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를 짓습니다] 거듭거듭 낱낱이

2022-12-23     윤남진

늦가을 산중의 새벽은 바지런 떨며 수확 끝낸 밭을 바라보듯 허허롭고 한가하여 자못 고요하기만 합니다. 생명이 한창 푸르게 약동하던 여름날의 새벽, 그 이름 모를 수많은 산짐승과 벌레들의 울음소리도 어느 한순간 일제히 멎었습니다. 나뭇잎과 풀잎들도 꼿꼿하게 섰던 기운이 빠지고, 이젠 메말라서 서로 사각대는 것이 세월의 한 켠이 속절없이 부스러지는 듯 들립니다. 

왕성한 생명의 기운이 활동을 그치고 돌연히 침잠해가는 시간은 기도로 채우기에 안성맞춤일 때입니다. 뭇 생명들이 열매를 거두었으니 이제 사람들의 삶에서도 어떤 결실을 보아야 할 때가 된 것입니다. 지나간 계절을 허송세월했다손 치더라도 하얀 백지로 새롭게 출발할 겨울을 앞에 두고 한 점 씨앗은 품어두어야 하겠기에 기도는 더욱 간절합니다. 가을의 정적이 깊어지며 몸은 웅숭그려지고 마음이 고독감으로 빠져들면서 더욱 그리워지는 것은 나의 또 다른 사람들입니다. 이들을 나와 함께 떠올리면서 하는 기도가 됩니다.

 

새벽, 홀로, 그리고 관세음보살 정근

홀로 새벽예불 말미에 관세음보살 정근을 합니다. 예불을 마치고 나서는 날이 밝을 즈음까지 붓을 들어 사경을 합니다. 염불 기도에 아이들을 위한 축원을 염합니다.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이 되고자 시험공부를 하는 큰아이를 생각하며 시험을 앞둔 자녀를 둔 그 많은 사람처럼 ‘학업성취’를 기원합니다. 대안학교를 나와서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않고 마당극 마을을 찾아가 이제 마당극 배우로 갓 출발한 딸아이를 위해서는 늘 만족스러운 나날이 되기를 기원합니다. 고등학교에 다니는 말수가 거의 없는 막내 아이를 위해서는 분발하는 마음을 크게 한번 내어보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축원하면서 관세음보살 정근을 합니다.

‘염념물생의(念念勿生疑).’ “염할지라 염할지라 의심 말지라.” 『관세음보살보문품』에서 이르고 있는 관세음보살 염불의 정신입니다. 이렇게 ‘관세음보살’ 한마디를 오롯이, 또렷이 하기를 힘쓰며 반복합니다. 그러던 어느 날, 기도를 마무리하며 아이들을 위한 축원을 떠올리는데 어떤 생각의 변화가 일어남을 느낍니다. 큰아이의 학업성취 기원은 그 아이가 다른 이들의 학업을 성취시켜주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스스로 하루하루 만족하기를 바라는 기원은 다른 이들과 하루하루 만족한 삶을 함께 만들고 함께 누리는 공동체 성원이 되기를, 스스로 분발하는 마음을 내기를 바라는 축원은 다른 이를 분발케 하는 훌륭한 상담가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 파장이 더 커지고 넓어지는 것을 깨닫습니다. 

누군가가 ‘그렇게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나아가 그가 다른 이들을 ‘그렇게 되게 하는 자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그에게 관세음보살의 가피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그 스스로가 ‘작은 관세음보살’이 되기를 바라는 서원으로 변화되는 것을 봅니다. 이런 변화는 어떤 일을 여러 번 되풀이하는 ‘거듭거듭’의 힘, ‘반복’의 효과가 끌어낸 것이 아닐까 합니다. 

 

반복, 사경, 그리고 자애로움

경전은 ‘거듭거듭’의 효과를 감안한 이야기 방식이면서, ‘낱낱이-열거’의 힘을 담고 있는 이야기 구조입니다. 『관세음보살보문품』에 보면 관세음보살이 중생들을 구제하는 것을 말할 때 중생들이 처한 가지가지 고통의 상황들을 그야말로 가지가지로 열거합니다. 

또한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 몸을 가지가지로 바꾸고 나타나면서 제도하는 모습을 낱낱이 열거합니다. 가령 큰불에 들어가도, 큰물에 떠내려가게 되어도, 큰 바다에서 폭풍이 불어 배가 나찰의 나라에 닿았더라도, 흉기로 해를 입게 되었을 때도, 야차 나찰 등 악귀들이 사람을 괴롭히려 하더라도, 몸이 사슬에 묶였더라도, 흉기를 가진 원수와 도적이 가득 찼더라도, 등등으로 액난의 상황을 낱낱이 열거합니다.

중생 제도를 위하여 몸을 바꾸어 나타나는 것도 벽지불로, 성문으로, 범왕으로, 제석으로, 대자재천으로, 천대장군으로, 그리고 비사문, 소왕, 장자, 거사, 재관, 바라문, 비구,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 동남동녀, 천·용·양차·건달바·아수라 등의 몸으로 나타나 제도한다고 낱낱이 열거합니다. 

사경하다가도 문득 그런 생각을 합니다. 『금강경』이나 『관음경』 사경을 하다 보면 약간씩만 변화된, 비슷한 비유들이 여러 번 반복됩니다. 처음엔 이런 반복이 지루하게 느껴졌습니다. 그러나 사경을 거듭거듭 하다 보니, 반복되는 경전 말씀이 제자를 가르치기 위한 스승의 자상하고 간절한 마음으로 읽히는 것입니다. 

마치 음악에서 첫 음조가 조금씩 변화를 주며 반복하면서 하나의 큰 전체 이야기의 흐름을 만들어가듯이, 그렇게 하나의 긴 음악을 끝까지 들으면 이내 익숙하게 기억되고 익혀지듯 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런 점까지도 염두에 둔 스승의 가르치는 방식에서 자애로움이 느껴져 가슴에 사무치는 것입니다. 이처럼 경전 하나를 처음부터 끝까지 사경을 하다 보면 거듭거듭 되풀이하여 변주되는 경전의 체계를 통해 전체를 보는 눈이 생기고 시야가 확장됨을 느낍니다. 경전에 더하여 싣지 못한 말씀들을 우리의 삶으로 대입하여 변주시켜 사유하는 힘이 생기는 것을 느낍니다.

 

익숙함, 관심, 그리고 서원

경전의 낱낱이 열거된 문장을 쓰다 보면 처음엔 경전의 말씀이니 쓴다는 생각에만 빠져 지루하게 여겨지다가 스스로 나 자신이 처한 현실과 나 자신과 관계 맺고 있는 세상을 구체적으로 관조해야 한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곧 현실의 살아 있는 낱낱의 상황과 실제 사실들을 떠올리게 되고, 우리가 그냥 뭉뚱그려서 ‘매 순간’, ‘뭇 생명들’, ‘온갖 인연 관계들’이라고 하는 말들이 ‘어떤 어떤 순간’, ‘어떤 어떤 생명’, ‘어떤 어떤 사람’으로 생생하게 살아나 눈앞에 드러나는 듯 되새겨보아야 함을 알게 됩니다. 내가 관계 맺고 있는 것들에 대한 세심한 관심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게 됩니다.

어떤 일을 여러 번 되풀이한다는 뜻을 가진 ‘거듭거듭’은 자칫 반복의 관성에 빠지는 우를 범할 수 있습니다. 이를 하나하나 남김없이 모두라는 뜻을 가진 ‘낱낱이’의 관점이 보완해줍니다. 반면 ‘낱낱이’에 빠져 전체를 망각하는 우는 반복되면서 변화하는 전체 흐름을 보는 ‘거듭거듭’의 관점으로 극복될 수 있습니다.

청량한 늦가을 새벽 정근과 사경 기도를 하면서 반복되는 하루하루의 일상을 되돌아봅니다. 익숙해지고 당연시되며, 그렇게 영원히 살아생전 지속될 것 같은 많은 관계를 떠올려봅니다. 세상에 새로운 것은 없다는 말이 있습니다. 그처럼 새롭지 않게 느껴지는 것들, 헐고 오래된 것들에 또다시 ‘거듭거듭, 낱낱이’ 새로움을 불어넣어 주는 힘, 그것이 기도와 서원에서 나오리라고 믿음을 냅니다. 

 


한 해 동안 매달 실었던 글을 마무리합니다. 과거 시민단체에 몸담으면서 성명서 또는 축사나 격려사를 쓰다가 잘 쓰지도 못하는 이른바 수필을, 그것도 매달 쓰는 일은 고역이었습니다. 글을 쓰면서 글 쓰는 공부를 했습니다. 『글쓰기 표현사전』(장하늘 지음, 다산초당)을 거듭 읽으며 공부가 되었습니다. 공부합시다.     

 

윤남진
동국대를 나와 1994년 종단개혁 바로 전 불교사회단체로 사회 첫발을 디뎠다. 개혁종단 순항 시기 조계종 종무원으로 일했고, 불교시민사회단체 창립 멤버로 10년간 몸담았다. 이후 산골로 내려와 조용히 소요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