껍질 벗은 왕새우, 부채(扇) 위에 누워 있네

우리 스님/ 평택 아란야 원장 지묵 스님

2007-10-07     관리자

부채 위에 올려놓은 왕새우가 금방이라도 물을 튀기며 펄떡거릴 것 같다. 빳빳한 지느러미로 활처럼 굽은 등을 펼치며 당차게 튀어오를 것 같다. 지묵 스님은 부채에 왕새우 그림을 즐겨 그린다. 이미 수천 점 넘게 그렸다. 눈에 익은 사군자, 산수화가 아니어서 신기하다. 해로은(海老隱)이란 글씨를 곁들인 큼지막한 부채를 주변 인연들에게 나누어준다.
“남녀가 결합하여 가정을 이루면 등이 굽을 때까지 해로하라는 의미를 부여해 봅니다. 또 다른 의미는 여기 그려진 그림처럼 우리 모두 왕새우가 되자는 겁니다. 새끼 새우가 자라 왕새우가 되는 과정에서 한 차례 껍질을 벗습니다. 이 때 새우 몸에서 나는 감미로운 냄새가 물 속 십리 밖까지 퍼집니다. 새우를 잡아먹으려는 뭇 물고기들이 몰려듭니다. 대부분의 새우들은 이 과정에서 죽지요. 껍질을 벗고 살아남아 왕새우가 되는 것은 극히 일부에 지나지 않습니다. 아찔하고 처절한 과정이지요. 하찮은 미물도 이런 탈피의 과정을 거치는데 인간은 껍질 벗는 과정이 몇 번이나 되며 그 노력이 얼마나 치열한 가 반성합니다.”
부채에 누운 새우를 다시 보니 노송 아래서 솔바람 쐬며 유유자적 누워 있는 도인 같다. 모진 역정을 헤치고 깨달음에 이른 새우보살이여.

우리는 이웃에게 어떤 존재인가
“부채에 그림을 그리고 부채를 나누어주는 의미는 무엇입니까?”
“부채는 바람을 일으키는 도구입니다. 바람을 일으켜 더위를 식혀주는 도구지요. 제 몸을 살라 주변을 밝히는 촛불의 공덕에 비할 바는 못 되나, 무더운 날 땀을 식혀주고 나들이할 때는 햇빛 가리개가 되고 소리꾼은 부채 하나 달랑 벗 삼아 대여섯 시간 동안 절절한 가락을 뽑아냅니다.”
우리는 이웃에게 어떤 존재인가를 생각한다. 서로를 겨누는 창칼은 아닐까. 지옥과 천상에는 똑같은 음식으로 가득 차 있으나 수저 사용법이 다르다. 지옥에는 한발 넘는 큰 수저로 음식을 먹으려니 끝내 한 숟갈도 입에 넣지 못한다. 천상에서는 수저가 비록 한 발이 넘지만 서로 상대방에게 먹여주니 배부르게 음식을 먹는다. 작은 바람 일으켜 덕을 베푸는 나무 부채보살! 바람은 걸림 없는 존재다. “모든 것에서 걸림이 없는 사람이라야 도를 이루어 생사에서 벗어난다(一切無碍人 一道出生死).”
출가 이전인 20대 초반 시절 지묵 스님의 마음을 지배하던 가르침이다. 그래서 지묵 스님에게는 어느 절에 주석한다는 규정이 없다. 송광사 출신 스님일 뿐 바랑을 풀어 놓는 곳이 없다. 그래서 이런 구절을 좋아한다.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와 같이,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이, 흙탕물을 더럽히지 않는 연꽃과 같이,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머무르면 바람이 아니다. 그래서 지묵 스님은 늘 부지런하다. 특히 입과 손과 발이 부지런하다. 막힘없고 거침없는 지대방 입담은 소문이 자자하다. 차 한 잔 나누려 마주 앉았다가 오후 공부 날리고 밥 태우고 국 태운 이 다수였더라. 제방 선원에서 수행한 이력과 발바닥 닳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여행의 경험 덕분이다. 출가 전 무전여행, 엿장수 시절, 여러 사찰에 얽힌 설화 등 동서고금을 바람처럼 자유롭게 넘나든다. 자타에게 엄격하기로 유명한 법정 스님과도 밤낮을 가리지 않고 이틀 동안 법담을 나누었다는 전설이 있다.
발이 부지런하지 않으면 특급 만행이 어렵다. 풀은 바람보다 먼저 눕고 바람보다 먼저 일어난다고 시인 김수영이 말했다. 그러나 풀을 눕히는 것도 일으켜 세우는 것도 바람이다. 깨어있는 자만이 새로운 새벽을 맞을 수 있다. 지묵 스님의 여행은 무소의 외뿔처럼 홀로 간다. 함께 하는 여행은 결국 헤어짐의 고통이 아리다. 불편과 외로움을 혼자 견뎌내는 즐거움이 더 크다. 소걸음으로 때로는 성난 사자처럼 부지런히 지구촌을 누볐다. 문지방 못에 장삼자락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며 이 절에서 저 절로, 영국에서 인도로, 중국에서 티베트로, 미국에서 프랑스로.
바람의 자락을 붙잡아 매는 말뚝은 어디에도 없다. 발품을 판만큼 발이 튼튼해지고 머리와 가슴에는 겸손과 재산이 쌓인다. 승속을 불문하고 여행만큼 훌륭한 스승은 없다. 길을 나서면 산천초목, 우수마발이 다 스승이다. 되도록 젊을 때 길을 나서는 것이 좋다. 여행을 위해 100만원 쓴다고 할 때, 20대에 쓰면 1억원이 되어 돌아온다. 3~40대에는 5천만 원, 50대에는 본전만 돌아와도 오감타. 6~70대에는 병을 얻는다. 혹은 비행기 의자에 앉아 돌아오지 못하고 화물칸에 실려 올 수도 있다.

스님 같은 스님
지묵 스님의 뭉퉁한 손 역시 부지런하다. 바랑을 내려놓고 앉으면 죽비를 깎는다. 만행 중 들른 사찰에서, 수련회장에서 죽비를 깎는다. 잡념이 가장 싫어하는 적군이 열중이다. 손놀림은 열중과 평온을 데려오는 착한 소년이다. 전각에 대한 관심도 마찬가지다. 달마도, 십우도 등도 열중을 부채질해주는 좋은 벗들이다. 스스로 소유하기 위해 쏟는 열정이 아니기에 아름답다. 세속의 땀흘림은 고작 자신과 식솔을 위함이다.
“연꽃은 진흙탕에서 자라지만 진흙에 물들지 않지요. 연꽃잎 위에는 한 방울의 오물도 머무르지 않습니다. 물이 연잎에 닿으면 그대로 굴러 떨어집니다. 물방울이 지나간 자리에는 흔적이 없습니다. 바닥에 오물이 자욱해도 그 오물에 뿌리를 내린 연꽃의 줄기와 잎은 청정함을 잃지 않습니다.”
연꽃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대변하는 꽃이다. 지묵 스님의 연꽃예찬이 거침없이 이어진다. 연꽃의 모양은 둥글고 원만하여 보고만 있어도 마음이 온화해진다. 연꽃의 줄기는 부드럽고 유연하다. 그래서 충격에도 부러지지 않는다. 유연하고 융통성 있게 살라는 가르침이다. 연꽃은 피면 어김없이 열매를 맺는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꽃 피운 만큼의 선행은 그만큼의 결과를 맺는다.
늙은 동료 엿장수가 무심코 던진 말이 씨가 되어 지묵 스님이 되었다. 그와의 약속 아닌 약속이 지켜지고 있다. 가난에 지치고 염세가 기승을 부리는 스무 살 무렵, 엿장수를 했다. 10여 명의 엿장수들이 모여 있는 엿집에서 중늙은이 엿장수들 틈에 끼어 강엿을 고아 흰엿을 만들어 엿판에 담아 팔러 나간다. 물론 이것은 체험 삶의 현장이 아닌 실제상황이다. 함께 작업을 하던 엿장수들이 농반진반으로 우스갯 소리를 던졌다.
“그놈 참, 시냄(스님) 같네.” “중놈이 엿장수 나왔나, 허허허!”
인상과 행동거지를 보고 그렇게들 말했다. 그런데 그 말에 귀가 번쩍 뜨이고 청년의 운명을 결정지었다. “스님 같다, 스님 같다”라는 말은 지금도 유효한 경구로 간직하고 있다. 스님다운 스님, 수행자다운 수행자라고 말을 바꾸어 가슴에 품고 있다. 걸죽한 욕지거리를 잘도 하던 늙은 엿장수들은 먼 길을 떠났을 것이다.
단옷날 부채를 나누고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장 빨리 가는 방법은?
1.고속버스 2.새마을 기차 3.KTX 4.비행기 5.걸어서 위의 보기에는 답이 없다.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가는 것’, 이것이 가장 빠른 방법이다. 시간이 부족할 지경이다. 하고 싶은 일에 몰두하며 나아가는 삶, 수행자의 본분에 벗어나지 않고 은유와 알레고리로 가르침 전하는 모습을 지묵 스님에게서 본다. 차 마시고 새우 그리는 모습 보고 넉넉한 법문을 듣고 있으니 어느새 대 여섯 시간이 후딱 지나버렸다. 서울 부산을 왕복하고도 남을 시간이다.
해마다 단옷날에 부채전을 연다. 올해로 4회째다. 단오에 옛 창호지 부채를 주고받는 전통을 되살리고 스님이 직접 부채에 글씨와 그림을 그려준다. 약소한 보시금을 모아 불우 어린이 돕기, 군부대 호신불 보내기에 쓴다. 아쉬움이 발목을 잡는다. 어색하게 엉덩이를 떼려는데 즉석에서 붓을 들어 새우 그림을 한 점 그려 선물로 준다. 갓 건져 올린 싱싱한 새우다.
“어떠시오? 맘에 드시오?”
언감생심, 맘에 들고 말고 할 것이 어디 있습니까. 꾸벅! “그런데 어디 초고추장 없습니까?” 죄송합니다, 스님. 저는 어쩔 수 없는 속인이옵니다.

지묵 스님|1948년 전남 장흥에서 출생했다. 1976년 조계산 송광사로 출가하여 법흥 화상을 은사로 득도한 이후 각종 수련회를 이끌고 걸림 없는 다양한 글쓰기, 방송 매체를 통한 생활 불교를 전파하고 있다. 『초발심자경문(난자집)』,『산승일기』, 『나마스테』,『날마다 좋은 날』,『봉주르, 길상입니다』,『초발심자경문(영인본)』『죽비 깎는 아침』 등 20여 권의 책을 펴냈다. 현재 평택 아란야 원장으로 대중들과 더불어 수행정진 중이다. jimuk@chollian.com

이우상|소설가, 경북 의성 출생, 동국대 국문과 졸업. 96년 문학의 해 기념 불교문학상 공모 장편소설 당선. 99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중편소설 당선. 현재 대진대 문창과 겸임교수 asdfsang@ha 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