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상대사

고승법석

2007-09-25     관리자

중생과 부처의 경계가 둘이 아니니…
김충현 옮김의상(義湘) 대사: 625~702의상 대사는 원효, 자장과 함께 신라불교를 대표하는 분이다.
우리들에게는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와 화엄 십찰(華嚴十刹)의 창건주로, 해동 화엄의 초조로 잘 알려져 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대사는 624년 한신(韓信)의 아들로 태어났고 속성은 김씨이다. 스물아홉에 경주 황복사(皇福寺)에서 출가하였고, 중국 당에 유학하여 중국 화엄종의 대가인 지엄(智儼)에게서 수학하였고, 귀국 후에는 화엄사, 부석사, 해인사, 범어사, 갑사, 옥천사 등의 화엄십찰을 창건하였다. 668년 『법계도』를 저술했고, 702년 입적했다. 『삼국유사』에는 “세상에 전하기로는 의상은 부처님의 화신이라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송고승전』에 전해진 내용으로, 선묘(善妙) 낭자와의 인연은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당에 유학할 당시 대사를 사모한 낭자가 귀국 길에 용이 되어 대사를 보호했고, 부석사를 창건할 당시에도 대사를 도운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귀국한 대사는 영주 부석사에서 낭자의 도움으로 최초로 화엄경을 강설했다고 한다. 그 인연으로 대사를 부석 대사(浮石大師)라고도 부른다. 또한 원효 성사와의 유학길 일화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부석사비(浮石寺碑)와 『유사』에는 650년 26세에 처음으로 중국으로 떠났고, 요동에서 정탐자로 오인받아 잡혔다가 수십 일 만에 빠져 나온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두 번째 유학길은 661년 37세로, 양주(楊洲)에 도착하여 지엄의 문하에서 수학한 것으로 되어 있다.
대사는 또한 당시 정치에도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했던 것으로 보인다. 문무왕이 성을 과도하게 지어 백성의 고초가 크자, 정책을 바꾸라는 글을 보냈다. 이에 문무왕은 성 짓는 것을 중단하였다고 한다.
대사는 해동 10성(聖)의 한 분으로 추앙받았다. 원효, 자장과 함께 해동 불교의 전성기를 열어 간 분이 의상 대사였다.

화엄일승법계도

법성은 원융하여 이상(二相)이 없으며(법성은 분별하지 않음을 상으로 삼는 까닭에 차별하는 상이 없으며)2) 모든 법은 움직이지 않아 본래 고요하도다(중생인 나의 몸은 있는 그대로 진리의 몸인 법신인 까닭에 조금도 흔들림이 없이 고요하도다)
이름도 없고 형상도 없이 모든 것이 끊어진 경계로서(일체의 언설을 뛰어넘고 차별하여 아는 상 또한 끊어진 경계로서)
깨달아 아는 것이요 미혹함이 남음이 없는 경계요(연기로 이루어지는 중생의 세계나 본래의 자리 또한 부처님의 세계인 것이다)
진성은 매우 깊고 미묘해(본래 중생의 참다운 성품인 불성은 매우 깊고 미묘해)
자성을 고집하지 않고 연을 따라 이루는도다(스스로의 성품에 집착함이 없이 있는 그대로 본래 공한 그 참된 성품을 깨달아 아는도다)
하나 가운데 모든 것이 있고 모든 것 가운데 또한 하나가 있으며
하나가 곧 모든 것이요 모든 것이 곧 하나이다
티끌 하나 속에 온 우주를 다 포함하고
모든 티끌 또한 다 각각이 온 우주를 포함하고 있도다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겁은 곧 한 생각이요
한 생각이 또한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겁이다
구세와 십세가 상즉하면서도(과거의 과거, 과거의 현재, 과거의 미래, 현재의 과거, 현재의 현재, 현재의 미래, 미래의 과거, 미래의 현재, 미래의 미래 등 아홉 가지와 그 모든 것이 이루는 한 마음은 서로 다르지 않으면서도)
흐트러지지 않고 따로 이룬다(각각의 본성이 어지러이 섞이지 않고 각각이 다르다)
처음 마음을 내는 때가 곧 바른 깨달음의 경계이며(처음 깨달음을 향한 마음을 내는 때 성불하나, 본래 그대로 옛부터 부처였던 경계이며)
생사와 열반은 항상 함께 하는도다
진리의 경계와 세속의 경계가 차별을 뛰어넘어 분별이 없으니
십불(十佛)과 보현(普賢) 대인의 경계이다(저 화엄경에 나오는 집착함이 없는 부처님, 원력의 부처님, 업보의 부처님 등 열 분의 부처님과 보현보살 대인의 자리인 것이다)
능히 해인삼매 속에 들어가
(열 분 부처님의 깨달음의 바다에 들어가)
모든 것을 나툼이 본래 성품에 어긋남이 없으니 불가사의하도다(모든 중생이 낱낱이 헤아릴 수 없이 많은 번뇌를 내어도 그 번뇌가 다 그대로 깨달음의 바다에 어긋남이 없으니 생각으로 헤아려 알 수 있는 바가 아니다)
보배비가 중생을 이롭게 하여 허공을 가득 채우니(부처님께서는 사바세계에 한량없는 자비의 보배로운 비를 뿌리어 가득 채우나니)
중생이 근기에 따라 각각 이로움을 얻는도다(모든 중생은 낱낱의 근기에 맞추어 깨달음의 세계로 들어서는도다)
그러므로 수행자는 본래의 경계에 돌아가(그러므로 불도를 닦는 모든 중생은 각각이 지닌 진여의 자리를 깨달아)
일체의 망상을 여의지 않을 수 없고
본래 그러한 훌륭한 방편으로 말미암아 참다운 성품을 포착하여(부처님의 모든 교화 방편으로 말미암아 중생은 있는 그대로의 자리에서 스스로의 본래 불성을 깨달아)
참된 자리로 돌아감에 근기에 맞게 공덕을 이룬다3)
다라니의 한량없는 보배로써
법계의 참된 보배 궁전을 장엄하여
마침내 본래부터 참다운 자리인 중도에 앉으니
옛부터 그러함을 일컬어 부처라 한다(번뇌를 다 끊고 복된 지혜를 이룬 부처라 이름한다)

의상 대사의 저술
의상 대사의 저술은 그리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현재까지 알려진 대사의 저술은 『화엄일승법계도』, 『화엄일승발원문(華嚴一乘發願文)』, 『투사례(投師禮)』,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 『입법계품초기(入法界品抄記)』, 『화엄십문간법관(華嚴十門看法觀)』, 『아미타경의기(阿彌陀經義記)』, 『제반청문(諸般請文)』 등이 있다. 그 중 현재 남아있는 저술은 앞의 네 가지이다.
--------------------------------------------------------------------------------
1) 대사의 대표적인 저술이다. 또한 화엄경의 모든 사상을 30구 210자에 압축하여 놓은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저술 중 하나이다. 그러나 『법계도』에는 화엄 사상뿐만이 아니라 불교의 모든 사상을 압축하여 놓았을 정도로 탁월한 저술로 꼽히고 있다. 대사의 스승이었던 지엄은 자신이 지은 “72인(印)보다 의상의 1인(印)이 더 뛰어나다” 고 극찬하였다고 한다. 『화엄일승법계도』는 본래 서문과 인(印), 인에 대한 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는 가장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인을 해석하여 싣는다. 다소 어려운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수지 독송하면 좋은 수행의 방편이 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법계도』는 얼핏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사상을 펼쳐 놓기만 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실천 수행의 근간을 압축하여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원문은 『한국불교 전서』 2권 1쪽에 실려 있다.

2) 원문은 법성원융무이상(法性圓融無二相)이어서, ‘법성은 원융하여 이상이 없으며’라고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사는 『법계도』에서 “법성은 무분별을 상으로 삼는 까닭에 일체의 모든 중도에 있는 것은 무분별 아님이 없다.”고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괄호 안에 있는 내용은 필자가 대사의 『법계도』 설명 부분을 참조하여 이해를 돕고자 부연한 것이다. 단 글자 그대로 쉽게 뜻이 통한다고 생각되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3) 의상 대사는 “『법계도』인(印)의 처음 네 구에서 이미 화엄의 중중무진한 경계를 다 설해 마치고, 자비심을 내어 그 이후부터 상세하게 되풀이하여 설명하고 있다.”고 김시습은 풀이하고 있다. 즉 중생이 있는 그대로 부처님의 경계요, 부처님의 경계가 바로 중생의 경계와 다름이 없음에 대하여 표현을 달리하여 계속해서 설명하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