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찾아 떠난 길

보현행자의 목소리

2007-09-25     관리자


펜을 쥔 손으로 턱을 괸 채 물끄러미 내다 본 창 밖엔 어둠이 짙게 드리웠고 희뿌연 가로등 밑으로 보일 듯 말 듯 가랑비가 바람에 흩날린다. 시절에 못이겨 옅어진 나뭇잎을 스쳐가는 스산한 비바람 탓인가. 아니면 아직 인생을 말하기엔 너무 젊어서일까. 다들 잠든 기숙사가 서럽게 조용하고 적적하다.
언제나 그러하듯 하루를 열심히 살려고 애쓰나 하루가 저무는 시간이 다가오면 항상 아쉽고, 나 자신을 들여다 보면 볼수록 늘 부끄럽다.

어쨌든 세월은 나무를 비껴가는 바람처럼 속절없이 흘러 어느새 낙옆 뒹구는 가을이다. 지금쯤 내 고향 지리산 자락 들녘엔 벼가 누렇게 익어가고, 마을 뒷산의 비탈엔 밤송이가 톡 벌어져 있거나 툭 터져 떨어진 고동색 밤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을 것이다. 이 풍요로운 결실의 때에 나는 어떤 수확을 거둘 것인가.
지난 두 해 동안의 옥스퍼드 생활을 돌아보면 학업에 전념하며 그런 대로 열심히 보낸 듯하다. 하지만 한 생각 돌려보면, 너무 지나치게 순간순간의 과정을 소홀히 하고 겉으로 드러날 결과에만 매달려 집착하지 않았나 한다. 그랬다면 나의 삶의 방식을 반성하고 쇄신해야 한다. 이 가을, 내 유학생활의 전반부를 매듭짓고 또 다른 새로운 모습으로 힘차게 나서는 출발점으로 삼고 싶다.

다시 출발선상에 서서 전과는 다르게 나의 길을 걷자. 책 한 페이지에 삶을 걸고 쫓기듯 바득거리지 않았으면 한다. 인생이란 화두를 끌어 안고 먼 여정을 걸어가면서 좀 돌아가면 어때, 조바심을 내지 말자. 가버린 시간에 대한 아쉬움 따위는 지니지 않고, 또한 아직 오지도 않은 미래를 미리 끌어다 놓지도 않고 ‘지금의 이 자리에 의미롭게 살아서 존재’하고 싶다. “과거에 연연하지 말라/ 미래만을 기약하지도 말라/ 과거는 이미 버려진 것이고/ 미래는 약속된 것이 아니다/ 현재를 살펴 오늘에 충실하라/ 죽음은 바로 내일 찾아올 수도 있다.”
『중부경전』에 나오는 구절이다. 한 수 한 수 다시 돌이킬 수도 없는 바둑과 같은 인생의 노선, 삶의 매 순간순간을 소중하게 여기라는 것이다. 그러한 ‘정신이 살아 숨쉬는 나’를 위해선 하루 얼마씩이라도 세상이 조용할 때 나 자신의 내면에 집중해야 하고 나의 인생을 해독해 보려는 긴장은 늦추지 말아야 한다.

이 어둠이 걷히고 새벽이 밝아 오면 먼 여행길을 나선다. 종종 기사거리를 보내는 신문사로부터 원고 부탁을 받아 헐(Hull)과 뉴카슬(Newcastle) 지역으로 찾아가는 나흘간의 취재여행이다.
그렇찮아도 메마르게 느껴지는 캠퍼스를 잠시 뛰쳐나가 사람 냄새가 물씬나는, 희로애락의 감정이 진한 거리의 삶 속으로 들어가고 싶었던 터였다. 스산한 시절, 그곳에 가면 따스하게 가슴을 데워줄 그 무엇이 있을 것 같다. Raining Stones! 이는 잉글랜드 북부지방의 하층민이 주로 쓰는 속어로 사는 게 몹시도 힘이 들 때, “하늘에서 돌이 비처럼 쏟아지는 것 같다”고 자조적으로 뱉는 말이라고 한다. 그곳에 삶의 똬리를 틀고 소시민적 삶을 꾸려가는 사람들의 인생자락을 엿보고자 한다.
평범이 시대를 만드는 그러한 세상을 꿈꾸어 보면서 말이다.

무엇보다 오랜만에 마음먹고 떠나는 이번 여행길에 학업이라는 건조한 일상에 묶여 찌들은 나 자신에게서 탈피한 뒤 새로운 나 자신으로 돌아와야 한다. 장 그르니에의 『섬』에 이러한 글이 나온다.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서 도피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되찾기 위해 여행한다.” 여행을 떠나는 것은 결국 새로운 시작을 위한 몸짓이라는 의미이다. 시인 고은도 그의 시 ‘낯선 곳’ 마지막 연을 이렇게 맺었다.
“떠나라/떠나는 것이야말로/그대의 재생을 뛰어넘어/최초의 탄생이다.” 낯선 거리에서 나와 철저히 헤어져 새로운 나를 만나야 한다.
그래서 이곳 생활이 더욱 더 진지해 질 수 있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이 가을여행에서, 지난 날 나를 사로잡았던 책들을 다시금 마주하며 인생을 더 깊이 이해하고 싶다. 청빈하게 무소유의 삶을 실천하고 살아가는 법정 스님의 산문집 『무소유』를 호주머니 속 깊숙이 넣고 다니며 틈틈이 들추어 보련다. 솔길에서 만나는 시원한 샘물 같은 글들, 욕심이나 집착을 냅다 버리고 홀가분하게 살아가라는 스님의 잔잔한 글들에서 학문의 순수함 속에 감춰진 나의 이기적 욕망을 삭여 내야겠다. 더불어 일생 동안 동양의 사상과 정신에 깊이 매료됐던 작가 헤르만 헷세가 붓다의 고행을 그린 『싯다르타』도 챙겨가 읽으련다. 삶을 살아가면서 만나는 어려운 도전을 ‘당연한 것으로, 당당하게 맞서 극복해야 할 것’으로 여기는 마음 길들이기를 해야겠다.

여행을 갔다 돌아올 때 쯤이면 방학동안 텅 비었던 기숙사의 방들이 하나 둘 채워지고, 다소 한산했던 대학 칼리지 골목들이 학생들의 재잘거림과 자전거들로 다시 활기가 돌기 시작할 것이다. 이 생동감 넘칠 가을에, 또 다른 설레임으로 꿈틀거리며 패기를 되찾아 보다 성숙하게 나 자신을 가꾸고 싶은 마음이다.
학창시절에 자주 불렀던 노래 ‘처음처럼’, 처음 그대로의 마음자리로 돌아가 혼신의 힘을 다하여 삶을 한번 살아 보자.
“한판 싸움이 다가올수록 우리 가슴은 처음처럼/첫사랑의 기억을 떠올리듯 처음처럼/뜨겁게 두근거리던 처음의 마음 우리 투쟁(정진)으로 희망이 됐고/지금도 처음이라고 아아아 여긴다면 날마다 희망이라오/ …몰아쳐가자 끝이 보일수록 처음처럼….”

엊그제 프랑스에서 학업 중인 가까운 벗으로부터 긴 편지 한 통을 받았다. 그 편지 속에 그가 인용한 글귀가 새록새록 나의 가슴에 와 닿는다.
“나무는 쓰러지는 순간까지 최선을 다해 그저 흙에서 흙으로 돌아가는 이치이거늘, 이처럼 단순하고 명쾌한 순리가 어디 있는가. 땅의 자양분을 먹고 자라, 다음 세대를 위해 자양분으로 돌아가는 일. 미련이 있을 수 없다. 죽는 일이란 모든 생명이 가진 절대적 속성이 아닌가.”
자연이 순리대로 움직이듯, 우리네 인생도 이래야 되지 않을까. 분수에 벗어나지 않고 순리를 따라 순간순간을 열정적으로 살아간다면 삶 자체가 그렇게 실망스럽지 않을 것이고 죽음 앞에서도 당당할 수 있을 것 같다. 어느 시인이 그랬다.
“산다는 것은 그 누구나 일정한 세월 동안에 벌이는 한판 굿일 따름이다. 그 굿이 끝나고 나면 우리의 존재는 영원히 소멸된다. 그 절망적 시간 앞에서 스스로가 부끄럽지 않게, 스스로가 후회스럽지 않게, 거짓없이 살고 성실하게 살았다면 그 삶은 더없이 성공을 거둔 삶일 것이다.”

밤이 깊었다. 해뜰 무렵에 나서는 먼 여행길을 위하여 이제 잠을 청해야겠다. 싱그러운 햇살이 나뭇잎 사이로 눈부시게 내리고, 청량한 바람이 콧가를 살짝 스쳐가는 그런 상쾌한 새벽을 기대하며….
1999년 9월 옥스퍼드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