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생태마을 가꾸기

21세기 생활과학

2007-09-23     관리자

올 여름 수재를 접하면서 많은 사람들이 자연재해의 무서움과 인간의 나약함을 느꼈을 것이다. 이러한 재해는 언론에서도 보도되듯이 자연파괴에 의한 인재(人災)의 성격도 많다.
물론 강화도와 같이 600mm가 넘는 폭우에는 불가항력이겠지만 몇 십mm의 강우에는 자연의 복원력으로 수해를 막을 수도 있다. 그러나 자연과 조화하지 못하고 자연의 복원성에 악영향을 미친다면 자연은 인간에게 더 큰 재난을 안겨준다. 따라서 인간은 자연을 존중하면서 공존, 공생할 수 있는 체계를 형성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하겠다.
그러면 생태마을이란 무엇인가. 생태마을에 대한 가장 쉬운 대답은 ‘인간과 자연이 조화롭게 공생하는 공간사회’라고 할 수 있다. 생태마을 조성에는 상징적, 제도적, 기술적인 요소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여기서는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자. 먼저 우리 사회가 현재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표1〕을 잠시 살펴보자.
〔표1〕에서 보듯이 생태마을 조성은 도시사회의 여러 가지 현상에 의문을 던지고 앞으로 지향해 나아갈 사회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환경운동이다. 앞으로 다가올 21세기 사회는 우리 자녀들이 보다 여유롭고, 다원성을 중시하고, 서로의 인격을 존중하는 사회가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징 및 가치체계를 보다 동양적이고 조화와 화합을 중시하는 형태로 바꾸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생태적 가치를 존중하는 사고 방식은 시민생활환경을 보전하고, 인류의 생존환경을 보호하고, 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생물존중체계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이 세 가지 개념은 생태마을 내지 도시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항목이다. 이 개념에서 지역을 위한 공해예방, 살기 좋은 마을 가꾸기의 현실적인 목표가 도출된다. 또한 지구 규모에서 중장기 목표가 설정되고,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살아가는 공존, 공생, 공영의 목표가 설정될 수 있다.
생태마을 가꾸기 과정을 제도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 무리하게 법제화하거나 시민의견을 무시하고 기업가와 권력중심에서 법제화되어서는 곤란하다. 제도화 과정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시민, 전문가, 종교 및 시민단체, 행정이 각각 역할과 책임을 다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또 우리 사회에서 소외된 사람들도 동참할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생태마을 지표와 가이드라인 그리고 조례가 주민참여에 의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면 현실적으로 생태마을은 어떤 대안을 가지고 만들어 나갈 수 있는가.
첫째, 생태적 녹지조성이다. 도시주변에 그린벨트를 조성하고 그것이 소생태계(bio-top)가 형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자연친화적인 문화구조의 재편이다. 즉 자연에너지 이용, 환경적 관리가 가능한 중소도시로 재편, 공해 유발 공장을 소규모 공장으로 재편, 토양파괴형 농업에서 자연유기농 형태로 전환, 생태조성적 과학기술의 개발 등이다.
셋째, 생태공간구조로의 거주환경 재편이다. 획일화된 공간을 다양한 문화가 수용되는 공간으로 재편, 지역코뮤니티를 형성, 녹지와 수변공간 창출, 거리미화 운동 등이 필요하다.
넷째, 반환경적인 요소를 규제 및 제한하는 생태시스템을 제도화하는 것이다. 이것은 대기, 토양, 물 등을 오염시키는 각종 오염원을 합리적으로 감소시켜 인류 모두의 생존권을 보호하면서 인간의 창조권을 살려나가는 방법이 모색되어야 한다.
21세기 생태마을을 가꾸기 위해서 지금 우리가 해야 할 것은 우리 주변에 살아가는 동물을 사랑하고 나무를 심는 것이다. 이것은 우리 미래를 위한 투자이자 우리 어린이의 행복을 위한 최소한의 양심있는 의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