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석천(帝釋天)

불보살의 세계

2007-09-19     관리자

석제환인 (釋帝桓因)이라고도 하는 제석천은 도리천(도利天)의 주인으로 불교 성립 이전부터 인도에서 믿어졌던 신(神) 가운데 하나이다. 고대 인도에서는 벼락을 신격화하여 제석천이라 아였는데 모든 악마를 정복하였던 신 중의 신이었다.
우리나라에서 불교미술로 등장하는 것은 석굴암의 제석천이 가장 이른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나 <삼국유사>에는 환인(桓因) 즉 하늘님을 제석과 같다고 기록하고 있어 일찍부터 제석신앙은 우리 고유의 하늘님 신앙과 습합되어 유행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석굴암의 조각상 외에도 부석사 조사당벽화에 그려진 제석천이 오늘에 전하고 있다. 조선후기 대부분의 신중탱화는 제석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므로 불교수용 이후 꾸준히 불교미술의 대상으로 지리매김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제석천의 형상에 대해서는 대일경소(大日經疏)에 "머리에 보관을쓰고 몸에는 각종 영락을 걸치고 금강저(金剛杵)를 잡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는데 실제로 조각 또는 그림으로 그려질 때에는 금강저를 들고 있거나 합장을 하는 모습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옆 그림은 석굴암의 제석천상으로 국보 제24호로 지정되어 있는 뛰어난 작품이다. 오른손에는 불자(拂子)를 들고 왼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있으며 얼굴은 오른쪽을 향하면서 몸은 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고 있다.
제석천은 보통 범천과 함께 등장하고 있으며 조선후기의 신중탱화에서는 불교의 다른 수호신들과 같이 묘사되어진다. 그러나 이 때에도 제석천은 크게 표현됨으로서 신 중의 신임을 드러내고 있다.

☞ 본 기사는 불광 사경불사에 동참하신 김생호 불자님께서 입력해 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