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 스님 되돌아보기] 백졸(百拙) 스님

한평생 일념(一念) 공부에 매달리는 수행자

2023-01-13     효신 스님
한평생 일념 공부 중인 백졸 스님

불교의 본분 공부는 ‘일념(一念)’ 공부이다. 한 생각을 어떻게 다스리는가에 있다. 한 생각이 끊어짐 없이 연결되는 상태가 바로 무념(無念)의 경계이다. 그러니 얼마나 밋밋하고 재미없겠는가. 이 재미없는 일념 공부에 한평생 매달린 수행자가 있다. 부산 장산 옥천사에 주석하고 계신 백졸(1936~) 스님이다. 마음의 틈새를 메우려 일생을 힘써온 스님이다.

 

모든 게 다 못났다?

백졸(百拙), 모든 게 다 못났다는 뜻이다. 다시 뒤집으면 다 잘났다는 말이다. 공(空)을 아는 사람만이 색(色)을 말할 수 있고, 색을 모르면 공을 알 수 없는 이치와 같다. 스님의 법명과 성품은 진제와 속제가 포개져 있는 모습이다. 스님은 유쾌하고 스마트하며, 유려한 언어적 감각과 함께 인생에서 결핍이 없는 분이다. 하지만 사람 만나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본분 공부 외에는 아무 관심이 없기 때문이다. 올해 87세 노스님인데도 “공부를 끝내지 못해, 공부를 방해하는 것과 늘 싸우는 사람”이라 스스로 평하신다.

도반인 법용(法涌) 스님은 생전에 백졸 스님을 ‘비구니 성철 스님’이라 칭했다. 타고난 선기(禪機)로 정진의 용맹스러움이 성철 스님과 닮았고, 그 가르침을 일상에서 가장 잘 실행해온 스님이기 때문이다. 주지 소임을 사는 시절에도 용맹정진 기간이면 석남사 선방에서 밤샘(=철야) 정진을 했다.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었다. 스님의 일생이, 옥천사 자체가 성철 스님 가르침의 직영점이다. 사단법인 랑그람 성철스쿨 운영은 물론 생활면에서도 최저의 생활로 최대의 노력을 한다. 스님이 좋아하는 문구, “팔면으로 영롱한 구슬처럼 빈틈없고 올바르고자 힘썼을 뿐”은 당신 일상의 모습 그대로이다. 스님은 “착각에서 벗어나면 부처님의 광명을 바로 볼 수 있으니” 착각에서 벗어나 살 것을 당부하신다.

스님의 본관은 경주, 속명은 이옥자(李玉子)이다. 1936(병자)년 부산 중구 중앙동의 부잣집 딸로 태어났다. 부산 장산(萇山)의 수질은 맑기가 설악산 대청봉과 같아 절 이름이 예부터 옥천사(玉泉寺)였다. 스님이 이곳으로 온 건 밥 먹고, 잠자는 시간을 아껴 오롯이 정진에만 몰두하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부유한 속가의 배경이 훗날 옥천사 강제철거 사건의 노림수가 됐다. 

1980년대 후반 위기가 찾아왔다. 장산 8만 평의 소유주가 산자락 지상권(150평)만 지닌 옥천사에 대한 강제철거 소송을 낸 것이다. 목적은 장산 전체를 스님께 비싸게 팔기 위함이었다. 대법원의 판결까지 철거의 명령이 내려졌으나, 스님은 “내가 있는 동안에 부처님 도량을 없애는 건 안 된다”는 일념으로 버텨 이겨냈다. 이 일을 마무리하자마자 옥천사 70m 코앞에 성당이 들어선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이때도 상좌 정혜 스님과 함께 힘을 합해 성당을 물러나게 했다. 이 당시를 가장 애로를 겪은 일로 기억하셨다.

 

성철 스님이 내린 법명게

불연으로 이끈 촉매제, 상대성이론

스님을 불연으로 이끈 촉매제는 상대성이론(등가원리)이었다. 부산사범학교 재학 시절, 큰스님(성철 스님)의 병문안을 가신다는 부모님과 동행했다. “큰스님 뵈면 먼저 절을 올려야 한다”는 어머니의 당부를 새기며 방으로 들어갔으나, 난생처음 스님을 뵙자 호기심이 일어 질문부터 던졌다.

“스님은 인생의 회로가 많은데 왜 하필 스님을 택하셨어요?” 하자, “별 가시나 다 봤다”라는 즉답이 돌아왔다. 속으로 ‘스님이면서 왜 가시나라 카노’ 읊조렸는데, 성철 스님이 가만히 쳐다보다가 “니, 등가원리(E=mc2) 아나?”며 말을 걸어오셨다. “예, 학교에서 배웠습니다”라는 짧은 대답에 성철 스님은 상대성이론을 설명하기 시작하셨다. 

“에너지와 질량은 별개의 것으로 보이지만, 질량과 에너지는 서로 완전히 전환된다고 한데이. 핵이 분열하면 손실된 질량은 거대한 폭발 에너지로 변환되는데, 이기 바로 히로시마에 떨어진 원자폭탄인 기라. 반대로 융합시키면 수소탄이 되는데, 똑같은 원리기라. 이처럼 우리 안의 티끌만 한 불성 씨앗으로 대우주를 폭발시키는 게 바로 부처님 공부다. 알겠나?”

과학을 좋아하던 옥자에게 ‘원자가 거대한 폭발 에너지로 변환하듯, 내 안의 불성이 우주를 삼켜버리는 일’은 굉장한 매력으로 다가왔다. 빅뱅 이후 우주가 시작된 특이점을 찾아내는 여정이기도 하니 얼마나 멋진 일인가. 옥자 인생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루어진 순간이었다. 그 말씀이 끝나자마자 어떻게 하면 그 공부를 할 수 있냐는 물음에 성철 스님은 ‘등록금’을 요구했다. 그 등록금은 ‘삼천배’였다. 성전암에 가서 등록금을 바치고 화두를 받았다. 스님의 표현에 따르면 황금열쇠를 찾는 여정이 이때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성철 스님이 내린 법명게

 

황금열쇠를 찾는 여정

집에서 홀로 공부하다 보니, 절에서 종일토록 이 공부에 매진하면 끝을 볼 것 같아서 부모님께 1주일의 여행 말미를 구했다. 이에 부친은 미군용담요와 랜턴을 시장에서 구해와 간식과 함께 배낭에 챙겨주면서 배웅해 주셨다. 당시 사회 통념상 어린 딸을 홀로 여행 보내고, 구하기 힘든 물건들을 꼼꼼하게 챙겨준 스님의 부친은 보통 분이 아님을 짐작할 수 있다. 옥자의 1주일 기약은 끝내 영영 지켜지지 않은 부도수표가 되었다. 해인사 청량사로 향했던 1주일은 쏜살같이 지나가는데, 공부는 끝을 보지 못했고 시간은 더 필요했다. 궁여지책으로 부모님께 편지로 1주일의 말미를 더 달라고 청하고, 그 1주일도 소득이 없자 부모님이 당장 데리러 오기 힘든 먼 곳으로 향했다.

태백산 홍제암으로 가서 오직 공부에만 매달려 무작정 앉아 있었다. 그렇게 3년을 보냈다. “본분에는 충실하나 법도를 모르던 시기”였다고 스님은 회상했다. 공부에 끝장을 보기 위해 출가를 결심하고, 성전암에서 만나 인연이 된 진주사범학교 출신 동기생과 함께 성철 스님을 찾아뵈었다. 성철 스님께서는 법명이 든 봉투 2개를 놓고 각자 고르라고 하셨다. 스님이 먼저 집어 열어보니 백졸(百拙)이었다. 남은 봉투에 적힌 법명은 불필(不必)이었다. 스님이 법명을 펼쳐 보이자, 성철 스님은 “예순에 깨달음을 얻어 진정한 백졸승이 된다”는 게송을 내려주셨다.

住在千峰最上層(주재천봉최상층) 
年將耳順任騰騰(연장이순임등등) 
免敎名字掛人齒(면교명자괘인치) 
今朝甘作百拙僧(금조감작백졸승) 

스님은 “언하의 깨침이 아닌 60세는 내게 긴 시간의 형벌을 주신 셈인데, 60이 지나 아직도 공부 안 되는 것과 내내 싸우고 있으니 참담한 중생”이라고 스스로 평하셨다. 그러나 스님의 용맹정진 힘은 유명하다. ‘화두를 놓치면 살아 있어도 송장’이라는 성철 스님의 말씀이 뼛속에 박힌 스님은 오직 화두를 붙잡는 데만 온 힘을 기울였다. 

당신 스스로 “화두는 나의 생명이요, 나의 로망이다”고 말할 정도로, 화두를 놓치는 것은 생명을 포기하는 일로 여겼다. 평생을 잠과 사투를 벌이며 화두를 붙잡으려 했다. 애써 노력하지 않아도[不勞心力] 그냥 되는 여일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몸부림이었다. 오죽하면 대중이 함께하는 잠자리 시간에도 누군가 방문을 여는 순간 바로 일어날 수 있도록 문지방에 머리를 두고 잤겠는가.

스님의 일생에서 일여의 경계를 체험한 순간이 있었다. 일상의 생활에서 공부가 여일한 동정일여, 꿈속에서도 여여한 몽중일여, 깊은 잠이 들었을 때도 한결같은 숙면일여라는 그 일여(一如)를 잠깐 맛보았다. 

성철 스님의 장좌불와를 곁에서 지켜본 스님인지라 그것을 본받아 눕지 않고 수행하던 시절이었다. 저녁 방선을 하면, 유리병에 실과 철사를 넣어 직접 만든 호롱불을 들고 산속으로 들어가 밤새 정진했다. 이때 함께한 도반이 불필, 혜주 스님이었다. 혹여 함께 있으면 말을 하게 될까 봐, 새벽 3시에 만나기로 하고 산속으로 흩어져 불빛으로 각자의 위치를 표시했다. 스님은 졸음이 오면 걷고 또 걸으며 정진에 매달렸다. 그러던 어느 날, 산모퉁이를 돌 때 그 일여의 상태를 체험했다. 스님은 그 시간이 그리 길지 않았는데, “그 상태를 표현하자면 ‘환희심’이라는 단어는 너무 경박하고, ‘쾌감’이라는 단어는 더욱더 거리가 멀어 적당한 비유가 떠오르지 않는다”고 하셨다.

법용 스님은 생전에 백졸 스님을 ‘비구니 성철 스님’이라고 불렀다.

 

점검, 원오극근, 능엄주

백졸 스님의 정진 분기점은 크게 세 지점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분기점은 자기 점검의 계기였다. ‘삼서근’이라는 짧은 화두가 불러오는 착각에 대한 점검이었다. 짧은 화두를 붙잡고 있으니 언제나 화두가 성성하다고 느껴져, 3분을 기준으로 망상의 찰나 횟수를 점검했다. 3분 동안 새치기 잡념이 몇 번 지나갔나를 점검하니, 번뇌망상을 여의지 못한 자신을 발견했다. 아울러, 착각에 빠져 있었다고 생각한 결정적인 계기는 성철 스님의 상당법문을 메모하려는 순간이었다. 

“법문을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메모하려 하니 정리가 안 되는 거야. 내가 공부를 제대로 했다면 스님의 한마디에 딱 계합해야 하는데 그게 아니었어. 그러니 이 공부하는 데서 미달이라고 생각했어.” 

그래서 성철 스님을 뵙고 화두를 다시 일러 달라고 말씀드렸다. 화두는 저번과 똑같았다. 

두 번째 분기점은 원오 선사와의 만남이다. “산승이 대중에 있으나 일시도 이연(異緣)이 없었더니 10년 만에야 비로소 철저히 깨쳤다.” 선방에서 보게 된 『선관책진(禪關策進)』의 구절이었다. ‘10년 동안 이연(잡념, 망상)이 없었다’는 말씀을 보는 순간 스님은 등골이 오싹해졌다. 크나큰 감동이었다. 이후 3년 동안 더 처절하게 화두와 사투를 벌였다. 원오 선사를 그리워하는 마음에 『원오심요(圓悟心要)』를 걸망에 넣어 다니면서도 화두가 달아날까 펼치지 못했으니, 얼마나 화두와 씨름했는지 짐작이 간다. 또 성철 스님을 찾아뵈었다. “이 한길로만 가그라. 좋은 게 있다.” 화두는 역시 이전과 똑같았다.

세 번째 분기점은 능엄주 화두로의 전환이다. 3년 후 다시 성철 스님을 찾아뵈었다. 이때 성철 스님은 스님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는 “화두 중에서도 능엄주 화두가 제일 크데이”라며 능엄주 화두를 내려주셨다. 스님은 바로 능엄주로 바꾸지 못했다. 그동안 ‘삼서근’의 화두에 익숙한 습이 쉽게 바뀌지 않았다. 한번 스님이 화두로 잡고 능엄주를 해보니 찰나찰나에 끼어드는 잡념의 실체를 분명히 인식하게 해줬다. 3,000 단어가 넘는 능엄주는 잡념이 끼어들지 못하게 하려면 고도의 집중을 요한다. 스님이 그토록 바라던 ‘순일무잡(純一無雜)’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최적화된 화두였다.

백졸 스님은 “사람 노릇을 제대로 못 해 추억이 없다”고 하신다. 잠을 자지만 실제로는 잠들지 않기 위해 일념을 모으는 분이 어찌 사람 노릇을 할 여력이 있겠는가. 옥천사 일주문 기둥에 걸린 주련 ‘산색문수안(山色文殊眼, 산빛은 문수보살의 눈), 수성관음이(水聲觀音耳, 물소리는 관음보살의 귀)’는 스님의 성품 그대로다.  

 

사진. 효신 스님

 

효신 스님
조계종 교육아사리. 철학과 국어학, 불교를 전공했으며 인문학을 통한 경전 풀어쓰기에 관심이 많다.