듣지 않고도 본래 지닌 성품을 들어 알고 보지 않고도 참 마음을 살피는도다

|고승법석|/ 정관 일선(靜觀 一禪, 1533∼1608)

2007-09-30     관리자


임진왜란 이후 조선 불교는 서산(西山) 대사라는 백두대간(白頭大幹)에서 뻗어 나온 정맥(正脈)들에 의해 오랜 침체기를 벗어나 중흥기를 맞이한다. 국난 한 가운데서 분연히 일어나 국가를 구하고, 본연의 자세로 돌아온 불교는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조선 전체의 큰 버팀목이 된다. 1,000여 년 세월 동안 흐르던 해동 불교가 침체기를 거쳐 서산 대사로 모였다가 다시 사해(四海)로 흘러 나가 국토를 윤택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서산 대사의 제자는 1,000여 명에 이른다. 조선 불교를 서산종(西山宗)이라고 일컫는 이들이 있을 정도로 대사의 가사 자락에 덮이지 않은 이가 없었다. 수많은 정맥 중 사명 유정(四溟 惟政), 편양 언기(鞭羊 彦機), 소요 태능(逍遙 太能), 정관 일선(靜觀 一禪)의 네 제자가 있어 4대 문파를 이루었다.
그 가운데 가장 연장자인 정관 일선은 속리산 법주사와 덕유산 백련사(白蓮寺) 등에서 서산 대사 이후의 불교를 굳건하게 다지는 데 큰 기여를 하였다. 법명이 일선이고 정관은 스스로 붙인 호이다.
속성은 곽(郭) 씨이며 충청남도 연산(連山)에서 태어나, 15세 되던 1547년(명종 2년)에 백하 선운(白霞 禪雲) 대사에게서 법화경을 배웠고, 후에 서산 대사에게서 법을 받았다. 정관 일선 대사의 행적은 많이 알려진 것이 없으나, 늘 수행자의 본분을 잃지 않고 굳건하게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임진왜란 당시 조선의 승단 전체가 파사현정(破邪顯正)의 기치 아래 전란에 참가하여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난 후, 정관 일선은 사명 유정에게 “전쟁이 끝났으니 출가 수행자의 본분으로 돌아오라.”고 권하는 글을 보냈다. 서산 대사 문파의 맏형으로서 중심을 잡아 주었던 것이다. 정관 일선은 서산 대사의 심법(心法)을 전해 받았다.
1608년 선조 41년에 세수 76, 법랍 61세로 백련사에서 입적하였다. 임성 충언(任性 沖彦) 등의 기라성 같은 제자들로 문파를 이루었다. 제자들은 대사의 사리를 수습하여 속리산 법주사와 덕유산 백련사에 부도를 세웠는데, 백련사의 부도는 입적한 이듬해 광해군 원년에 세워졌으며 현재도 천왕문 앞에 그 자리를 지키고 있다.
정관 대사의 저술로는 입적 후 13년이 지난 1621년, 제자 보천(普天)이 시문을 모아 펴낸 『정관집(靜觀集)』 1권이 전한다. 대사의 시문은 혼란 가운데서도 본분을 잃지 않는 수행자의 풍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 원문은 『한국불교전서』 제8책 23쪽∼34쪽에 실려 있다.

임종게(臨終偈)

세 척 취모검*(吹毛劍)을 오래도록 북두칠성(北斗七星)에 감추어 두었더니 텅 빈 하늘에 구름이 다 걷히고 난 후 비로소 한치 어긋남도 없이 날카로운 칼날이 드러나는도다

증선자(贈禪子)

수행자는 모름지기 세속을 떠나
발우 하나 지니고 세상 모든 일을 벗어 던지는도다
속세를 벗어난 노을과 안개, 마음에 흡족하니
중생의 어지러운 욕심과 번뇌, 좇을 일이 없도다
유유(悠悠)한 세월, 마음 따라 한가로이 보내며
산천을 따라 자재로이 노니는도다
말(言語)을 좇아 본래 지닌 성품을 구하는 일,
불구덩이를 파헤쳐 물거품을 찾는 일과 같도다

증맹롱선노(贈盲聾禪老)

듣지 않고도 본래 지닌 성품을 들어 알고
보지 않고도 참 마음을 살피는도다
심성을 모두 여읜 그 곳,
티없이 맑은 강에 보름달이 뜨는도다

행로난(行路難)

일찍이 고향을 떠나고 세속을 벗어나서
짚신 한 켤레로 천하 명산을 두루 다녔도다
아, 예전에는 가을 달에 구름을 좇아 떠났더니
오늘은 봄바람에 내를 건너 돌아오는도다
세상의 맛있는 음식에 길들여진 입,
산 중 쓴 나물에 참맛 들이지 못하고
비단 옷을 입고 지낸 몸, 한 겹 가사 추운 줄 알지 못하는도다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하니 안개와 노을 속이라
세속으로 향하는 길 만리에 아득하여 돌아가기 어렵도다

증시승(贈詩僧)

산수(山水)와 벗하여 무심히 세월을 보내고
달을 바라보며 시를 즐기며 애써 마음에 이루려는 바 없더니
문득 달마 대사가 서쪽에서 온 뜻을 깨우치니
바로 그대가 참다이 세상을 여읜 출가인이로다

제칠불암(題七佛庵)

두류산(頭流山; 지리산) 반야봉(般若峰) 동쪽에 자리한 암자
달 밝은 대웅전 그림자 영롱하도다
향 다 피어오르니 붉게 타는 저녁 노을, 뜰 앞 평상에 날아들고
꿈에서 깨어나니 저 멀리 들리는 종소리,
저녁 바람에 흩어지는도다
지리산 청학동에는 청학(靑鶴)이 들지 않는데
백운봉은 흰 구름이 늘 감싸 안았도다
석문 멀리 보이는 쌍계사 아래
아스라한 가을 빛, 한 눈에 들어오는도다

증지선객(贈芝禪客)

세속을 벗어나 한가로이 노닐며
늘 마음 가는 대로 지내는도다
발은 천산(千山)에 뜨는 달을 딛고
몸은 만리(萬里)에 흐르는 구름을 타고 노니는도다
본래 중생에 집착하는 소견이 없으니
어찌 시비를 가리는 문이 있겠는가
꽃은 찾아드는 새 없으니
봄 바람에 그저 제 홀로 향기롭도다

귀고적대(歸高寂坮)

나뭇잎 떨어져 산길을 덮었으나
길 물을 나그네조차 없도다
노스님은 부지런히 비를 쓸고
동자승이 문 밖을 나와 객을 맞이하는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