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파일 풍경

엽편소설

2007-09-25     관리자

“…오늘이 부처님 오신 날이라는데 부처는 왜 왔을까? 자네 그렇게 빤히 쳐다보지만 말구 대답 좀 해봐.
안 그럴 작정이문 어여 들어가 등이나 달구.
제길….
그 등 값 십분의 일만 나한테 줘도 성불할 겨.
부처는 왜 왔어…?”
남루하고 너저분한 옷차림에 꺼칠한 수염을 빼면 여느 늙은이와 다름없는, 멀쩡한 노인이 일주문 쪽 담벼락에 자리를 잡은 채 쉬지 않고 중얼거렸다.
노인의 말처럼 연등을 달기 위해 도량으로 들어서려던 젊은 내외는 그 앞에서 잠깐 머뭇거리다가 지폐 한 장을 작은 플라스틱 바구니에 던지다시피 내려놓고는 재빨리 자리를 피했다.
‘봉축 부처님 오신 날, 무심사 청년회 자원봉사’라고 적힌 어깨띠를 두른 청년들이 호루라기를 불며 밀려드는 차량의 주차를 안내했다.
역시 똑같은 어깨띠를 두른 청년 한 패는 간이 사다리를 이리저리 옮기며 수천 개나 됨직한 연등에 꼬리표를 다는 데 여념이 없었다.
30~40대의 여신도들로 구성된 ‘무심회’ 회원들은 일주문 쪽과 대웅전 옆, 주차장 쪽 입·출구, 설법전 그리고 종무소 앞에 책상을 펼쳐 놓고 연등 접수를 받고 있었다.
‘무심사 합창단’ 단원들은 어깨띠를 두르지 않은 대신 유니폼으로 맞춰 입은 한복을 날아갈 듯이 차려 입고 설법전의 부속실에서 찬불가 연습에 몰두하고 있었다.
봉축 법문을 위해 깊은 산 암자에서 내려오신 노스님은 불자들의 인사를 받느라 걸음을 옮길 수 없을 지경이었다.
“조실스님, 그 동안 별고 없으셨지요?”
신도회의 임원으로 있는 한 보살이 큰스님께 허리를 굽히며 반색을 했다.
“허허! 반갑습니다.
성불하십시오.”
큰스님이 그렇게 대꾸를 하고 지객실 쪽으로 향하자 무심사의 후원회장인 대덕화 보살이 어디에선가 불쑥 나타나 구십도 쯤 허리를 굽혔다.
“큰스님 평안하시지요? 일 년 만에 내려 오셨네요.
저걸 어쩌나, 얼굴이 반쪽이 되셨네.
이따 잠깐 뵐 게요.
긴히 드릴 말씀이 있습니다.”
노스님이 빙긋 웃으며 대꾸를 했다.
“다 늙은 중한테 무슨 긴한 말이 있는고….”
그러자 이번엔 노스님보다 훨씬 연로해 보이는 노파들이 “아이구, 큰스님! 나무 아미타불.”하면서 저만치 인파 속에 자취를 감춘 노스님의 뒷모습을 향해 수십 번이나 합장 배례를 했다.
스님이 아니라 살아 있는 부처님이라도 친견한 듯한 영광스러운 표정이었고 그만한 정성이었다.
도량 곳곳에 설치된 고성능 스피커에서는 『금강경』과 『천수경』이 흘러나오고 있었는데 이따금 신도회의 임원을 찾거나 잘못 주차된 차번호를 부르며 협조를 부탁하는 안내 방송이 나와 염불이 끊어지고는 했다.
대웅전 앞마당을 뒤덮은 연등 밭 한 가운데에 마련된 임시불단은 화려하기 이를 데 없는, 많은 꽃들로 뒤덮였고 그 위에 아기부처님이 모셔져 있었다.
초파일의 주인공인 아기 싯다르타.
사바세계의 중생들로 하여금 위없는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몸소 펼쳐 보였던 삼계의 대도사.
그 고타마 싯다르타의 출현 이후 수천 년이 흘렀건만 중생들의 미혹은 조금도 깨트려지지 않았다.
다만 버추얼(Birtual)이나 넷(Net)만이 그 미혹의 탈출구라도 되는 듯 이 세상을 기하급수적으로 물들이고 있을 뿐.
대웅전 앞마당에서 관불의식이 시작되겠다는 안내방송이 나오자마자 등을 달거나 좋은 자리를 잡기 위해 우왕좌왕하던 불자들이 어느 샌가 길게 줄지어 서는 모습이 보였다.
조실스님을 비롯해 소임을 맡은 스님들, 곳곳에서 찾아온 객스님들이 헌화와 관불을 차례로 마치고 나자 곧이어 신도들도 석가모니불을 소리 높여 부르며 관불의식에 동참했다.
앞에서 누군가 만 원 짜리 지폐를 불단에 올려놓자 뒤에 서있던 사람들도 저마다 핸드백이나 지갑 속에서 지폐를 꺼내들었다.
스피커에서는 잠시 후 대웅전에서 봉축대법회가 열릴 예정이라는 안내 방송이 흘러나왔다.
“처사님, 경내에서는 금연입니다.
협조해 주십시오.”
청년회원 한 사람이 30대 중반으로 보이는 사내에게 다가가 흡연을 삼가할 것을 요구했다.
담배를 피우던 사내는 다소 겸연쩍은 듯 피우던 담배를 바닥에 던지고는 구둣발로 마구 짓이겼다.
그때쯤, 연등 접수로 북적거리던 종무소 앞이 소란스러워졌다.
인근 병원의 입원복 차림으로 절을 찾아온 사내가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고 있었다.
아침부터 술에 취한 듯 눈자위가 퀭하고 얼굴 또한 불콰하게 달아오른 모습이었다.
“니미럴.
내가 못 올 곳을 왔어? 니덜두 아파서 병원에 자빠져 봐.
마누란 매일 죽는 소리지, 새끼들은 빽빽거리지….
오늘같이 좋은 날, 나 같은 놈두 부처님 가피 좀 받자는데 왜들 이래? 말로만 자비정신이요, 보시행인가?” “처사님 그래두 이러면 안 됩니다.
다른 사람들을 위해 밖으로 나가 주십시오.”
청년회원들의 제지에도 아랑곳없이 환자는 막무가내였다.
“어, 이 자식들이 사람을 칠려구 해? 자, 때려봐.
어느 놈이든지 쳐보란 말야.”
“선배.
이 아저씨 안 되겠어요.
경찰을 부릅시다.”
무심사 주변의 교통정리와 질서유지를 위해 파견된 순경들은 도량 안팎으로 얼마든지 있었다.
환자의 기세가 수그러든 것은 그 경찰이란 말이 튀어나온 뒤였다.
“니미럴.
그래 니들이나 잘 먹구 잘 살아라.
부처구 뭐구 드런 놈의 세상이구나.”
스피커에서 흘러나오는 삼귀의와 반야심경, 청법가 등의 의식으로 도량은 한때나마 숙연해졌다.
한창 연습에 몰두하던 합창단원들의 맑은 하모니가 부처님 오신 날의 분위기를 한껏 드높이고 있었다.
입정 후 약간의 사이를 두고 조실스님의 법문이 시작되었다.
여느 큰스님들의 알 듯 모를 듯한 법문과는 달리 조실스님의 말씀은 쉽고 간결했다.
부처님이 이 세상에 오신 의의와 그분의 생애, 그 가르침의 영속성 등에 관한 법문이 도량의 구석구석을 차지한 불자들에게 전해지고 있었다.
일 년에 한 번 부처님을 참배하는 ‘초파일 불자’들도 알고 있는 말씀인데, 그것이 새삼스럽게 들리는 것은 큰스님의 청정한 수행력 때문일까?
스님의 제자들은 한때, 번잡한 세상을 등지고 깊은 산에서 바위처럼 수행에만 전념하시는 스승을 종정으로 모시려고 했었다.
물론 스승에게 꾸지람만 실컷 들었다.
봉축법회가 미처 끝나기도 전에 도량은 다시 술렁거렸다.
후원을 향해 길게 줄지어 선 사람들, 벌써 산나물과 고추장이 섞인 사발을 들고 앉을 자리를 찾는 사람들.
한 사람에 한 개씩 갖는 게 마땅한 떡을 서너 개씩 받아 꾸역꾸역 가방 속에 챙겨 넣는 사람들.
마음껏 웃고 떠들며 공짜로 주는 것이라면 밥이든 떡이든 기념품이든 양껏 받아두는 것이 초파일 행사의 전부인 양 들뜬 사람들.
“큰스님.
공양 드시기 전에 이것 좀 받아주세요.”
법문을 마친 노스님이 차담을 나누고 있을 때 불쑥 지객실로 들어선 대덕화 보살이 보따리를 내밀었다.
“뭐요, 이게?”
“스님 드릴려구 옷 좀 마련했어요.
올 여름에 시원하게 지내시라구요.”
“옷이라구?”
큰스님은 빙긋 웃고는 맑게 우러난 찻잔을 집어들었다.
“보살님.
혼자 사는 늙은이가 좋은 옷은 입어 뭣하겠소? 그 돈 있으면 어려운 이웃에게 보시나 하시잖구.
아무튼 성의는 고맙소.”
“스님, 사양치 마시구 꼭 입으셔야 합니다.
아셨죠? 그럼 말씀들 나누세요.”
그 대덕화 보살이 의기양양한 표정으로 자리를 뜨고 나자, 큰스님이 주지스님에게 말했다.
“이 옷은 자네가 입든지, 다른 스님에게 드리게.”
그 번잡스럽기 이를 데 없는 점심 공양이 끝났음에도 무심사를 찾는 불자들의 발길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었다.
이미 다른 절에서 봉축법회를 마치고 서둘러 찾아온 불자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렇게 하면 복을 갑절로 받는 것일까?
일주문 밖의 남루한 노인이 벌써 딱딱하게 굳은 떡을 한 입 베어 물며 다시 마주친 젊은 내외에게 물었다.
“자네들은 등 달구 무슨 소원을 빌었나? 돈 많이 벌게 해달라구? 아니면 아들 낳게 해달라구? 그래 절을 하면서 대체 부처가 이 땅에 왜 왔는지 생각 좀 해 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