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만히 있어도 눈과 귀가 즐거운 사찰

서산 도비산 부석사(浮石寺)

2007-09-17     관리자
아직 서해엔 가보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당신이 거기 계실지 모르겠기에
- 시 「서해(西海)」 중에서

스무 살 무렵 이성복 시인의 ‘서해’를 처음 읽으면서부터, 오랫동안 서해는 아득한 그리움과 슬픔의 이미지로 다가왔다. 그래서일까. 서산 부석사를 향하는 내내, 동해나 남해를 갈 때와는 분명 다른, 미묘한 떨림이 일었다.

매섭던 혹한마저 한풀 꺾인 후 겨울비의 여파로, 서해를 바로 마주하고 있는 부석사는 잔뜩 습기를 머금고 있었다. 서쪽을 향해 아무리 응시해도 흐린 날씨 탓에 바다는 보이지 않는다. 종무소와 공양간으로 쓰이는 ‘심검당(尋劒堂, 지혜의 검을 찾는 곳)’으로 고개를 돌려보니, 두 분 스님이 점심공양을 마치고 툇마루에 앉아 한가로이 담소를 나누고 계신다. 부석사 주지 주경 스님과 총무 원우 스님이시다.

못 이룬 사랑 돌이 되어

부석사는 와우(臥牛, 누워있는 소)형 구조를 가지고 있다. 큰 법당인 극락전이 머리, 심검당이 몸통부분에 해당한다. 그래서 심검당 아래의 약수를 우유(牛乳)약수라고 한다. 가람을 잘 살펴보면, 소의 뿔과 발톱, 여물통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는 재미도 있다.

서산 부석사는 영주 부석사와 이름뿐 아니라 그 창건 설화를 같이 하고 있어 더욱 흥미롭다. 의상 대사를 사모한 당나라 여인 선묘 낭자는 그 사랑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바다에 몸을 던져 용으로 변하여, 신라로 돌아가는 의상 대사가 탄 배를 수호하였다.

의상 대사가 선묘 낭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사찰을 지으려 하는데 마을 사람들의 방해로 어려움을 겪자, 큰 돌이 공중에 둥둥 떠서 이들을 위협하여 불사를 다시 재개할 수 있었다. 큰 돌은 훌쩍 날아가 서산 앞바다에 자리를 잡고 바위섬이 되었다. 바다로 날아간 돌이 있던 산이라 하여 도비산(島飛山), 절에서 볼 때 돌이 바다에 떠 보이는 것 같아 절 이름을 ‘부석사(浮石寺)’라 부르게 되었다.

서산 부석사는 677년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전하는 극락전 상량기와 1330년 조성된 관세음보살상이 일본의 대마도 관음사에 봉안되어 있어 적어도 고려 후기 이전에 창건된 고사찰임을 알 수 있다.

부석사 주변의 바위나 고목, 부도 등에서 발견되는 지의류의 형태와 크기를 보더라도 천년의 역사가 고즈넉하게 숨쉬고 있음을 어렵지 않게 가늠해 볼 수 있다. 조선시대 무학 스님이 중창하시고, 근대에는 한국선불교를 중흥시킨 경허, 만공 스님이 주석하며 수행정진하셨다.

딱따구리야,
얼굴 한 번 보여줘

한 무리의 사람들이 웅성웅성하기에 가까이 가봤더니, 망원경을 설치하고 무언가를 기다리고 있다. 바로 그때, 어디선가 거침없는 새 울음소리가 들리더니 붉은 머리의 새 한 마리가 느티나무에 앉아 나무를 쪼아댄다. 이어서 사방을 경계하더니 맞은편 느티나무에 제가 뚫어놓은 커다란 구멍 속으로 쏙 들어가서는 기척이 없다.

구경꾼들의 아쉬운 함성이 터지자 들어간 반대 구멍으로 선심 쓰듯 잠시 귀한 얼굴을 내비쳐주고는 다시는 나오지 않는다. 아침 7시 40분에 나가 오후 5시면 어김없이 보금자리로 돌아와 잠을 잔다는 이 새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까막딱따구리다.

만화영화에서나 보던 딱따구리의 나무 쪼는 모습을 직접 보니 눈이 휘둥그레질 수밖에 없다. 사찰의 일상풍경이 방문객들에겐 행운을 선사하는 커다란 기쁨이다.

딱따구리와의 짧은 만남을 뒤로 하고 서녘 하늘을 바라보니 희뿌연 하늘 사이로 어느새 석양의 붉은 기운이 물들고 있다. 주변 일대에서 가장 높은 도비산(해발 353m) 부석사에서 바라본 저녁노을은 서산8경에 들 정도로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바다를 향해 눈물방울처럼 뚝뚝 떨어지는 태양이 닿는 곳마다 붉은 눈물자국을 만들어낸다. 갑자기 밀려드는 아득한 슬픔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안 보이는 것이 보이고 들리지 않는 것이 들리다

저녁공양을 마치고 본격적인 템플스테이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이번 참가자들은 모두 20·30대 젊은 여성들이다. 저녁예불과 108참회를 마치고 다담(茶談)이 이어졌다. 스님과 함께 부담없이 차 한 잔 마시는 여유는 템플스테이에서 느낄 수 있는 또 하나의 매력이다.

주경 스님이 차의 유래와 종류, 마시는 법에 대해 재미있는 얘기를 곁들여 설명하자 참가자들의 얼굴에 웃음꽃이 활짝 피어난다. 첫 잔을 마시며 차향을 느끼고, 두 번째 잔에 차맛을 음미하며, 세 번째 잔에 고요히 마음을 들여다본다.
차를 마시며 한결 정갈해진 마음으로 참선에 들어간다.



“참선은 인생에서 가장 큰 재산을 얻는 방법입니다. 욕심과 분노, 원망, 미움 등에 가리어져 있는 일체 장애를 걷어내어, 안 보이는 것이 보이고 들리지 않는 것이 들리게 됩니다. 아침저녁으로 성성적적(惺惺寂寂)하게 잠시나마 좌선을 해도 번뇌·망상에서 벗어나 행복한 삶을 가꾸어 갈 수 있는 것입니다.”
주경 스님의 지도로 참선에 매진하는 동안 산사의 밤은 깊어만 갔다.

다음 날 새벽 4시, 산사를 깨우는 도량석(道場釋) 목탁소리가 그지없이 청랑하다. 새벽예불을 올리고 나서 채 어둠이 걷히지 않은 하늘을 바라보니 둥근 보름달이 서서히 기울고 있다. 안양루 앞에 붙박이처럼 서서 그윽한 눈으로 절 아랫마을을 내려다보는 최애경(33세, 직장인) 씨는 경주 골굴사, 여주 신륵사에 이어 이번이 세 번째 템플스테이 참가다.

“아직 불교신자는 아니지만 템플스테이를 다녀오면 신기하게도 몇 달간 마음이 편안해져요. 앞으로도 계속 전국의 사찰 체험을 해볼 계획입니다.”
참선과 아침공양을 하고, 아침부터 나무를 쪼아대는 쇠딱따구리, 쉴새없이 재잘대는 박새와 반가운 인사를 나누며 원우 스님의 안내로 부석사 경내를 둘러보았다. 부석사는 100여 그루의 느티나무 숲이 중심이 되어 진귀한 나무, 바위, 야생화, 산새, 곤충들이 한데 어우러져 이상적인 생태계를 이루고 있다.
가만히 있어도 눈과 귀가 즐거운 사찰이다. 느티나무와 팽나무 가지가 서로 맞붙어 한몸이 된 상서로운 연리지(連理枝)가 있는가 하면, 1급수 약수가 흐르는 물길에선 옆새우와 가재를 만날 수 있다.

철새를 관찰하듯 마음을 살펴보며

부석사 템플스테이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철새 탐조를 하기 위해 망원경을 챙겨들고 천수만 간월호로 향했다. 모래톱과 갈대밭이 우거진 천수만은 다양한 물고기와 간척지의 낙곡이 풍부해 철새들에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서식지다. 9월 말부터 날아든 철새는 60여 종 200여 만 마리에 이른다고 한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눈부시도록 긴 목을 들고 우아한 자태를 뽐내는 큰고니다. 언제나 자신들의 행렬을 유지하며 날아가는 큰기러기와 앞서거니 뒤서거니 옹기종기 헤엄치는 물닭, 마치 소풍 나온 아이들처럼 예쁜 옷을 입고 부지런히 먹이를 찾는 고방오리 떼도 빼놓을 수 없는 아름다운 풍경이다.

망원경을 통해 열심히 철새들의 움직임을 좇는 참가자들의 모습이 발랄한 소녀처럼 마냥 즐겁다. 철새를 유심히 관찰하듯 가슴 속에 마음을 커다랗게 비춰보는 망원경을 설치해둔 것일까. 모든 일정이 끝나고 다시 자신이 떠나온 일상으로 돌아가는 발걸음이 한결 가벼워 보인다.

2001년 템플스테이를 최초로 시범운영하고, 조계종 포교원 포교국장과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사무국장을 역임한 주경 스님은 그 동안의 생생한 현장 경험을 살려 부석사 템플스테이에 반영하고 있다.

석사 템플스테이는 고향집을 찾은 것처럼 편안하고 아늑하다. 엄격한 규율보다는 산사의 풍요로운 자연 혜택을 여유롭게 누리게 하여, 지친 몸과 마음을 추스르고 자연과 인간이 한 몸이라는 불교적 생태관을 몸소 깨닫게 한다.
동료와 함께 참가한 홍미정(30세, 교사) 씨는, “새해를 맞아 새로운 마음가짐을 다지기 위해 무작정 템플스테이에 참가했는데, 꼭 다시 오고 싶을 만큼 소중한 추억을 많이 담아 간다.”며 환한 미소를 짓는다.


취재정리|양동민·사진|최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