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간지주(幢竿支柱)

불교문화산책/ 삶의 경계표

2007-10-04     관리자

Ⅰ. 머리말

당간지주(幢竿支柱; banner pole supporting posts)는 당(幢) 혹은 번(幡)과 같은 깃발 종류를 설치하는 구조물이며, 동시에 사찰 초입에 설치하여 산문의 시작과 속계와의 경계 역할을 담당한다. 가람배치는 남북 자오선 축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상례이다. 따라서 일주문 앞에 배치되는 당간지주는 당연히 동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자리잡게 된다. 현재 사찰이 남아 있지 않은 곳이라도 대부분 당간지주가 남아 있어 옛 가람의 그윽한 향기를 느낄 수 있다.

Ⅱ. 당과 당간지주

당(幢; Dhvaja, Ketu)은 음역하여 태박야(謁縛若)·계도(計都)라고도 한다. 불전이나 불당 앞에 세워 법회나 의식 때 불·보살의 공덕으로 마군을 격퇴시키는 구실을 한다. 달리 당번(幢幡)과 증번(繒幡)으로 불리며, 불전을 장엄하는 데 쓰이는 당과 번을 함께 아우르는 용어이다. 특히 번은 정(定)·혜(慧)의 손(手), 혹은 4바라밀의 발을 본떠서 만든 깃발로 불법을 수호하는 상징적인 의례용구이다.
당간지주의 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현존하는 작례로 보아 통일신라 이후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중국 용문석굴에서 당대에 제작된 벽화를 보면 당과 번이 함께 등장하고 있어 통일신라시대에 중국의 영향을 받아 당을 제작하고, 이것을 게양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

Ⅲ. 우리나라 당간지주의 조형미

현존하는 당간지주는 통일신라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및 숙수사지 당간지주,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와 고려시대의 것으로 선산 보원사지 당간지주가 대표적이다. 당간지주의 구성을 보면 당을 게양하는 당간(幢竿), 당간을 지탱하는 지주(支柱) 그리고 이들 양자를 받쳐주는 지대석으로 이루어진다. 지주는 2개의 돌기둥이 1조를 이루는데, 안쪽 면에는 아무런 조각을 두지 않고, 바깥쪽 면에 양 모서리를 줄인 후 가장자리와 가운데에 세로띠나 종(縱)으로 긴 안상(眼象)을 새겨 놓기도 하였다.
또 하나의 특징으로 정상부분은 바깥으로 내려오면서 둥글게 깎여져 있으며, 보통 2~3단으로 굴곡을 이룬다. 안쪽 면의 아래위에는 당간을 고정시키기 위해 사각·원형으로 된 2~3개의 홈을 파놓는다. 그 외에 중원 미륵리사지, 고창 교운리, 경주 보문동(보물 제 910호) 지주와 같이 기둥 바깥쪽에 연꽃을 돋을새김하기도 하는데 제작연대를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다.
한편 당간은 청동이나 철로 제작된다.
찰간(刹竿)·장간(長竿)·범간(梵竿)·치간(幟竿)이라고도 하며, 『범어사사적』에는 33범천을 나타내기 위해서 각 마디를 33개로 했다는 기록이 있어 당간의 모습을 짐작케 해준다. 현존예로 갑사(甲寺) 철당간, 청주 용두사지(龍頭寺址) 등이 있다. 특히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청동제 용두보당(국보 제 136호)은 실내에 봉안하기 위해 소규모로 제작되었으나 완전한 형태의 당간지주 구성을 보여주는 귀중한 예로, 간주의 머리에 용머리 장식을 하여 용두보당으로 불린다. 이외에 여의주를 장식하면 여의당(如意幢)이라고 한다.
주목되는 것은 경북 풍기에서 발견된 용두로 목 부분에 ‘도르레’ 장치를 한 흔적이 있어, 당간에 당을 게양할 때 도르레를 이용하여 마치 현대 깃대에 깃발을 게양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지대석은 일반적으로 2단으로 구성된다. 먼저 육중한 당간을 받치는 원형 연화좌와 그 밑으로 사각형 구조물로 이루어졌다. 하부 구조물에는 4면에 안상을 화려하게 조각하였고, 연화좌는 마치 석등의 하대석과 같이 복련연판으로 장식되어 있다.
현재 불전 앞에는 당간지주가 없고 대신 좌우 혹은 단독으로 남아있는 지주가 있는데, 이것은 괘불을 거는 괘불대로 용도는 당간지주와 같다고 하겠다. 당간지주의 아름다움은 지주의 상부가 하부에 비해 가늘어 안정적인 구도를 보이며, 특히 밖으로 외반 된 상부의 조형은 구조적 안정감에 앞서 느껴지는 역동성에서 찾을 수 있다.

Ⅳ. 맺음말

당간지주는 언제나 일주문 앞에서 기약 없는 순례객을 기다린다. 결코 화려하지 않으나 반듯·의엿한 자태를 뽐내는 돌기둥. 가족 간에도 늘 작은 다툼이 있거늘, 동과 서로 마주보며 우직히 한 자리를 지키는 당간지주를 보고 있노라면 우리네 삶의 경계표 같다는 생각이 사라지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