로부터 재정적 원조나 정치상의 편의를 기대하지 않는 편력자로서의 늘 하층의 민중과 접촉하고, 민중의 생활 속에 파고들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사실을 보면 왕실과 귀족들과의 교섭을 떠나서, 늘 민중 속에 있었던 선승들은 귀족불교의 철학자들이 내세운 것과 같은 심원고대하고 번쇄한 교학체계를 주장하지 않고, 그리고 그 필요성을 느끼지 않고, 역으로 그들은 상류층 불교학자들이 해내지 못했던 민중들에게 직접 설법을 했었다. 그들은 일상의 구어나, 속어에 의해서 늠름히 실행하며 불교의 진리를 말하고 인간성의 진실을 주장해 마지않았다.

  선은 원래 인도문화의 전통을 이어받아 산림 속에서 명상의 실천에서 시발되었으나 중국 초기의 선승들은 당초부터 언제나 무엇인가 불가사의한 힘을 지닌 신변(神變)스러운 승으로서 민중의 관심과 신뢰를 모으고 있었던 것 같고 경전의 번역과 강술연구를 전문으로 하는 의해(義解)의 승들과 다른 사람들로 인정되고 있었던 것 같다.
  위와 같은 배경이 원류가 되어 초기선승들의 이미지가 부각되고 면면히 지속되며 중국 선(禪)이 형성되었다. 중국 선맥중에서 큰 봉우리를 이룬 임제의 사상은 달마이전의 두타선의 성격을 띄우고 있다고 보아서 무방할 것이다. 오늘날 학계에서 달마, 혜가 등의 전기가 아주 애매한 것은 그들이 항상 민간에 행사(行仕)하고 민중과 같이 있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기록에 기재될 기회를 잃었기 때문이며, 역으로 전기적인 설화가 부가되지 않았나도 생각된다. 여기에 두타행자로서 초기선승들의 특색이 있다. 임제을 살펴 가는데 이상과 같은 기초 위에서 생각해보아야 할 줄 믿는다.

  붇다의 종교는 본디 당연 이상의 당연한 인간의 종교로서 출발했었다. 그것은 비인간적인 형식 속에 파묻혀 버린 바라문의 종교를 개혁하는데 있었기 때문이다. 태어날 때 바라문이 아니라 그의 행위에 있어서 바라문이 된다는 뜻이다. 주지하는바와 같이 이것이 붇다적 종교 표치(標幟) 이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무의(無依)의 사람을 말한다. 무의란 말은 모든 사람이 4성 계급의 차이를 뛰어넘어 나면서부터 평등하며 자유롭다는 확신에서부터 오는 것이다.

  붇다의 종교는 이렇게 해서 인간본래의 자유를 지키고 그것을 확충하고 실현하는 것이다. 보조국사 지눌이 불법의 참뜻을 터득했었다는 저 유명한 「화엄경」여래출현품의 『일체 중생이 여래의 지혜 덕상을 갖추었다』는 구절은 이 소식의 원저(源底)를 교시한 것 인줄 믿는다. 그리고 불교에 있어서 여래의 십호(十號) 가운데 참사람, 깨친 사람, 명지와 행을 갖춘 사람, 행복한 사람, 무상(無上)한 사람, 사람들을 어거하는 사람, 신령과 인간의 스승, 깨치신 분, 모든 사람들의 스승 등이라 불리어오는 것은 인간을 떠나서 붇다의 종교는 있을 수  없는 것을 교시한 것이라 보아서 좋을 것이다. 그것은 불교의 이상임과 동시에 불교에 있어서 인간의 이상이었다.

  마조(馬祖)에서 시작되는 홍주종(洪州宗)의 불교가 어디까지나 구체적으로 인간의 입장을 강조하고 있는 것은 아마도 붇다의 정신에로 돌아가려고 기도 드리는 소원이었을 것이다. 그것은 흡사 당시 한유 등이 공맹(孔孟)의 정신에 돌아가려고 했었던 것과 때를 같이 한다. 위와 같은 시대에 이르러 중국 불교가 새롭게 선의 운동을 전개했었다는 것은 다같이 인간관의 현현(顯現)에 그 뜻이 있었던 것을 짐작 할 수가 있다 하겠다. 이렇게 당시를 추찰(推察)해 보매 종밀이 홍주의 인간관에 대해서 자성의 본용을 잃어버린 「수연응용(隨緣應用)」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했었던 것은 바른 것이 될 수가 없다. 임제의 불교는 결코 그것만이 아니다. 오히려 종밀이 말한 자성의 본용(本用)에 사무치고 더 나아가, 전체적으로 작용하는데 활발한 수연응용이 있고, 그것이 바로 임제의 인간관이라고 볼 수가 있다 하겠다.

  다시 말해서 황벽의 심법은 임제에 이르러 「사람」이 된다. 그것은 언제나 임제의 안전(眼前)에 현전하는 구체적인 적나라한 모습을 독로(獨露)하는데 잇었다. 그것은 활발발지(活潑潑地)에서 활동하는 주체의 전체인 것이다. 종밀이 말하는 「자성의 본용을 잃은 수연응용」이 아니라 자성 전체가 그 「있는」 그대로 작용해서 근본을 잃지 않는 영성의 현현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임제의 전체 작용은 화엄의 성기사상(性起思想), 그대로 땅 위를 밟고 가는 것이다.
  임제의현은 국가의 보호나 기성교단의 전통 같은 배경을 가지지 않은 독보건곤(獨步乾坤)하는 아주 자유스러운 운수납자였다. 오히려 이런데 민중은 크게 감화를 받았다. 그가 어떤 종파적인 전통을 안 가졌다고 하지마는, 그는 젊었을 때 강남 황벽산에 주석하시던 희운선사의 지도에 의해서 대오하였다. 이 사실이 그의 후반생의 활동을 지탱케 했었던 것은 자명한 일이다. 다시 황벽 희운은 그의 스승인 백장을 이었고, 백장은 그의 스승인 마조의 법을 이은 것처럼, 그 법맥을 소급해 올라가면 그들은 중국에 선을 처음으로 전해주신 달마의 법계에 속한다. 임제 자신도 그것을 인정하고 있다. 그는 설법의 어떤 부분에서는 법계를 강조하는 면도 없지 않으나, 결코 전통에 사로잡혀 무조건 그것을 긍정하는 것이 아니었다. 그 사상을 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다음 실례를 생각해 보자

  그는 황벽회상에 참해서 피나는 정진 끝에 크게 깨친바 있었으나, 얼마 있지 않다가 사장(師匠)을 여의고 그의 고향인 하북으로 돌아가려고 했었다. 그때, 황벽은 작별인사를 하는 그에게 백장(황벽의 스승)으로부터 인가의 증표로 전수 받았던 「선판(禪板)」, 궤안(机安 -책상) 등 좌선하는 도구를 다시 전하려고 했었다. 그때 그는, 시자에게 불을 가져오라고 했다. 즉 인가의 증명서 같은 것은 필요 없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소식은, 그가 일체의 기성의 가치와 논리를 거부하고 그것을 거부하는 자기주체의 고정화까지도 세차게 부정하는 순전한 자기부정의 심층에서 인간의 본래 지닌, 영성을 보도록 발양(發揚)한 것이라 보아진다.

  그가 「선판」이나 책상을 태워버린 것은 스승이신 황벽 스님한테 불만이나 이의가 있었던 것은 결코 아니다. 그의 거부는 단순한 거부가 아니라 그런 형식적 물품보다도 훨씬 충실한 종교적 생명 그것의 발로라 보아서 좋을 것이다. 오히려 거부가 스승이신 황벽스님에 대해서 다하지 못한 보은을 한 셈이 된다. 훨씬 뒷날의 일어난 송나라 시대의 대혜는 사장(師匠)인 원오의 「벽암록」을 불태워 버렸다고 한다. 「벽암록」은 그것이 아무리 훌륭하더라도 원오의 자위(自尉)의 기록에 불과하다. 대혜는 원오(圓悟)가 언어에 걸려 있는 것 같은(사실은 다르나) 인상(印象)에 항의하는 것이다. 그것은 말보다 심층에 있는 원오의 소식을 확실히 파악했다는 소식(消息)이 아닐 수 없다. 임제는 중국선의 주류인 두타의 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그는 형식이나 주의에 있어서 행동하는 것이 아니다.

그 형식이나 주의의 심저에 있는 선의 주체를, 중시했었던 것이다. 형식화한 교의나 전통에 대해서 그처럼 서슬이 멀겋게 맞선 선자(禪者)는 아마도 없을 것이다. 임제는 「봉(棒)」, 「할(喝)」을 곧잘 활용했다고 전해진다. 할은 거부의 맹렬한 의지 표명이고 봉은 그의 직접행동인 것이다. 이 소식은 언어 문학의 근원에 잠재하는 건강한 야성의 약훈(躍勳)이라 할 것이다.

  중국 민족은 고전을 존중하고 예의작법을 귀찮을 정도로 주장하는 전통을 지니고 있다. 선왕의 말씀을 조술(祖述)하고 자기 의견을 말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해왔다. 중국에 전해진 불교도 비슷한 경향이 없지 않아서, 경전의 훈고주역(訓詁註譯)은 불교자들의 매우 중요하게 여기는 바이었다. 임제는 그 같은 고전주의에 대해서 힘찬 개혁을 외쳤다. 달마로부터 시작된 선종은 그같은 주장을 가지고 있었다. 저 유명한 「이심전심(以心傳心), 불립문자(不立文字)」라는 슬로건은 고전이나 전통에 사로잡히지 않고 각자의 마음을 근본으로 하는 의기(意起)이다. 언어문학의 심층에 있는 원체험의 세계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임제는 이같은 소식을 누구보다도 신심(身心)으로 심화시켰던 것이다.

  결론으로 불법은 「응병여약(應病與藥)」이라 하는데, 임제의 할이나 봉은 어떤 처방이었던가, 생각해 보자. 도대체 병이 나은 다음에는 약이 필요 없게 된다. 다시 건강한 사람한테는 약은 무용한 것이 된다. 본래의 건강을 잃었을 때 사람들은 약을 찾고, 그 효능을 시험한다. 『응병여약』이란 병에 즉(卽)해서 효과 있는 처방을 한다. 동시에 복용하는 약 그것이 목적이 아니라 수단인 것이다. 임제는 병과 약을 연구하는 짓을 털어 버리고 본래의 건강을 깨치는 길을 선택한 두타승이었다. 

실제로 참 양약은 본래의 건강을 깨치는 일이다. 그것은 「응병여약」 그것 자체가 필요 없는 약인 것이다. 임제는 황벽 큰스님의 지시에 의해서 본래 건강법을 깨친 분이다. 대선지식은 병리나 약리의 연구자가 아니라, 본래건강의 길로 인도할 줄 아는 자를 일컫는다. 임제의 좌선법은 그의 말대로 「도안분명(道眼分明)」이다. 도안분명은 다름아닌, 건강한 눈이다.그것은 설명을 통해서 진리를 아는 것이 아니라 자기 속에 살아 꿈틀거리는 진리를 자기 눈으로 확실히 파악한다는데 임제의 사상이 있고, 그것은 곧 대기대용(大機大用)이며 돈오돈수(頓悟頓修)의 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