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인연이야기] 불교와의 인연 그리고 오늘의 나

2007-10-02     배광식

내가 글을 배운 것은 일제시대의 일본글을 배운 것이 처음이다. 지금의 초등학교인 심산소학교 시절 교과서에 ‘수행자와 나찰(修行者と 那刹)’이라는 제하의 일본어 ‘히라가나(平假名)’로 영어의 ‘ABC’ 같은 47음자(音字)로 된 노랫말을 만나게 된 것이 불교라는 개념 설명과의 첫 해우였다.

그 때는 이 어려운 말의 깊은 뜻을 잘 몰랐지만 지금까지 기억에서 벗어난 일이 없었다. 불교공부를 하면서 이 노랫말이 『열반경(涅槃經)』에 나오는 “제행무상(諸行無常) 시생멸법(是生滅法) 생멸멸이(生滅滅已) 적정위락(寂靜爲樂)”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부처님 전생담에 나오는 진리를 구하기 위해 목숨까지 내던진 고귀한 수행자의 감동적인 모습임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아마도 그 때 그 시절의 호기심과 뜻 모를 느낌이 오늘의 나를 불자로 만든 씨앗이었을 것이다.

그 후 나는 자유당 정권 말기에 칩거하며 독서로만 세월을 보내야만 했던 때가 있었다. 한문으로 된 『금강반야바라밀경』을 접하고 사전을 뒤적이면서 해독하려고 애썼다. 그러나 너무 어려워 결국 난해한 경전이니 후일을 기약하며 해독을 단념하고 말았었다. 그러나 그 때 ‘금강석 같은 굳은 지혜로 피안에 건너가는 길을 찾아야 한다’는 추상적 자해(字解)는 늘 기억에 담고 있었다.

나이가 들고 자녀들을 다 분가시키고 나서 나의 반려요, 지금의 도반인 자광수 보살이 언니인 유심화 보살의 권유로 불광사에 다니게 되었다. 자광수보살이 사경반에서 서예를 익히며 마하보디합창단에서 언니와 함께 음성공양을 하면서 불교 공부에 몰입하고 있었던 어느 여름날, 우리 둘은 언제나처럼 태릉을 지나 갈매리 쪽으로 산책을 하다가 보현사를 찾게 되었다.

대웅전 참배를 마치고 나오는데 원주실 보살이 “광덕(光德) 큰스님께서 조금 전에 들어오셨다.”는 말에 큰스님 처소로 인사차 발길을 옮겼다. 당시 큰스님의 시봉을 들고 있던 혜하 거사의 안내로 친견삼배하고 큰스님 모습을 가까이에서 뵙게 되었다. 깨끗하시고 단아하시며 맑고 빛이 나는 참수행자의 거룩한 모습에 감동했다.

광덕 스님께서는 “사람은 자기 값을, 자신의 진면목을 자각하고 그 생명의 고귀함을 바로 보고 바로 쓰는 책임 있는 존재가 되어야 합니다. 이것은 부처님의 교훈을 배우고 받들어 행하는 불자의 의무입니다. 거사님과 보살님도 부처님의 자비공덕으로 건강하고 환한 모습으로 살고 있으니 앞으로 더욱 정진해서 긍정적이고 보람 있는 삶을 누리는 것이 부처님 은혜에 보답하는 길이 아니겠습니까.”라는 요지의 법문을 주셨다. 아울러 여러 가지 자상한 일상사의 대화로 친견 인연의 소중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이 인연을 계기로 나는 불광사에 몸 담게 되었다. 바라밀교육과 명교사교육을 받고 불교공부와 전법수행을 여생의 과제로 삼게 되었던 것이다. 아무리 일상이 바쁘거나 몸이 좀 괴로워도 일요법회에는 꼭 참석해야만 살아 있다는 실감을 느끼게 되었다. 좋은 도반들을 만나면 반갑고 힘이 된다. 또 넉넉한 마음으로 세상을 보게 되었으니 이보다 더 큰 행복이 어디 있겠는가.

자광수 보살은 나의 둘도 없는 참 도반이고 선지식이다. 우리 속담의 팔불출 같은 말 같지만 사실이 그러하다. 그가 이끄는 법등을 나는 늘 보고 있다. 그가 임원의 책임을 다하고자 때로는 가사를 미룰 때 나는 혹시라도 싫은 표정을 지을까 조심한다.

한편 그가 명등의 소임을 맡고, 집에서 가족법회를 할 때 지명 스님이 참석하신 후로 스님과 친교를 나눌 수 있게 되었으니 나처럼 처복이 많은 이가 또 있을까.

또 그가 군포교를 할 때 일선부대까지 불광사합창단 20여 명을 참석시키고 부대 연병장 가득히 장병들을 모아 법회를 진행하며, 단상에 올라 불법으로 장병들을 격려하고 군승의 노고를 칭찬할 때 나는 우리 직원들과 뒷자리에서 감격의 눈시울을 닦고 있었다.

나는 직장 생활과 더불어 불법 공부를 시작하면서 나날이 바쁜 일과를 보내게 되었다. 그 후 1년 과정 또는 2년 과정의 제도권 밖의 법사과정 공부를 했었다. 동국대학과 승가대학의 저명한 교수진에게 참으로 많은 것을 배웠다. 또 동국대학의 경전연구반에서 3년간 경전공부를 하면서 부처님에게 바짝 다가서면서 4년 전부터는 인천의 포교원과 선원에서 불교 교양강좌를 맡아 출강했다. 법등조직에서 불교기초교리와 반야심경 강의를 하기도 했고 지금은 금강경을 지도하고 있다.

작년부터 불광사 교육원 원장이신 지성 스님의 위촉으로 불광사의 교육 학사일정에 따른 입문교육 및 바라밀교육 과정에서 불자수행, 불교역사와 현대사회, 불교기초교리를 강의하고 있다. 또 불광사 불교대학의 대학원 과정에 등록하여 수강하고 있다.

남들은 고희도 한참 넘은 나이에 무슨 공부냐고 말하지만 우리 부부는 부처님 법이 좋고 부처님을 따라 배우고 행하는 보현행원의 실천인이 되어가는 발걸음을 멈출 수가 없다. 그래서 우리 부부는 나란히 대학원에 등록하여 불법을 배우고 있다.

경전의 말씀 따라 상구보리(上求菩提)로 진리를 깨치고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정법지혜를 얻어 하화중생(下化衆生)할 것을 기원한다. 부처님 진리를 우리들 생활에 옮겨 담아 행복에 이르는 자비실천의 불사를 해가는 것이 우리가 해야 할 몫이기 때문이다. 그래야만 불국정토의 낙원에 모든 이가 살 수 있는 것이 아니겠는가? 큰스님은 법문 가운데 “우리들의 말에는 위신력이 있어서 현실로 나타나는 위력이 있다.”는 말씀을 자주 하셨다.

그렇다. 말에는 씨가 있다. 그래서 현실화의 원인이 된다. 부처님의 말씀을 경전독송으로 듣고 마음 속으로 이해할 때 우리는 경전 말씀대로 반야안이 열려 모든 환(幻)을 여의고 깨달음의 반야지혜를 터득할 수 있는 것이리라.

우리들의 생활에서 12연기(十二緣起)의 교훈은 간단하다. 무명(無明)은 삶의 걸림돌로 어둠이고 어리석음, 절망, 답답함, 슬픔, 불행, 악이기에 우리 삶의 고(苦)의 씨앗이며, 반면 명(明)은 삶의 디딤돌로 밝음이고 지혜로움, 희망, 시원함, 기쁨, 행복, 선이기에 즐거움의 씨앗이다.

그러므로 어리석음은 삶의 부정적 요소로 적자 나고 손해 보고 부족하고 파괴의 요인이며, 지혜로움은 삶의 긍정적 요소로 흑자 나고 이익 되고 만족하고 넉넉하고 건설적인 요인으로 작용함을 교시하셨던 것이다.

불교를 배우고 경전을 독송할 수 있는 인연을 만난 우리들은 부처님의 대은을 입은 참으로 복된 사람이다. 나는 이 고마운 부처님의 은혜를 입고 유산을 받은〔得佛法分〕 불자로서 막중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잊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더욱 열심히 불법을 공부하고 ‘자미득도 선도타(自未得度 先度他)’의 가르침 따라 비록 미흡하지만 우선 전법하고 교학하고 보현행원을 실천할 것이다.

10년 전 세종회관에서 울려 퍼졌던 그 감동의 메아리인 ‘보현행원송’이 현실화되어 보리 이루고 마하반야바라밀로 우리 겨레, 우리 국토 아니 온 누리가 불국정토로 장엄되는 날까지 노력할 것이다.

실로 진리를 구하기 위해 나찰 앞에 하나뿐인 생명을 바친 부처님의 전생수행담같이 초발심의 자세로 돌아가 불법에 귀의하고〔信〕, 불법공부에 더욱 정진하고〔解〕, 부처님 따라 전법교학에 전심하는〔行〕, 부끄러움 없는 불자(佛子)의 책무를 다하여 큰스님께서 위촉하신 사람으로서의 몫을 다하는 전법자가 될 것을 다시 한번 큰 환희심으로 다짐한다.

내가 전법교학의 공덕을 쌓아갈 때〔證〕 나의 몫을, 나의 값을, 나의 진면목을 책임지는 불자가 되고, 큰스님의 가르침과 기대하셨던 바에 부응하는 삶이 되리라고 확신한다.
나무 마하반야바라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