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란 무엇인가?

초대설법/ 아짠 마하 부와

2007-09-28     관리자

이 글은 1974년 6월 아짠 마하 부와 스님의 런던 방문시, 영국인 불자들과의 대담 중의 일부이다. 1970년대에 이미 남방의 스님을 초청하여 진지한 대화를 모색하는 영국인들의 모습을 통해 서구인들의 불교에 관한 높은 관심과 이해를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이 글을 통해 우리는 좋은 사람들은 동양인이든 서양인이든 간에 상관없이 진리 안에서 하나되어 만날 수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출처:『The Dhamma Teaching of Acariya Maha Boowa in London』
, Chuan Printing Press Ltd. Part, Bangkok. 1980.

질문
제가 불자가 되고 난 후 많은 친구들이 저에 대해 “전에는 재미있고 아주 활발한 사람이었는데….”라고 쑤군대며 제 곁을 떠났습니다. 심지어 아내조차도 저를 이해해 주지 않고 못마땅하게 생각합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으면 좋겠습니까?

답변
불자가 되었다고 해서 반드시 침묵을 지켜야 한다거나 엄숙해져야 한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친구들이 당신을 유익하지 못한 방향으로 이끌어서 계를 지키지 못하게 될 경우에는 그들을 따라서는 안 됩니다.
왜냐하면 친구를 잃을지언정 당신 자신을 잃어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 불자로서 경건하게 사는 삶을 원한다면, 부처님을 당신의 본보기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부처님은 일국의 왕자이셨기 때문에 수많은 사람들에 둘러 쌓여 지내셨습니다.
그러나 수행의 길로 들어서면서 그 많던 친구들을 다 포기하고 수 년 동안 혼자 지내셨습니다. 그러나 깨달음을 얻으신 후에는 다시 많은 친구들과 제자들 그리고 신도들로 둘러 싸여 지내셨지요. 우리들은 모두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습니다. 불자들의 마음과 가슴은 이 부처님의 가르침 속에서 모두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주변의 친구들을 잃는 것을 두려워 해서는 안 됩니다. 그리고 아직도 세상에는 좋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좋은 사람들끼리는 결국에는 만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이 사람들을 못 만나 아무도 당신에게 관심을 보여 주지 않으면 불·법·승 삼보를 친구로 삼으십시오. 그들은 진정으로 좋은 친구들입니다.
결론적으로 좋은 친구들은 언젠가는 당신을 이해하고 당신께 돌아 올 것입니다. 그때까지는 불자로서의 향기로운 삶을 영위해 나가는 것으로 만족하십시오. 당신은 자기 자신보다 다른 사람들에 관하여 더 관심을 기울이거나 염려해서는 안 됩니다. 현재나 미래나 당신을 책임질 사람은 당신 자신밖에 없습니다. 즉 당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람은 다른 그 누구도 아닌 바로 당신이라는 점을 잊지 마십시오.

질문
저도 같은 경험을 했습니다. 저의 어머니는 제가 불자가 되었다는 것을 알고는 너무나 놀란 나머지 다시 기독교로 돌아올 수 있도록 매일 기도하고 계십니다. 저에 대해 크게 염려하고 계시는데 어떻게 하면 어머니를 안심시켜 드릴 수 있을까요?

답변
우선 불교가 사람들 사이를 갈라 놓는 가르침을 펴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이해해 주십시오. 불교나 기독교나 모두가 사람들이 훌륭하게 되는 법을 가르치며 그리하여 행복해지고 종국에는 하늘에 이를 수 있도록 합니다. 런던시가 천국이라고 가정해 봅시다. 사람들이 런던에 도달할 수 있는 길이 단 한 가지뿐인 것은 아니지요. 길은 여러 곳입니다.
그 중 좋은 길을 선택하여 계속 따라 가면 모든 이들이 다 런던에 이를 수 있습니다. 종교도 이와 같습니다. 올바른 가르침을 여법하게 잘 수행해 나가면 불자이든 기독교인이든 모두 천국에서 만나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불교는 천국에 가는 것뿐만 아니라 열반에 이르는 법도 가르칩니다. 부처님의 말씀에 따라 잘 수행해 나가면 열반에 이를 수 있습니다. 열반이란 고통(불만족스러움, 편치 못한 마음)의 완전한 부재를 의미합니다. 부처님과 그 분의 모든 아라한 제자들은 번뇌로부터 완전히 벗어나서 열반에 이르렀습니다.
당신은 제가 말씀 드린 것들을 어머니께 잘 설명하여 불교가 사회의 안정과 번영에 도움이 되는 것임을 인식시켜 드리세요. 불교 수행을 하는 이들이 지옥에 떨어지거나 재앙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훨씬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게 됨을 이해시켜 드려야 합니다.

질문
스님께서는 런던시를 둘러 보셨을 것입니다. 제가 여쭙고 싶은 것은 이렇게 거대하고 번잡한 도시에서도 명상 수행을 할 수 있는 것일까 하는 것입니다.

답변
죽은 자만이 명상 수행을 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살아 있는 한은 언제 어디서나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아무리 번잡한 도시에 산다 해도 하루 온종일 시달리는 것은 아닙니다. 바쁘긴 하지만 그래도 자유시간은 있는 법입니다. 비록 태국의 시골과 같이 한가한 곳에 사는 사람도 위장과 입을 가지고 있는 한 먹을 것과 생필품을 마련하기 위해 바쁘고, 시간이 부족한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이것은 동물의 경우에도 똑같습니다. 이 세상에서 바쁘지 않은 곳은 오직 무덤뿐입니다.

질문
마음(citta)이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마음은 ‘아는 자’입니다. 참 마음은 오직 하나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그것은 ‘아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는 항상 말씀하셨지요. 원래의 참 마음은 깨끗하고 밝고 그리고 눈부시게 환한데 번뇌가 들어와서 이것을 뒤덮은 결과로 마음이 번뇌의 길을 따르게 되어서 어둡고 음산해졌다구요.
마음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서는 알아차림, 지혜 그리고 인내심이 있어야만 합니다. 마음은 맑고(clarity) 밝은(brightness) 상태를 넘어서야 비로소 깨끗(pure)해 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마음이 깨끗하다는 것은 자유의 상태에 도달했다는 것을 말합니다.
‘맑음과 밝음’이라는 단어는 아직 깨끗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닙니다. 수행을 하게 되면 마음이 밝아지는데 이것은 번뇌가 모두 한 점에 모이게 되기 때문입니다. 철저한 알아차림(Maha-Sati)과 탁월한 지혜(Maha-Panna)로 밝음 속에 남아 있는 아주 미세한 번뇌를 축출해 내야만 마음이 깨끗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질문
어떻게 하면 마음이 방황하지 않도록 지킬 수 있습니까?

답변
마음에 대해서 알고자 한다면, 우선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히기 위한 명상 수행을 해야 합니다. 마음이 고요하면, 우리는 우리 자신의 마음의 특성들을 알 수 있습니다.
마음의 고요함을 가능한 한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리하면 원할 때는 언제나 마음을 고요하게 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게 됩니다. 고요한 마음은 점점 더 맑아지고 밝아져서 번뇌의 존재를 담박에 알 수 있게 되고, 또한 이것들을 감소시키거나 축출해 낼 수 있는 지혜가 생겨납니다. 그리하여 결국 지혜에 의해 번뇌는 소멸됩니다. 지혜는 마음이 고요하지 않으면 생겨나지 않습니다. 이것이 마음이 방황하지 않도록 지키는 첫 번째 단계입니다.
번뇌는 거칠고, 불분명하고 그리고 미세합니다. 이러한 번뇌에 의해서 ‘아는 것’은 진정한 마음이 아닙니다. 우리는 지혜로써 참마음을 뒤덮고 있는 번뇌를 축출하여 마음이 더 이상 비탄이나 낙담 등에 빠지지 않고, 즉 더 이상 방황하지 않는 한결같은 마음이 되도록 해야 합니다. 참마음을 가리고 있던 번뇌가 다 소멸되었을 때 마음은 이제 더 이상 태어나야 할 원인이 없습니다. 이러한 마음을 깨끗하다고 하며 그리고 다시는 태어나지 않습니다.
마음 속에 좋음과 나쁨이라는 병원균을 지니고 있는 마음은 내부에 생명의 싹을 간직하고 있는 씨앗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이런 마음은 다양한 종류의 좋고 나쁨을 자가 생산하여, 마음이 태어나고 죽고 다시 태어나고 죽는 원인을 제공합니다. 깨끗한 마음은 항구적이며(변하지 않음) 다시 태어나게 하는 병원균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습니다.
당신이 죽음 후의 세계를 믿든지 또는 죽음이 모든 것의 끝이라고 생각하든지 간에, 마음이 그 내면에 좋음과 나쁨이라는 병균을 지니고 있는 한 끝없이 다시 태어납니다.
이것이 마음의 길입니다. 그러나 깨끗한 마음의 영원성은 소위 세상에서 말하는 ‘영원성’과는 다릅니다. 그 정확한 의미는 오직 아라한만이 알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당신 자신을 진실로 볼 수 있을 때까지 수행하셨습니다. 그 분은 어떠한 추정도 하지 않으셨으며 우리들같이 그냥 생각에 의존하는 일도 없으셨습니다. 그리고 부처님의 말씀은 절대적으로 옳습니다. 우리는 그 분에게 절대적인 신뢰를 가져도 될 것입니다.

질문
부처님의 가르침은 대략 어떠한 것들인지요? 간략하게나마 전체적으로 한번 개관해 주시기 바랍니다.

답변
부처님의 가르침은 아래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Pariyatti-수행 방법에 대한 지식을 얻기 위한 배움의 과정.
2) Patipatti-부처님의 가르침대로 실제로 수행에 돌입하는 것.
3) Pativedha-수행의 성공적인 결과로 명백하게 아는 통찰의 지혜에 이르는 것.
부처님 시대에는 오늘날과 같이 무슨 자격증이나 학위를 따기 위해서, 또는 급수를 올리기 위해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진리와 하나 되기 위해 정진하고 또 정진했습니다. 그리고 부처님께서는 그리 많은 양의 것을 가르치시지도 않으셨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모든 제자들에게 명상할 것을 가르치셨습니다. 머리카락, 몸의 털, 손톱, 이빨 그리고 피부, 즉 우리 몸에 붙어 있으나 우리들은 그것들의 끊임없는 변화와 생멸에 대해 무지합니다. 그 분은 우리가 자신의 몸과 마음의 진실에 대해 눈 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위의 다섯 가지 것에 대해 명상할 것을 가르치셨습니다.
부처님께서는 이것들의 기능이 약화 또는 악화되기 시작해도 염려하지 말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왜냐하면 이것들은 이미 그 내부에 끊임없이 변화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출생, 신분, 사회적 계급, 또는 피부색에 상관없이 그 누구에게나 평등합니다. 우리 몸이 가진 특성들인 태어남, 늙음, 변화 그리고 불확실성은 마음 속의 괴로움과 마찬가지로 고통입니다. 그러므로 부처님께서는 모든 제자들에게 이 다섯 가지와 같은 ‘kammatthana’*를 가르치셨습니다. 그리고는 그들을 숲 속으로 내 보냈습니다. 제자들은 언덕 위, 동굴, 골짜기 어디나 그들이 원하는 곳에서 머리카락, 몸의 털, 손톱, 이빨, 피부에 대해 차례대로 명상하고는 다시 그 역방향으로 통찰했습니다. 자신들의 몸과 마음에 대해 명백하게 알게 될 때까지 말씀입니다.
Pariyatti-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우리 몸과 마음에 대한 어리석음을 제거하기 위해 부처님께로부터 가르침을 받는 것입니다.
Patipatta-좌선 또는 경행(걸으면서 하는 명상)을 통하여 지혜를 갈고 닦는 숫돌과 같은 역할을 하는 위의 다섯 가지와 같은 것들을 통찰하는 것. 명상 삼매 수행은 마음을 고요하게 가라앉히고 또한 서늘하게 식혀줍니다.
Pativedha Dhamma-올바른 수행의 결과로 얻어지는 명백한 통찰의 진실은 수행자로 하여금 결국은 완전한 자유에 이르게 합니다.
이 세 가지의 담마는 상호 보완적이므로 수행의 시초부터 끝까지 분리해서 생각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좋은 결과를 바라는 수행자라면 그 누구나 할 것 없이 이 세 가지 중에 어느 한 면이라도 소홀히 해서는 안 됩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예나(부처님 시대에나) 지금이나 변한 것이 없습니다. 그 분의 가르침은 싫어함, 갈망, 분노 그리고 망상과 같은 것이 일어났을 때 몸과 마음에 관해서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 가를 알려줍니다. 왜냐하면 이런 것들은 우리의 삶에서 이루 셀 수도 없을 만큼 수없이 발생하여 우리를 고통과 위험 속에 빠지게 만들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