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불교] 스리랑카 불교(2)

[세계의 불교]

2007-09-18     관리자

가산불교문화연구원 개원 6주년 기념, 조계종 교육원 개원 3주년 기념으로 공동주최한 '열 린 세계에 있어서 세계 승가공동체의 현황과 전망'이란 제하의 학술회의 자료집에서 양해를 얻어 일중 스님의 '스리랑카 승가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조사 연구'를 발췌 초록, 2회로 나 누어 싣는다. 특히 스리랑카 불교 약사(略史)와 현대 스리랑카 승가의 교학체계와 수행체계 를 간략하게나마 게재하여 스리랑카 불교의 교학전통과 수행전통을 조망함으로써 한국불교 의 정체성을 찾고, 불교의 보편적 진리로써 미래세계를 열어나가고자 한다.

스리랑카 승가의 교학체계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 대승불교 국가의 전통에는 각 종파마다 특별한 종지가 있고 그 종지에 따라 소의 경전이 따로 전해 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좌부 불교의 전통은 전혀 그렇지 않다. 현재 스리랑카의 경우 시암종, 아마라뿌 라종, 라만냐종 등 3개 종파가 있는데 각 종파들 사이에 근본적인 차이점은 없다. 왜냐하면 이 종파들이 불교사상이나 계율, 수행실천 문제에 있어서 각기 상이한 종지를 가지고 창종 된 것이 아니라 단지 승려들의 카스트계급에 반발하여 각각 종파를 설립했을 뿐이기 때문이 다.
따라서 스리랑카 승가는 모두가 빨리 삼장에 근거를 둔 상좌부 불교 전통에 속해 있는 오 직 하나의 승가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승려들의 교육기관인 삐리웨나도 정부의 일 괄적인 주도로 똑같은 시스템을 적용하기 때문에 3개 종파간의 교육체계나 불교교육도 아무 런 차이가 없다. 단지 가사는 어떻게 입는가, 의식행사는 어떻게 다른가 하는 등의 지그간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관습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또한 스리랑카에서는 중요하게 강조하는 경전은 많지만 그 경전들은 소의경전이라는 이름 으로 혹은 대표되는 경전이라고 내세우지는 않는다.
예컨대 정치, 사회, 철학을 얘기할 때는 사자후대경(獅子吼大經), 쿠타단다경등을 제시하 고, 제가자들에 관한 가르침을 살펴볼 때는 시갈로와다경을 언급한다. 그리고 상좌부의 수행 법에 대해서는 대념처경과 출입식념경을, 계율이 어떠한 인연으로 생겨나게 되었나를 살펴 볼 땐 율장의 대품을 제시하는 등 그때그때 주제와 상황에 따라서 적적한 경전들을 언급한 다.
한마디로 부처님의 가르침의 총체라고 할 수 있는 삼장 모두가 소의경전인 셈이며 그 삼 장에 대한 방대한 주석서들이 소의경전의 참고문헌으로 소중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상좌부 불교의 빨리삼장에 대한 자긍심은 대단하다. 상좌부 불교에 의하면 1차 결집에서 부처님의 가르침은 삼장, 즉 경장(經藏), 율장(律藏), 논장(論藏)으로 구성되어졌으며, 1차 결 집에 참석한 장로들은 부처님에 의해서 직접 설해진 가르침들은 어느 것이든 바꿀 수 없으 며 부처님에 의해서 설해진 가르침 이외에는 어떤 것도 새로 추가할 수 없다는 결론에 합 의, 이와 같은 결정은 상좌부 불교권에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그 같은 전통은 이론적으 로는 지금까지 지켜오고 있다.
한편 각종 주석사들은 스리랑카 불교교학의 실상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단서를 보여주 는데, 특히 당초 싱할라어로 저술된 것을 훗날 붓다고사가 빨리어로 번역한 문헌들인데 싱 할라원본들은 붓다고사의 번역 이후 소실이 되어 버려서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붓다고사 의 주석서 중 부처님의 모든 가르침이 총망라되어 있는 일종의 백과사전격 주석서인 청정도 론(淸淨道論)이 가장 대표적이다.
스리랑카 승가 교육은 사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대사(大寺), 무외산사(無畏山寺), 기 다림사(祈多林寺)등 3개 본사와 각 지역에 산재한 대사원들도 그같은 교육기능이 있었는데 이중 남부지방 띳사마하라마야 등이 지방의 중요한 불교교육 중심지였다.
기원전 1세기 경 경·율·론 삼장이 문자화될 때까지, 그리고 그 이후까지도 불교교육은 주로 경전을 암송시키는 데 치중되었으나 이러한 교육이 단순한 암기 교육만은 아니고, 승 가 개개인에게 특정한 경전을 집중적으로 교육시켜 전문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교육방법을 비나까 제도라고 하였다.
사원교육이 활성화된 아누라다뿌라 왕조 시대에는 외국의 승려들이 불교를 배우기 위하여 스리랑카에 많이 왔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는 그 당시 스리랑카 사원교육이 매우 우수 했음을 반증하는 자료이며, 또 그 당시 상좌부 국가들 중에서도 스리랑카가 초기 상좌부 불 교의 순수한 전통을 잘 보존하고 있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16세기 후반 식민 통치가 본격화되면서 스리랑카는 정치적·문화적으로 급격한 쇠퇴기를 맞았으며 승가 교육제도 또한 완전히 잃게 되었다. 18세기에 와서는 비구계를 받은 승려를 한 명도 찾아볼 수 없었고, 정상적인 불교 교육을 받은 승려들이 없었다. 이 때 사라난까라 스님은 많은 책을 저술하는 한편 다른 승려들에게도 교학발전을 위한 활동을 적극 장려하여 스리랑카의 사원교육은 부화될 수 있었다.
현대적인 삐리웨나 교육의 효시는 사라난까라 스님이 캔디 인근에 세운 니야마칸타 삐리 웨나이고, 이 후 이 삐리웨나에서 배출된 학승들이 연이어 삐리웨나를 세워 전국적으로 수 많은 삐리웨나가 건립되었다.
현대에 들어 스리랑카에 대학교육이 활성화되자 젊은 승려들이 전통적인 사원교육보다는 일반대학 진학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승려들이 사원 밖에서 공식적으로 할 수 있는 일이 교사나 강사, 교수이기 때문에 현대의 젊은 승려들이 대학교육을 더욱 선호하는 것은 어쩌 면 당연한 일이다. 그리고 이들 젊은 승려들은 세속적인 학문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점차 법학, 통계학, 어학 등 일반 분야를 전공하는 승려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스리랑카 승가의 수행체계 스리랑카 2,300여 년의 불교사를 살펴볼 때 면면이 살아내려오는 수행전통의 맥을 찾아보 기란 쉽지 않다. 불교 전래 초기에는 학문과 수행을 겸수했던 것으로 보이나 기원전 1세기 를 전후하여 수행전통이 사라져가고 반면에 교학전통이 주류를 이루었던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 아라한이라고 전해오는 말리야데와 스님은 기원전 2세기 사람이다. 그 후로는 대 석학이라 불리는 학승들은 역사 속에서 여러 번 등장하고 있으나 깨달음을 이루었다는 아라 한의 존재에 대해서는 기록을 찾아보기 어렵다.
그러나 상좌부 불교에서 매우 비중있는 경전으로 알려진 장부의 『대열반경』은 계·정· 혜 삼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출가자의 최종 목표라고 할 수 있는 해탈, 열반을 성 취하기 위해서 삼학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상좌부 불교의 교리체계나 근본불교의 중심철학을 간략하게 요약한다면 3법인, 4성제, 8정 도, 연기법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교리나 사상은 실제 수행을 전제로 하여 설해진 것 이지 교리를 위한 교리, 철학을 위한 철학을 위해서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대로 근대 스리랑카 승가는 400여 년동안 서양의 식민지 세력 아래서 암흑 기를 보내야 했다. 19세기에 들어오면서 정치//경제//사회적으로 급변하는 격동기에 스리랑 카 승가 내에도 새로운 움직임이 싹트기 시작했으며 20세기 들어 승가와 재가인들 사이에서 승가개혁운동이 펼쳐지기 시작했다.
1948년 오랜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을 하고 2,500년 붓다 자얀티 기념행사를 전후로 하여 싱할라 민족은 전통 문화와 불교부흥에 대한 관심이 최고로 고조되었으며, 역사에서 사라져 버렸던 아란냐와시 부흥운동과 위빠사나 명상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아란냐와시 부흥운동은 승가를 초기불교의 이념에 맞도록 개혁하자는, 숲 속에 거주하면 서 명상 수행에 전념하여 수행 전통을 부흥시키자는 운동이었다. 이 운동의 주요인물들은 빤냐난다, 지나 왕사, 냐나난다, 냐나라마, 따빠사 히미 등의 여러 스님들이다.
아란냐 수행승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수행에 전념한다. 이들은 마을이나 도시로, 혹은 시중 의 사원으로 절대 나오지 않고, 불교행사나 의식에도 전혀 참석하지 않는다. 단지 재가인들 로 구성된 신도회의 공양을 받는 자리에만 탁발을 나와 모습을 비칠 뿐 사람들과 관련된 활 동은 거의 없으며, 일상생활에 필요한 최소한의 물품만 지녀 무소유의 삶을 지향하고 있다.
교학에도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으며 경전과 주석서를 의지하여 부처님의 초기 가르침대 로 소박하고 간소하게 수행에 전념하는 아란냐 수행승들에게 일반 시중의 승려들보다 훨씬 더 공경하며 신심을 바치는경향이 있다.
위빠사나 운동은 1950년대 재가불자 지식층이 중심이 되어 시작했다. 처음으로 랑카 위빠 샤나 수행회라는 모임을 조직하여 버마의 마하시 시야도스님에게 수행지도자를 보내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 위빠사나 운동은 근거와 해석을 경전에 두었으며, 불교의 이론과 실천을 재 조명해보고자 했다. 또한 그들은 승가나 재가나 똑같이 자기 계발과 도덕에 힘쓸 것을 강조, 재가자들에게 인기를 얻게 되었다.
스리랑카를 이끌어온 스리랑카 불교, 스리랑카에서 승려들은 예로부터 교사요, 설법자며 왕이나 정치인의 고문이고 조언자로서 국민의 지도자였다. 현제에 와서 그 위상이 다소 낮 아졌지만 아직도 존경의 대상으로 그 관습이 오늘날까지 지속되고 있다.
한 예를 들면 비록 어린 승려라고 할지라도 승가의 일원이라는 사실만으로도 재가인들은 머리를 땅에 대고 절을 한다. 그리고 국민들은 정치인의 목소리보다 승가의 목소리에 더 귀 를 기울인다. 국민들이 전적으로 승가를 신뢰하기 때문에 정치인에게 있어 승가는 두려움의 대상이기도 하고, 국민에게 있어 승가는 정부에 대항하는 힘의 상징이기도 하다.
결론적으로 교학 전통, 학문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는 스리랑카 불교는 1950년대를 전후 하여 조성된 승가개혁, 명상 수행 붐으로 승가나 재가자들 사이에 수행에 대한 관심도가 높 아져가고 있으며, 곳곳에 수행센터가 꾸준히 설립되고 있다.
이러한 경향으로 볼 때 스리랑카의 강한 교학전통에다 승려들에게 적절한 수행풍토를 조 성, 수행정신과 실천의 중요성을 고취시켜 줄 수 있는 사원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면 남방 상좌부 불교의 종주국이라고 일컬어지는 스리랑카 불교의 전망은 매우 밝다.
또한 좀더 열린 안목으로 스리랑카 승가가 대승불교를 바라볼 수 있고, 한국 승가가 좀더 열린 안목으로 상좌부 불교의 장점을 섭수하고 수용하는 자세를 취한다면 21세기의 불교 전 망은 희망적일 것이다.

☞ 본 기사는 불광 사경불사에 동참하신 종원 불자님께서 입력해 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